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한민국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이린아 시인의 목소리로 듣는 「양동이」

  • 작성일 2024-09-12
  • 조회수 768

   양동이

이린아


   그해 여름 양동이 속에

   머리를 넣고 살았다

  양동이는 늘 밖에서부터 우그러진다


   우그러진 노래로 양동이를 펴려 했다

   그때 나는 관객이 없는 가수가 되거나

   음역을 갖지 못한 악기의

   연주자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을 어렴풋이 했다

   잘 보세요, 얼굴에서 귀는

   유일하게 찌그러진 곳입니다

   보컬 레슨 선생이 말했다


   가끔 내 목소리가 내 귀를 협박하곤 했다

   세모 눈썹, 불타버린 미간을 펴며

   귓속과 목구멍의 구조를 샅샅이 뒤지는 소리를 내려 했던   

   여름 노래,

   그해 여름에 배운 노래는 반팔이었고 샌들을 신었고

   목덜미에 축축한 바람이 감기는 그런 노래였다

   양동이 속에서 노래는

   챙이 넓은 모자를 뒤집어쓰곤 했다

   골똘한 눈, 꺾인 손등으로 받치고 있는

   청진의 귀를 향해

   벌거벗은 노래를 불렀다


   양동이 속에서 듣던

   1인용 노래

   허밍과 메아리의 가사로 된 노래를

   우그러진 모자처럼 쓰고 다녔다


   - 시집 『내 사랑을 시작한다』 (문학과지정사, 2023)

시인 김언
이린아의 「양동이」를 배달하며

   내 노래가 세상에 나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노래를 혼자서 불러서 할까요? 혼자서 들어야 할까요? 한창 노래 실력을 키울 때, 곁에서 노래를 들어주고 조언을 아끼지 않는 선생님이나 동료가 없을 수 없겠지만, 그럼에도 결정적으로 어떤 문턱을 넘게 하는 것은 누구보다 자신의 몫일 겁니다. 자기가 자기를 바로 보지 않고서는 자기 실력도 한계도 개성도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 겁니다. 한여름에도 머리에 양동이를 뒤집어쓰고 땀을 뻘뻘 흘리며 노래 연습을 하는 이유. 제대로 발성하기 위해서도 자기한테서 나오는 소리를 똑바로 듣는 연습이 필요해서겠지요. 어떤 소리든 그 소리가 나오는 자기를 똑바로 보는 연습이라고 해도 좋습니다. 자기를 똑바로 보고 듣는 과정이 어디 노래에만 필요한 일일까요? 시를 비롯해서 숱한 예술에서 꼭 거쳐야 하는 과정이 자기를 직시하는 과정일 겁니다. 바깥의 날씨가 여름이든 겨울이든 상관없이, 자기 소리가 잘 나오든 못 나오든 상관없이 일단은 들어야 하고 보아야 하고 그래서 스스로 감옥을 만들듯 양동이 속에 들어가서 고행하는 사람. 고행하듯이 때로는 신음하듯이 때로는 짐승 소리와 다름없는 소리를 내면서 조용히 미쳐가는 사람. 우그러진 양동이처럼 귀도 우그러지고 얼굴도 우그러지고 인상도 우그러지는 사람. 종내에는 영혼까지 우그러진 것처럼 보이는 사람이 세상에 나와서 선보이는 작품도 그래서 우그러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왕이면 반듯한 영혼을 담아 세상에 내보이면 좋겠지만, 이미 피땀 흘려가며 연마할 때부터 우그러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했던 사람에게 반듯하게 생긴 결과물을 기대하는 자체가 욕심일 겁니다. 적어도 예술의 영역에서는 우그러짐이 필수이고 숙명이고 그래서 오히려 즐겨야 할 덕목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우그러진 노래로 양동이를 펴”듯이, 우그러진 예술이 때로는 우그러진 세상을 밀고 나가서 똑바로 펼 때도 있습니다. 기적적으로 세상을 반듯하게 펴는 순간이 있기에 우리는 예술가의 그 우그러진 힘을 사랑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허밍과 메아리의 가사로 된” 1인용 노래를 “우그러진 모자처럼 쓰고” 다니는 이를 내내 응원하는 마음이 생기는 것도 그 때문일 겁니다.

