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제인 정 트렌카, 「덧없는 환영들」 중에서

  • 작성일 2013-03-22
  • 조회수 1,811

  

  제인 정 트렌카, 「덧없는 환영들」 중에서

 


   우리 한국인들은—한국인이 무엇이든 간에—20세기의 참사로부터 출현한 후 덜컹덜컹 흔들리고 근근이 살아가다가 방향을 잃고 혼란에 빠진 채, 남과 가족이 어떻게 다르고 친구와 적이 어떻게 다른지도 알지 못한 채 다음 세기를 맞았다. 우리는 백년도 안되는 시간에 서양인에게 폐쇄적이고 적대적인 나라에서 그들에게 제 아이들을 제공하는 나라로 변모했다. 또, 서울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든 빛나는 한강의 기적과 서울 하늘의 윤곽선을 수놓은 저 거대한 부가 가능했던 건 수많은 사람들이 참고 견뎠기 때문이었다. 여기 우리, 추방된 자들은 바로 그 일원이다. 그리고 이제 이곳에 돌아온 우리는 두 세기에 걸쳐 우리 어머니들의 마음을 부수고 우리 아버지들에게 죄를 덮어씌운 한국의 양심에 오점으로 남았다. 우리는 침묵을 맹세한 적 없고 우리의 가족들도 그렇지만, 우린 아직 거의 말하지 못한다.
   그래서 난 한국이 나에게 제공하는 단순하고 조용한 삶을 기꺼이 즐긴다. 이발소 앞 건조대에서 말라가는 하얀 수건들, 수건의 보풀 같은 천이 햇빛 속에 만들어내는 그 자잘한 고리 모양 그림자들, 참치캔 기름을 넣고 끓인 김치찌개를 맛볼 때 즉각 날카롭게 당겨오는 혀 밑의 감각, 한강의 냄새와 강변의 호박밭 위를 날아다니는 참새 떼, 산길을 걷다가 듣는, 바람에 댓잎 바스락거리는 소리…… 난 산속에 혼자 있을 때면 그 무엇도 나에게 이 나라 사람이냐고 묻지 않는다고, 어머니 대자연은 내가 한국인다운지 외국인다운지 따지지 않고 날 전적으로 받아준다고 공상해보지만, 내가 그곳에서 죽는다 해도 자연은 전적으로 무심할 터이다.(……)
   난 나에게 조용히 혼자 지내는 법을 가르쳐준 한국을 사랑한다. 난 무언가를 되찾기 위해 싸워본 사람만이 아는 방식으로 한국을 사랑한다. 한국이 날 사랑하지 않아도 난 한국을 사랑한다.
   (……)
   이 나라를 오간 지 십일년이 되었고, 그동안 나도 많은 것을 배웠고, 이곳에 속하기 위해 그토록 노력했지만, 한국인들이 나에게 던지는 질문들은 변함이 없다. “대한민국(Daehanminguk)이라고 할 줄 알아요?” “김치 좋아해요?” “한국 남자 좋아해요?” “아리랑 부를 줄 알아요?” (……)
난 한국인이 말하는, 한국인이 가져야 할 특성들이 제거된 사람이지만 그래도 한국을 사랑한다. 한국에서 난 배가 덜 고프기 때문에 한국을 사랑한다. 한국에서 난 덜 위험하다고 느끼기에 한국을 사랑한다. 이곳 한국은 나의 불편한 집이기에 한국을 사랑한다. 난 계속 슬프지만 한국을 사랑한다. 내가 태어난 곳이고 나의 모든 조상들이 태어난 곳이고 그들이 죽은 곳이고 내가 죽고 싶은 곳이기에 한국을 사랑한다. 난 한국인이기에 한국을 사랑한다.

 

   ● 작가_ 제인 정 트렌카 - 1972년 한국에서 태어나 생후 6개월 때 미국 미네소타주로 입양. 2003년 첫 장편소설『피의 언어』를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고『덧없는 환영들』은 그녀의 두 번째 소설. 현재 서울에 거주하며 한국의 입양 문제 및 입양인 인권을 위한 활동가로도 지내고 있다.

   ● 낭독_ 채세라 - 배우. 연극 <우리 읍내>, 뮤지컬 <루나틱> 드라마 <궁> 등에 출연.
   ● 출전_ 『덧없는 환영들』(창비)
   ● 음악_ Digital Juice - BackTraxx
   ● 애니메이션_ 강성진
   ● 프로듀서_ 김태형

 

 

   배달하며

   1972년 1월 눈 내리는 새벽에 한국에서 한 아기가 태어났습니다. 아이 엄마는 남편의 폭력을 피해 딸을 고아원에 맡기고 몇 달 만에 다시 고아원을 찾습니다. 그러나 아이는 이미 사라지고 없지요. 아이는 가족의 어떤 동의도 없이 미국으로 입양된 뒤였습니다. 열두 시간의 태평양 횡단을 기억하지 못하는 아이는 성인이 될 때까지 미혼모에게서 태어난 것으로 알고 지냅니다. 소설에서 밝히고 있는 제인 정 트렌카의 자전 일부입니다. 과거 한국은 20만 명으로 추산되는 아이들을 해외에 입양했고, 지금도 매년 600명 이상의 어린이들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많은 입양인들이 납치, 기록 위조, 아이 바꿔치기 등 고아로 호적이 세탁된 후 해외로 보내졌다고 합니다. 이쯤이면 인신매매가 아니겠습니까? ‘가서 잘 먹고 공부 열심히 하고 나중에 돌아오라’는 이 헐벗은 나라의 신파가 부끄럽습니다. 입양은 한 아이에게 언어, 문화, 가족, 이름, 생일, 시민권을 빼앗는, 그리하여 한 존재를 완전히 지워버리는 행위라고 작가는 말합니다. 사십년 생을 온전히 자기 정체성을 찾아 헤맨 한 입양인의 자전적 기록에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어떤 소감을 붙인다는 게 조심스럽지만, 문학의 자리에서 감상을 전하자면 실존적으로 자가 자기 생을 일으켜 세우는 ‘고아 서사’는 참으로 울림이 컸습니다.

문학집배원 전성태

 

 

한창훈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