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소개 알려줘요
문학전광판
문학 소식 홍보게시판-
2310
문장수다 초대! 『자기생성과 인지』 출간 기념 정현주 역자와의 만남 (2023년 12월 3일 일 오후 2시)
· 역자와의 만남 자세히 보기 https://shorturl.at/bvHR3· 역자와의 만남 신청하기 https://shorturl.at/xHQT3
작성일 2023-11-27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33상세보기 -
2309
문장수다 [소전문화재단] 2024 문학과 친구들 선정 공고
소전문화재단의 문인 지원 공모 사업 〈문학과 친구들〉이 4회째를 맞이합니다. 지난 10월 한 달간, 총 57인의 지원서를 받았습니다. 미래가 기대되는 작가들의 지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문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죽음, 폭력, 성장, 가족, 다문화, 소수자, 경계인, 감염병, 정신질환 등 다양한 소재와 주제들을 통해 한계를 지닌 인간을 위기 또는 기회의 장에 올려두고 다양한 층위로 탐구하려는 작가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소설이라는 장르는 역시 제약 없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며, 이를 통해 우리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사유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더욱 품게 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SF 및 장르적 주제를 선택한 지원자가 20퍼센트로 장르소설의 위상 변화를 실감하였고, 또 웹이나 영화 등 타 매체에서 활동하다가 순문학적 소설 쓰기로 방향을 바꾼 작가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2024 소전문화재단 문학과 친구들〉은 〈장편소설 집필〉을 후원하는 사업입니다. 예술로서의 문학이 현재의 우리와 어떻게 호응하는지, 또한 시대와 공간을 넘어서까지 읽히는 소설은 어떤 모습일지를 늘 생각합니다. 을 쓸 작가의 성과에 긍정적 계기가 되려면 무엇이 필요할지 고민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집필 역량 및 순수 문학적 성취를 기대할 수 있는 작가를 선발하기 위해 지원서와 이전 작품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에 〈2024 소전문화재단 문학과 친구들〉 작가로 (가나다순)을 선정합니다. 소전문화재단은 이 작가들이 시대를 넘어서는 소설을 집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그렇게 탄생한 작품들을 독자에게 적극적으로 소개함으로써 문학이 제 역할을 잘할 수 있도록 힘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소전문화재단 이사장 김원일 2023.11.22.
작성일 2023-11-22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31상세보기 -
2308
문장수다 [영등포문화재단] 2023 누구나술술 주간술술 PREVIEW 참가자 모집
➡️프로그램 소개 '누구나술술'은 예술·기술 융복합문화의 거점 술술센터에서 예술과 기술을 만나는 첫 시작과 과정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일상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예술과 기술을 발견하고 새로운 관점을 바라보며 예술·기술의 새로운 상상을 그려나가는 계기가 되시길 바랍니다. 는 2023.12.1(금)~12.9(토)진행되는 을 먼저 만나보는 PREVIEW 워크숍입니다. ➡️1. DIY 워크숍 퍼포먼스 '실패의 지점들' 연계 워크숍, 펄스 발생기, 전극, 전지를 이용해 DIY 스파크 갭을 만든다. 이 스파크 갭은 탁탁 소리와 함께 빛을 만들어 내는데 두 개 이상의 스파크 갭을 가까이 놓으면 서로 반응한다. 여자들은 직접 스파크 갭을 만들어보고 일상적 재료를 더해서 다양한 소리와 상호작용을 경험해 본다. - 일시: 2023.11.24.