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고자 하시는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16/19 (총 184건)
![]() |
신정민
1961년 전북 전주 출생. 2003년 〈부산일보〉 신춘문예에 「돌 속의 길이 환하다」로 등단. 시집 『꽃들이 딸꾹』, 『뱀이 된 피아노』, 『티벳 만행』
|
![]() |
신종호
1964년 여주에서 출생했다. 숭실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1997년 〈현대시〉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사람의 바다』(2006)가 있다.
|
![]() |
신중철
1971년 전남 고흥 출생. 전남대학교 국문과 졸업. 2007년 계간 〈문학들〉 가을호 신인상 시부문 당선.
|
신지영
1974년 서울 출생. 서울예대 문창과 졸업. 2007년 〈아동문학평론〉 신인문학상, 2008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각각 동시가 당선되어 등단. 2009년 〈선수필〉 신인상을 수상.
|
![]() |
신지혜
서울 출생. 2000년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 및 2002년 〈현대시학〉 제5회 신인작품공모에 당선되어 등단했다. 제3회 재외동포문학상 시 대상을 수상했으며, 시집으로 『밑줄』(2007)이 있다.
|
![]() |
신진
1949년 부산 출생. 동아대 국문학과와 성균관대 대학원 박사 졸업. 1981년 이후 동아대 국문학과를 거쳐 현재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 1974-1976에 걸쳐 월간 〈시문학〉 시부문 천료(김남조, 이원섭 추천). 〈문학예술〉 평론 신인상, 제26회 시문학상, 16회 봉생문화상, 13회 부산시인협회상 등 수상.
시집 『장난감 마을의 연가』(1978), 『목적있는 풍경』(1981), 『멀리뛰기』(1986), 『강』(1994), 『녹색엽서』(2002), 『귀가』(2005)와 연[…]
|
![]() |
신채호
채호석(문학박사)
1880~1936. 독립운동가·역사가·언론인. 호는 단재(丹齋). 충청남도 대덕(大德)에서 태어났다.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에서 독립운동을 고취하는 논설, 역사 논문 등을 발표하였다.
1910년에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광복회를 조직하고, 1913년에는 상하이[上海]로 가서 동제사(同濟社)에 참여하여 활동하면서 박은식(朴殷植) 등과 함께 박달학원(博達學院)을 설립하였고, 다음해에는 만주로 가서 동창학교(東昌學敎) 교사로 재[…]
|
![]() |
신철하
평론가. 충북 충주에서 태어났고 한양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 수료했다. 저서로는 『푸른 대지의 희망』(1995), 『문학과 디스토피아』(1998), 『한국 근대문학의 이상과 현실』(2000), 『역사의 천사』(2001), 『비평과 형식』(2005), 『미완의 시대와 문학』(2007) 등이 있다. 현재 강원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신충
신라시대 사람. 신라 효성왕 3년(739년)에서 경덕왕 3년(744년)까지 중시(中侍)라는 벼슬을 지냈으며, 경덕왕 16년(757년)에서 경덕왕 22년(763년)까지 상대등(上大等)의 자리에서 왕을 보필했다.
|
![]() |
신해욱
1974년 춘천에서 태어났다. 1998년 〈세계일보〉로 등단했다. 한림대 국문과를 졸업했고 고려대 대학원 국문과에서 수학. 시집으로 『간결한 배치』(2005)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