추천 콘텐츠

마윤지 시인의 목소리로 듣는 「동지」

동지(冬至) 마윤지 12월에는 흐린 날이 하루도 없으면 좋겠다 그런 약속이 있으면 좋겠다 놀이터엔 애들도 많고 개들도 많으면 좋겠다 살도 안 찌고 잠도 일찍 들면 좋겠다 조금 헷갈려도 책은 읽고 싶으면 좋겠다 어디든 갈 수 있는 차표를 잔뜩 사고 안 아프면 좋겠다 30만 년 전부터 내린 눈이 쌓이고 눈의 타임캡슐 매일의 타임캡슐 다 흘러가고 그게 우리인가 보다 짐작하는 날들이 슬프지 않으면 좋겠다 묻어 놓는 건 숨기는 게 아니라 늘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지 그 무엇보다 많이 만져 보는 거지 나중엔 번쩍 번개가 되는 거지 오렌지색 같은 하늘이 된다 맛도 향기도 손가락이 열 개인 털장갑 이를테면 깍지 햇빛의 다른 말이다 - 시집 『개구리극장』(민음사, 2024)

  • 최고관리자
  • 2024-12-12
허꽃분홍 배우의 목소리로 듣는 최지은 시인의 「가정」

가정 최지은 우리는 말이 없다 낳은 사람은 그럴 수 있지 낳은 사람을 낳은 사람도 그럴 수 있지 우리는 동생을 나눠 가진 사이니까 그럴 수 있지 저녁상 앞에서 생각한다 죽은 이를 나누어 가진 사람들이 모두 모이면 한 사람이 완성된다 싹이 오른 감자였다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없는 푸른 감자 엄마는 그것으로 된장을 끓이고 우리는 빗소리를 씹으며 감자를 삼키고 이 비는 계절을 쉽게 끝내려 한다 커튼처럼 출렁이는 바닥 주인을 모르는 손톱을 주웠다 나는 몰래 그것을 서랍 안에 넣는다 서랍장 뒤로 넘어가버린 것들을 생각하면서 서랍을 열면 사진 속의 동생이 웃고 있다 손을 들어 이마를 가리고 있다 환한 햇살이 완성되고 있었다 우리는 각자의 방으로 흩어진다 우리가 눈 감으면 우리를 보러 오는 한 사람이 있었다 우리는 거기 있었다 - 시집 『봄밤이 끝나가요, 때마침 시는 너무 짧고요』(창비, 2021)

  • 최고관리자
  • 2024-11-14
조성래 시인의 목소리로 듣는「창원」

창원 조성래 창원으로 갔다 이제 두 달도 더 못 산다는 어머니 연명 치료 거부 신청서에 서명하러 갔다 아무리 먼 곳이라도 일단 도착하면 나는 그곳과 너무 가까운 사람이었다 먼 곳은 먼 곳으로 남겨 두기 위하여 나는 아무 데도 가고 싶지 않았다 먼 곳이 너무 싫어서 먼 곳을 견딜 수가 없어서 세상의 모든 먼 곳으로 가고 싶었다 속속들이 모든 먼 곳을 다 알고 모든 먼 곳을 파악하고 모든 먼 것들의 사정을 다 이해하고 용서하는 전지하신 하느님께 합장하고 기도 올리는 성모마리아······ 파티마 병원에 어머니는 누워 계셨다 빗자루에 환자복을 입혀 놓은 것처럼 바싹 말라서 아직 살아 계셨다 내 손을 잡고 울다가 자기가 죽을 것을 알고 있다는 듯이······ 그러다 조금 뒤면 자기가 죽을 것을 까맣게 모르는 사람처럼······ 내가 하나도 밉지 않은 듯이, 어제도 날 본 사람처럼 웃었다 다음 생에는 안 싸우고 안 아픈 곳에서 함께 있자고 이제 당신이 내 자식으로 태어나라고 내가 당하겠다고 당신도 당해 보라고 눈물이 끝 모르고 흘렀다 눈물 흘릴 자격이라도 있는 것처럼 마치 자식 된 사람인 것처럼······ 그 시각 모든 일이 먼 곳에서 동시에 벌어지고 있었다 거기선 엄마도 죽고 나도 죽고 끔찍한 날 피해 자리를 비킨 동생도 죽고 모두 죽어서 죽고 나서 웃고 있었다 모두 지난 일이라는 듯 모두 지나야 했던 일이라는 듯······ 그러나 그건 나 혼자서 듣는 소리였다 어머니는 홀로 죽을 것이며 나는 여전히 어떤 현실들에 마비된 채 살아도 되는 사람처럼 살아서 살아 있는 것 같은 사람들 사이를 걸어 다닐 것이다 —시집 『천국어사전』(타이피스트, 2024)

  • 최고관리자
  • 2024-10-11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