(금) 13:00 - 장소: 술술센터 4층 술술홀 - 대상: 만13세 이상 (만 16세 이하 보호지 동반 필수) - 인원: 15명 | 소요시간: 3시간 - 언어: 한국어, 영어(한영 순차 통역) ➡️2. 퍼포먼스 Points of Failure DIY 전자기기, 물건들, 오브제, 조명과 사운드서킷 등을 이용해 일상적 물건들의 음악적 가능성을 실험한다. 공연 장소의 건축적 요소에 따라 매번 다르게 연주되는 장소특정적 작업으로 전 과정이 라이브로 진행되는 오디오비주얼 퍼포먼스이다. - 일시: 2023.11.24(금)19:00 - 장소: 술술센터 4층 술술홀 - 대상: 누구나 - 인원: 30명 - 소요시간: 60분 ➡️3. 소리산책 Ambulation 예술가가 관객들과 함께 걸으며 만나는 소리, 신호를 채칩, 즉석에서 프로세싱(녹음, 반복, 변환)하여 관객들이 쓰고 있는 무선 헤드폰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팀 쇼는 직접 개발한 시스템(다양한 형태의 마이크, 리코더, 컴퓨터 등이 결합된)을 사용한다. - 일시: 2023.111.25.(토) 13:30 - 장소: 술술센터 로비에서 만나서 팀쇼가 미리 정한 주변 경로를 따라 이동 - 대상: 만11세 이상(만16세 이하 보호자 동반 필수) - 인원: 15명 - 소요시간: 60분 - 언어: 한국어, 영어(한영 순차 통역) ➡️4. 작가와의대화(모더레이터: 손세희) 사운드스케이프에 대한 탐구와 필드리코딩 기술을 실험적으로 이용하는 그의 작업에 대해 직접 들어볼 수 있는 시간이다. - 일시: 2023.11.25.(토)16:00 - 장소: 술술센터 4층 술술홀 - 대상: 누구나 | 인원: 30명 - 소요시간: 2시간 - 언어: 한국어, 영어(한영 순차 통역) ➡️행사 일정 - 모집일정: 11.22(수) 16:00까지 (*모집기간은 상황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으며, 선착순으로 조기마감 될 수 있습니다.) - 참가비: 무료 - 오시는길: 술술센터(서울시 영등포구 도림로 133길 15) 지하철 2호선 문래역 7번출구에서 도보 550m(*주차공간이 협소하여 대중교통이나 주변 유료 주차장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 02-2634-2237 / 02-508-1052 /
작성일 2023-11-20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52상세보기 -
2307
문장수다 새 책! 『자기생성과 인지 : 살아있음의 실현』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정현주 옮김
지은이움베르또 R. 마뚜라나 Humberto R. Maturana, 1928~2021칠레 산티아고 출생. 인지생물학자, 신경철학자. 그는 바렐라와 함께 자기생성 개념을 창안하고 살아있는 존재가 분자 자기생성체계라는 점을 증명, 사회학, 인공지능, 조직이론, 가족치료 등 많은 분야에 적용되었다. 1948년 칠레 의대 입학,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신경생리학과 해부학 연구, 1958년 하버드대학 생물학 박사 학위 취득, 1965년 칠레대학에 과학연구소와 과학학부를 설립했다. 1994년에 칠레 자연과학 훈장을 받았다. 벨기에, 스페인, 칠레의 대학들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고, 노벨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2000년에 씨메나 다빌라 야네쓰와 함께 를 설립했다. 『자기생성과 인지』(공저), 『앎의 나무』(공저), 『있음에서 함으로』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프란시스코 J. 바렐라 Francisco J. Varela, 1946~2001칠레 탈카우아노 출생. 생물학자, 신경현상학자. 마뚜라나와 함께 자기생성 개념을 창안. 칠레 가톨릭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1967년 칠레대학에서 생물학 석사학위, 1970년 하버드 대학에서 생물학 박사학위 취득. 1980년 칠레대학 생물학 교수로 재직, 1986년 프랑스 에콜폴리텍에서 인지과학과 인식론을, 파리대학에서 신경과학을 가르쳤다. 1988년 의 연구 책임자였다. 1970년대에 티벳 불교도가 된 그는 과학과 불교의 대화 촉진을 위해 1987년 를 설립했다. 