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이지|「중2의 세계에서는 지금」을 배달하며…
눈이 큰 아이라니, 윤동주의 시에 나오는 소년을 닮은 얼굴이 떠오릅니다. 소년이 눈을 감으면 “맑은 강물이 흐르고, 강물 속에는 사랑처럼 슬픈 얼굴”*이 어릴 것 같은데, 세상에나 그 맑은 눈으로 삥을 뜯고 있군요. 요새 아이들은 참으로 무섭다며 탄식해야 할까요? 그럴 수가 없습니다.
세상의 모든 골목을 지나치며 어른이 된 우리의 세계도 중2의 세계. 동료를 폭행하는 회사 오너에게 “수고가 참 많으십니다” 하고 얌전히 지나가는 세계. 해고된 동료에게 한 마디 위로도 못하고 돌아서면 거울 속의 내가 나를 향해 모리배**처럼 웃고 있어요. 중2 여러분, 새해에는 이 세계를 어떻게 고쳐가야 할까요? 가르쳐주세요.
* 윤동주, 「소년」 , 『정본 윤동주 전집』, 홍장학 엮음, 문학과 지성사, 2015.
** 모리배(謀利輩): 온갖 옳지 못한 수단과 방법으로 자신의 이익을 꾀하는 사람
시인 진은영
작품 출처 : 장이지 시집, 『레몬멜로』, 문학동네, 2018.
|
삥을 뜯긴 아이가 다가와 알은체를 하기 전에 내가 먼저 알은체하는 연습, 골목에서 아는 얼굴을 만나면 가던 길을 잠시 멈추는 연습부터… 더보기 »
이 시를 읽자마자 이번 문학상담 수업 대체 세미나에서 나누었던 내용들이 퍼뜩 생각난다. 마치 몽유병자처럼, 내 말과 행동의 여파를 헤아리지 못하고… 더보기 »
모리배,모사꾼,거울. . 나는 어느 후미진 골목쯤에 서서 어떤 표정을 짓고 있는걸까..이 세상을 살아내느라 원치 않게 오래쩍 암석처럼 켜켜히 키워진 근육들..을… 더보기 »
세상의 많은 골목들을 지나치고 있다. 도움이 필요한 손길들이 도처에, 곳곳에 있음을 알지만 나 자신을 추스르지 못해 못본 척 지나친다. 모리배,… 더보기 »
언젠가부터 중2병이란 말로 사춘기를 맞이한 청소년들을 희화화한듯한 우스갯소리가 넘쳐나고 있다. 그러나 그 무섭다는 중2병의 세계가 우리 어른들의 세계와 과연 얼마나… 더보기 »
에릭슨은 청소년기를 “정체성 대 혼란”의 시기라고 했다. 파충류들과 똑같은 단계의 뇌 영역인 변연계로 원초적 감정을 느끼고 불필요하고 자극되지 않은 시냅스의… 더보기 »
세상을 바꾸는 방법은 무엇일까? 일과 공부 외에 취미생활까지 하고나서 늘 사람들과 논의하는 주제이다. 왜 저것들을 모두 하고나서 저 얘기를 해야하냐면… 더보기 »
시를 읽으며 내 중학생 시절은 어땠는지 잠시 생각해보았다. 친구들과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역동과 불안정한 마음… 중학생은 위태롭고 다채롭고 무엇보다… 더보기 »
곤란을 당할때 누군가 아는 얼굴이 지나가기만 해도 얼마나 안심이 될까? 직접 다가와 도움을 주면 더 없이 좋았겠지만, 모른체 지나가지 않고… 더보기 »
삥을 뜯는 아이, 뜯기는 아이, 그것을 본 아이… 이 모든 아이들을 품어주어야 할텐데요.. 참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 정말 중2들은 어떻게… 더보기 »
이 글을 읽고 초등학교 6학년 때 중학교 1학년 언니들에게 삥을 뜯겼던 일화가 생각이 났다. 당시 우리는 4명이 있었고 상대는 2명이었는데… 더보기 »
나는 「몸으로 알은체를 한다」는 부분이 가장 인상깊었다. 말로 아는 체 하는 것보다 몇 배는 더 급박하고 절실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리라. 삥이… 더보기 »
단상이 많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ㅜ ㅜ 중학교때 어울리던 친구들에게 갑자기 왕따를 당해서 그뒤로 친구를 사귀지 않은적이 있다. 친구가 참 중요한시기인데… 더보기 »
중2의 세계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닐 듯싶다. 불의를 보면 지나치라고 가르치는 어른들이 일반적인 걸 보면 어른들은 이미 그렇게 살고 있다는 거니까.…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