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렬|「거미의 생에 가보았는가」를 배달하며…
시인들은 종종 아버지 흉을 봅니다. 실비아 플라스는 시에다 “아버지, 개자식”이라고 쓰기도 했어요. 이 시의 늙은 학생 같은 남자 역시 좋은 아버지는 아닙니다. 아버지, 장남이라 귀하게 여기고 막내라서 이뻐하는 일도 없이 참으로 공평하게 내다버리셨군요.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시에서 미움 대신 슬픔이 느껴집니다. 찢어진 벽지 속으로 들어갔던 ‘나’는 아버지처럼 늙은 학생 같은 아버지가 되었어요. 식구들은 내다버리고 검은 책만 챙겼던 아버지, 검은 책으로 혼자만의 집을 짓던 아버지처럼. 그러고 보니 거미는 참 쓸쓸한 곤충이네요. 늘 뿔뿔이 흩어져, 바람에 자기의 실이 가닿는 대로 집을 지으니 말입니다. 거미의 생에 가보니 혼자 집을 짓는 일이 우리의 숙명인 듯 느껴집니다. 그리고 아버지, 당신의 생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인 진은영
작품 출처 : 고형렬 시집, 『나는 에르덴조 사원에 없다』, 창비, 2010.
|
아버지.. 제발.. 버리지 말아 주세요.. 나는 왜 당신의 1순위가 아닌 것인가요. 나는 왜 당신만큼 소중할 순 없는 것인가요. 당신은 왜… 더보기 »
파라솔 님의 내일을 응원하고, 기대합니다. 스스로의 삶의 주연은 바로 나니까요. 멋진 주연으로서의 역할을 잘 해 내실 겁니다.
햇살토끼님 고맙습니다.
천신만고 끝에 문지방을 넘은 거미가족의 생이 비극으로 끝이 났다. 거대한 인간의 손에 의해 밖으로 버려지고 가족들끼리는 서로의 생사를 알 수… 더보기 »
첫 부분에서 아버지가 돌아가셨나… 아버지 잃은 가족의 암담함이 그려졌다. 읽어 내려가며 늙은 학생같은 남자가 어머니 형 동생을 쓸어 내다버렸을 때… 더보기 »
'거미의 생'이라는 단어를 읽으면서 제일 먼저 떠올랐던 건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봤던 루이스 브루주아의 '마망'이다. 마망 탓인지 나에게 거미는 모성애를… 더보기 »
나의 첫 원룸에 이삿짐을 풀었던 날, 엄마 아빠가 떠나는 차를 배웅하던 나는 목 끝까지 무언가 차올라 아무 말도 할 수가… 더보기 »
이 시를 읽으면서 문득 20대 때에 부모로부터 독립했던 생각이 떠올랐다. 독립하기 전 유교적인 정서가 몸에 가득 하신 나의 아버지를 나는… 더보기 »
우리에게 왜 생이 주어지는 것일까… 우리가 지나가고 있는 이 생은 어떤 의미일까… 이 시 속의 거미 가족에게만 문지방이, 슬픈 소리를… 더보기 »
밖에서 바람이 들어오고 줄이 흔들리는 백열등 하나 걸고 책을 보는 한 남자도 마치 거미같은 생을 살고있는 것 같다. 그래서 7연의…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