『자기생성과 인지』(공저), 『앎의 나무』(공저), 『윤리적 노하우』, 『몸의 인지과학』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옮긴이정현주 Chung Hyun Joo, 1965~전남대학교 철학과 학술연구교수. 대승불교의 하나인 유식사상의 유식무경(唯識無境) 종지와 알라야식연기를 마뚜라나의 관찰하기의 존재론 및 실재에 대한 논의와 비교하는 연구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마뚜라나의 사상 및 그 문화적·사회적 함축에 주목하면서 그의 자연철학과 유식불교와의 교차점을 분명히 하는 일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시기획자로 활동하면서 마뚜라나의 문화의 생물학을 기반으로 예술과 문화비평을 시도하고 있다. 『자기생성과 인지』는 첫 번째 역서이며 다수의 논문이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영풍문고 북스리브로(오프라인) 지역서점 [서울] 그날이오면 풀무질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 [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작성일 2023-11-12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48상세보기 -
2306
문장수다 초대! 『#가속하라』 출간 기념 로빈 맥케이, 에이미 아일랜드 화상 강연 (2023년 11월 4일 토 저녁 7시)
· 화상 강연 자세히 보기 https://bit.ly/49cWTws· 화상 강연 신청하기 https://bit.ly/3MkRs50
작성일 2023-11-01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53상세보기 -
2305
문장수다 거꾸로 선 꿈을 위하여 -진이정 시인 30주기 추모공연
일시 및 장소: 2023년 11월 18일-19일, 소극장 하제의 숲 참여대상: 진이정의 시를 좋아하는 일반 독자와 시민들 내용: 진이정 시인의 시를 중심으로 한 공연과 행사, 낭독과 회고 첫째 날(11월 18일 토요일) 공연+낭독 소리꾼 이승희와 고수 이향하가 연작을 판소리로 만들어 관객들과 만나고 이어서 유고 시집 전체를 극단 제비꽃 배우들이 시와 노래를 곁들인 입체적인 시 콘서트로 만들어본다. 배우들의 말과 몸과 소리를 통해 진실한 영혼의 감각을 관객들에게 일깨워주려 한다. 마지막으로 진이정의 시를 사랑하는 시민들과 문학애호가들이 자신들이 좋아하는 시를 자유롭게 골라 다양한 방식으로 낭독하는 시민 참여형 낭독회를 연다. 둘째 날(11월 19일 일요일) 공연+회고 한국무용가 박기량의 춤을 시작으로 극단 제비꽃 배우들의 시 굿이 진행되고 생전에 가까웠던 지인들이 진이정과의 인연을 회고하고 일반인에게 잘 소개되지 않았던 시인의 시와 산문을 낭독하는 시간을 갖는다. 나 , , , 처럼 입에서 입으로 떠돌고 있는 진이정의 주옥같은 시들을 재발견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19일은 진이정이 세상을 떠난 기일이다. 제작진 기획 및 총연출 최창근 주최 주관 극단 제비꽃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동네 출연진 시 콘서트: 서경화, 허영택, 류진현, 김민조(배우) 판소리: 이승희(소리꾼)과 이향하(고수) 한국춤: 박기량(한국무용가) 21세기 전망 동인들과 선후배 시인들 그리고 지인들 함성호, 김중식, 박용하, 유하, 이선영, 윤제림, 함민복, 연왕모, 심보선, 조인호, 이용임 등 진이정의 시를 좋아하는 일반 독자와 시민들 진이정은 일찍 요절한 시인이지만 그 독보적인 문학성으로 인해 기형도 만큼의 문학 마니아들을 갖고 있다. 기형도 시인이 광명을 중심으로 문학관과 공원이 만들어지면서 일반 독자들에게 더 다가갔다면 진이정은 아직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고 있지 못하다. 사후 30주기를 맞이하여 작년에 다시 발간된 유고시집을 중심으로 진이정 문학의 진가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려고 한다. 이번 공연에서는 진이정의 시들을 춤이나 음악, 시극 등과 같이 다양한 예술 분야에 종사하는 창작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무대 위에 올려서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확보해보려고 한다. 21세기 전망 동인 시인들과 시민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문학낭독회도 개최해서 시의 대중화를 꾀한다. 