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re]마당을 나온 암탉을 읽고

  • 작성일 2005-08-22
  • 조회수 662

이글은  '강추! 이작가 이작품' 게시판에 올려주시면 게시판 성격과도 어울리고 더욱 빛날 것  같은데... 어떠하신지요?



 

===================================================================

 

마당을 나온 암탉


어린이 동화책을 읽으면서 실수하게 되는 것이 있다. 무조건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니깐 내용이 뻔하겠지, 아니면 쉬운 내용에 "착한 사람들이 행복하게 잘 살았대요"로 끝나는 해피엔딩의 책이 전부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 책은 그런 선입견으로 보면 안 되는 책이다. 어린이 동화책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어린이들을 위한 것이기 보다 어른들을 위한 책이다. 난용종 암탉인 잎싹은 자신의 환경에 만족하지 않는다. 다른 암탉들은 그저 모이만 먹고 알을 낳고 그 알을 주인이 빼앗아가도 순응하지만 잎싹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잎싹은 모이를 거부함으로써 자신의 자유를 쟁취한다. 하지만 어렵게 얻은 잎싹의 자유는 권위와 힘을 앞세워 헛간을 통제하는 수탉과 수탉의 부인으로 자존심 강하고 고집 센 암탉 뒤에서 자기의 권위를 내세우는 오리대장과 늙은 사냥개 때문에 좌절당한다. 이들은 자신의 환경에 만족하고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잎싹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잎싹의 소망은 알을 품는 것이다. 난용종으로서는 꿈에도 꿀 수 없는 일이다. 난용종의 알은 부화되지 않는다고 한다. 어릴 때 난 시장에서 산 알을 에디슨처럼 부화시킬 수 있지 않을까 했는데 이 글을 읽으면서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헛된 꿈이라고 할 수 있는 잎싹의 소망이 이루어진다. 숲에서 잎싹은 한 알을 발견하고 정성껏 그 알을 품는다. 잎싹의 친구였던 나그네의 희생과 함께 알이 부화된다. 하지만 그 알은 닭의 알이 아니다. 부화된 새끼는 오리 그것도 청둥오리 ‘나그네’의 새끼였다. 하지만 잎싹은 그 새끼를 자신의 새끼처럼 생각한다. 새끼를 가져본 일이 없는 잎싹에게 청둥오리 새끼인 초록머리는 기적인 것이다. 서로 다른 종을 넘나드는 모성애를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잎싹이 초록머리를 키우기에는 숲은 너무 위험했다. 특히 족제비는 잎싹과 초록머리를 호시탐탐 노린다. 그런 어려움 속에서 잎싹과 초록머리는 서로를 사랑하고 위험에서 피하는 지혜를 갖게 된다. 그리고 겨울이 되자 잎싹은 초록머리를 그들의 무리 속으로 보낸다. 잎싹의 마음이 어떠했는지 상상이 가진 않는다. 하지만 자기 자식을 보내는 어미의 마음은 다 같지 않을까 싶다. 초록머리는 청둥오리 무리의 파수꾼이 되어 자신의 몫을 다하게 되고 잎싹은 족제비의 먹이가 된다. 잎싹의 죽음으로 끝나고 모두가 행복하게 잘 어울려 살았어요 라는 결말은 아니지만 잎싹의 죽음이 슬프지 않은 것은 잎싹이 그토록 증오하던 족제비의 어미로서의 마음을 이해하고 그리고 죽음으로써 진정한 자유를 얻게 되어서인 것 같다. 잎싹의 죽음은 겉모습을 탈피하고 삶의 자유를 찾은 것이다. 자신의 굴레 때문에 자유롭지 못하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그 중에서 잎싹처럼 자신의 굴레를 힘차게 나온 사람이 있을까? 결국 굴레란 것은 자신의 마음속에 지워진 한계점일 것이다. 그 굴레를 벗는 힘도 자신의 마음이다. 이 책은 그 점을 나에게 되묻는 책이었고 다시 한번 자신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게 한 고마운 책이다.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