기형도 25주기와 30주기 문화제를 연출한 경험을 살려 지원서 제목처럼 진이정의 시가 소외된 계층에도 문학 나눔의 의미를 품고 널리 확산되어 진이정 현상의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도모해보려 한다. 진이정이 남긴 시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다시 평가하는 이틀간의 여행은 30여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새롭게 태어나는 진이정 문학의 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시인은 죽어도 시는 남는다. 그의 시 에서처럼. 불우한 삶을 일찍 마감하고 생전에 제대로 된 문학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난 진이정의 작품을 문학을 중심으로 여
작성일 2023-10-20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143상세보기 -
2304
문장수다 새 책! 『#가속하라 : 가속주의자 독본』 로빈 맥케이 · 아르멘 아바네시안 엮음, 김효진 옮김
엮은이로빈 맥케이 Robin Mackay, 1973~영국인 철학자이자 영국 출판사 겸 예술 조직체인 어바노믹(Urbanomic)의 대표, 골드스미스 런던대학교의 연구원이다. 연구 관심사는 과학적 지식과 인간의 자발적인 자기이해 사이의 ‘간극’, 그리고 이런 차이를 해소하려는 철학적 입장들의 미학적·철학적 결과에 집중되어 있다. 철학자들, 다른 분야의 사상가들, 그리고 현대 예술가들을 결집하는 어바노믹의 저널 『콜랩스』(Collapse)의 편집자로서 활동하고 있다. 예술과 철학에 관한 글을 폭넓게 집필하였고, 여러 예술가와 교차-학제적 협업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알랭 바디우의 Le nombre et les nombres, 프랑수아 라뤼엘의 The Concept of Non-Photography, 에릭 알리츠의 Oeil-cerveau, 그리고 퀑탱 메이야수의 The Number and the Siren을 비롯하여 다양한 프랑스 철학 저서를 번역하였다. 아르멘 아바네시안 Armen Avanessian, 1973~빈 출신의 오스트리아인 철학자이자 문학이론가, 정치이론가.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에 파리와 런던에서 프리랜서 기자와 편집자로 일했다. 2007년 학계로 돌아온 이후에 베를린 자유대학교 등 세계의 다양한 기관에서 가르쳤다. 2011년에 ‘사변적 시학’이라는 연구 및 출판 플랫폼을 설립했으며, 2014년에 독일 출판사 메르베(Merve)의 수석 편집자가 되었다. 예술과 철학에서 이루어진 사변적 실재론과 가속주의에 관한 그의 작업은 강단을 넘어 폭넓은 영향을 미쳤다. 2015년에 『와이어드 매거진』은 그를 지적 혁신가로 명명했다. 저서로는 Metanoia : Ontologie der Sprache(2014, 공저), Irony and the Logic of Modernity(2015), Metaphysik zur Zeit(2018) 등이 있다. 옮긴이김효진 Kim Hyojin, 1962~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였으며 인류세 기후변화와 세계관의 변천사에 관심이 많다. 옮긴 책으로 『네트워크의 군주』,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 『객체들의 민주주의』, 『예술과 객체』,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에일리언 현상학』 등이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영풍문고 북스리브로(오프라인) 지역서점 [서울] 그날이오면 풀무질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 [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작성일 2023-10-07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79상세보기 -
2303
문장수다 [소전문화재단] 2024 소전문화재단 문학과 친구들 모집 공고
모집 요강 (재)소전문화재단은 인문학을 후원하는 문화 예술 재단으로서, 인문학자를 발굴하고, 이 시대의 문학인들과 동행하며 문학의 지평을 다양하게 넓혀 가고자 설립되었습니다. 시대를 넘어서는 고전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그 과정에 소전문화재단이 함께하기를 바랍니다. 재단 설립 목적에 따라 인문학 장학생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문학 도서관 소전서림을 후원하고, 문인들을 위한 인문학 레지던스 설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국내외 문인들, 문학을 사랑하는 독자들과 다양한 교류의 장을 만들어 가려고 합니다. 본 재단은 이 시대에 꼭 필요한 문학 작품의 탄생을 기대하며 〈2024 소전문화재단 문학과 친구들(이하 소전문화재단 문친)〉 사업을 추진합니다. 〈소전문화재단 문친〉은 장편소설 집필 후원 및 출판을 위한 사업으로, 창작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재능 있는 작가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기다립니다. O 사업 개요 - 지원 대상 : 첫 작품 발표 이후 경력 15년 미만의 소설가 - 접수 기간 : 2023.10.02.(월)~2023.10.30.(월) - 모집 인원 : 3명 - 활동 기간 : 2024.03.02.~2025.02.28. (12개월) - 활동 장소 :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138길 23 소전문화재단 O 신청 자격 - 국내 거주 - 첫 작품 발표 이후 경력 15년 미만 소설가(신춘문예, 문학 잡지, 웹진, 독립 잡지, 단행본 포함) - 신원 조회 시 결격 사유가 없는 자 - 신청 제외 대상 : 재직 중인 문인 O 지원 사항 - 창작 지원금: 1천8백만 원(월 150만 원) - 취재비 지원: 5백만 원 이내(교통비, 숙박비 한정) - 특별 고료 지급: 장편소설 1년 내 제출 시 5백만 원, 2년 내 제출 시 2백만 원 - 집필실 1인실 제공(4평 이내, 출입 카드 시스템) - 창작 지원으로 집필된 장편소설 출판 - 요청 시 전문가 멘토링 지원 - 도서관 소전서림 무료 이용 - 점심식사 및 재단 내 카페 음료 제공 O 지원 작가 의무 사항 - 재단 내 집필실 〈소전서재〉 상주(계약 기간 내 180일 이상 사용, 협의 가능) - 2년 이내 1,000매 내외의 장편소설 1편 집필(제출한 기획안의 소설에 한함) - 연 2회 간담회 참석 O 지원 방법 - 접수 기간 : 2023.10.02.(월)~2023.10.30.(월) - 제출 서류 : 지원서(아래 내용 포함) 1) 미계약 장편소설 기획안(1편 이상) 2) 집필 계획서 3) 다루고자 하는 주제를 포함하는 문학관(자유 형식) 4) 필수 정보 5) 자기소개서 6) 집필 저서 목록 및 수상 내용(증빙 자료 요청 시 제출) 7)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 https://docs.google.com/document/d/1L8qBeMtlQ9Mg7PWN6xdYvYFUJL7zvJC7/edit?usp=sharing&ouid=116994181285166919408&rtpof=true&sd=true 에서 ‘2024 소전문화재단_문학과친구들
작성일 2023-09-26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128상세보기 -
2302
문장수다 [소전문화재단] 2023 소전서재 상주 작가 2차 모집 공고
2023 상주 작가 2차 모집 (재)소전문화재단은 인문학을 후원하는 문화 예술 재단으로서, 인문학자를 발굴하고, 이 시대의 문학인들과 동행하며 한국 문학의 지평을 다양하게 넓혀 가고자 설립되었습니다. 시대를 넘어서는 고전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그 과정에 소전문화재단이 함께하기를 바랍니다. 재단 설립 목적에 따라 문학 도서관 을 후원하고, 문인들을 위한 인문학 레지던시 설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국내외 문인들, 문학을 사랑하는 독자들과 다양한 교류의 장을 만들어 가려고 합니다. 이에 본 재단은 장편소설 집필 후원을 목적으로 작가들을 위한 집필 공간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작품 창작을 위한 집필 공간이 필요한 작가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기다립니다. O 모집 개요 모집 대상 : 국내 거주 및 활동하고 있는 작가, 장편 소설 집필 계획이 있는 문인 모집 인원 : 3명~6명 (*선정인원 변동될 수 있음) 상주 기간 : 3개월 또는 6개월 (희망 기간 택일) 상주 장소 :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138길 23 소전문화재단 인근 집필실 공간 사용료 : 무료 O 신청 자격 ① 첫 작품 발표 이후 15년 이내 장편 소설가 (신춘문예, 문학 잡지, 웹진, 독립 잡지, 단행본, 문예 매체 작품 발표 포함) ② 향후 2년 이내 장편 소설 발간 계획이 있는 소설가 ③ 신원 조회 시 결격 사유가 없는 자 O 지원 사항 ① 1인실 제공 (4평 이내, 출입 카드 이용) - 집필실 내 허먼밀러 의자, 리클라이너 등 구비 / 프린터 사용 가능(A4 용지 제공) - 정수기, 전자레인지, 냉장고 등 비치 ② 무료 이용 ③ 점심 식사 및 카페 커피 제공 O 지원 방법 접수 기간 : 2023.09.22.(금)~2023.10.13.(금) 제출 서류 : 지원서 (아래 내용 포함) ① 필수 정보 ② 자기소개서 ③ 집필 저서 목록 및 수상 내용 ④ 향후 2년 이내 장편소설 집필 계획안 ⑤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 첨부파일 ‘2023 소전문화재단_소전서재_지원서’ 양식(1부)을 내려 받아 작성 후 이메일 제출 - 제출처 : laf@sojeonfdn.org 이메일 접수 - 이메일 제목 및 제출 파일명 : 2023 소전문화재단 소전서재_지원서_OOO(성명) O 모집 일정 - 2023.09.16.(토) : 모집 요강 공고 - 2023.09.22.(금)~2023.10.13.(금) : 지원서류 접수 - 2023.10.18.(수) : 선정 작가 발표(*대상자 개별 통보) - 2023.11.01.(수) : 개별 미팅 후 입주 시작 O 기타 사항 지원서에 이메일 주소와 휴대 전화 번호를 반드시 기재 바랍니다. 기재 누락 및 착오로 인한 불이익에 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선발 이후 신원 조회 및 증빙 자료 확인 과정에서 결과 부적격 판정 시, 지원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입주 기간 협의에 따른 예비 선정자를 둘 수 있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laf@sojeonfdn.org(소전문화재단
작성일 2023-09-19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114상세보기 -
2301
문장수다 청소년 공동 시 창작 프로그램 『시라는 마을에서 서로의 집 방문하기』 모집
안녕하세요 저는 202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강우근입니다. 서울문화재단, 서울교육센터에서 '청소년 공동 시 창작'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되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청소년 6명과 함께 총 5회 수업을 통해서 시를 쓰고, 낭독회를 여는 프로그램입니다. 재단의 지원을 받아서 무료로 진행이 됩니다. 평상시 시 쓰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이 많이 지원해주면 좋겠습니다. 문예창작 대학 진학이나 시 쓰기에 대한 고민도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회차 안내 시라는 마을에서 서로의 집 방문하기 1회차 시라는 마을에서 서로의 집 짓기 9.2 (토) 10~3시 2회차 시라는 마을에서 다른 사람 초대하기 9.9 (토) 10~13시 3회차 시라는 마을에서 사물 데려오기 (토) 9.16 10~13시 4회차 편지 교환하기, 시로 답례 해주기 9.23 (토) 10~13시 5회차 시라는 마을 지도(문집)를 만들고, 함께 낭독회 열기 10.7 (토) 11~13시 공동창작 과정 안내 1회차 시라는 마을에서 서로의 집 짓기 유년시절 떠올렸을 때 생각나는 장소, 등하굣길에 눈에 띄었던 장소, 사람들은 모르는 나만이 아는 장소 등 나와 떼어놓을 수 없는 장소에 대한 시를 써봅니다. 2회차 시라는 마을에서 다른 사람 초대하기 시 쓰기가 좋은 점 중에 하나는 글쓰기를 통해서 다른 누군가가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나를 벗어나서 나와 가까웠던 다른 대상의 목소리로 시를 써봅니다. 할머니의 목소리, 친구의 목소리, 같이 사는 반려동물의 목소리 등을 시로 표현해서 그 대상을 마을로 초대합니다. 3회차 시라는 마을에서 좋아하는 사물 데려오기 일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사물에 대해서 얘기해봅니다. 양초, 비누, 체육복 등 가장 좋아하는 사물과 관련한 이야기를 시로 써보고 공유해봅니다. 4회차 시라는 마을 주민이 되어서 편지를 교환하고, 시로 답례를 해주기 우리는 시라는 마을의 구성원이 되었습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고민을 사연으로 나누고, 각자의 집에 시로 편지를 써서 보내줍니다. 5회차 지도(문집)을 만들기, 함께 작은 낭독회 열기 마지막 시간에는 지금까지 쓴 시를 모아서 만든 지도(문집)을 가지고 작은 낭독회를 엽니다. 우리가 함께 만들고 가꾼 시라는 마을에 부모님과 친구를 초대합니다. :) 공동창작을 하면서 시라는 지도에 넣을 간단한 그림 그리기와 패러디 시 쓰기 등 다양한 시 놀이도 같이 진행합니다. 모집 안내 시라는 마을에 주민이 될 청소년 6인 모집 만 13-18세인 자, 전과정 참여 가능한 자, 시쓰기 공동창작을 하며 함께 시라는 마을을 구성해 볼 자, whitespace13@naver.com으로 이름, 나이, 전화번호, 3~4줄로 이루어진 간단한 자기소개를 보내주세요. 장소 1회차~4회차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7 용산센트럴파크해링턴스퀘어 공공시설동 5층 5회차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7 용산센트럴파크해링턴스퀘어 공공시설동 6층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교육센터 로 전과정 무료로 운영되며 증빙, 홍보를 위해 간단한 촬영 동의가 필요합니다.
작성일 2023-08-23 좋아요 1 댓글수 0 조회수 309상세보기 -
2300
문장수다 2023년 제 14회 양성평등 작품공모전-펼치자 양성평등한 내일
“ 청소년이 펼치는 양성평등한 내일” - 2023년 제14회 양성평등 작품 공모전 개최 - 양성평등 작품 공모전에 아동・청소년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제14회 양성평등 작품 공모전 - 주제 : 학교, 가족·사회생활 등 일상 속 「양성평등 실천」, 「다양성 존중」, 「성차별·혐오표현 개선」에 대한 자유로운 생각을 담은 작품 - 분야 : 아동부(13세 이하) 글・그림/ 청소년부(14세~만24세이하) 긴글, 짧은글(픽션, 에세이, 시 등) - 접수기간 : 2023.6.14.(수) ~ 8.7(월) - 접수링크 : www.gender-contest.com
작성일 2023-07-12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355상세보기 -
2299
문장수다 2023년 제25회 수주문학상 작품 공모
안녕하세요. 부천문화재단 부천시박물관입니다. 문학 관련 좋은 공모전이 있어 홍보차 글올립니다. 수주문학상은 시인 수주 변영로의 뛰어난 문학성과 올곧은 민족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9년에 제정된 시 부문 문학상입니다. 올해도 제25회 수주문학상 작품 공모를 6월 19일부터 실시하는데요. 전국의 남녀노소 제한 없이 누구나 응모할 수 있으며, 심사 역시 익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거라고 여겨집니다. 시를 사랑하고 새로운 시각과 창의력을 갖춘 역량 있는 작가들의 많은 관심과 응모를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포스터와 공모요강을 참조해주십시오. 아울러 부천문화재단과 부천시박물관 홈페이지에서도 공모 내용을 안내 드리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일 2023-05-19 좋아요 0 댓글수 0 조회수 402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