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단골이고 싶지 않아서 | 조해주 「단골」
- 작성일 2025-02-06
- 좋아요 1
- 댓글수 0
단골
조해주
내가 다니는 회사는 종로에 있고
근처에 자주 가는 카페가 있다
나는 단골이 되고 싶지 않아서
어떤 날은 안경을 쓰고
어떤 날은 이마를 훤히 드러내고
어떤 날은 혼자 어떤 날은 둘이
어떤 날은 말없이 고개만 끄덕이다가 나오는데
어떻게
차갑게,
맞지요?
주인은 어느 날 내게 말을 건다
커피를 받아들고 나는 어떤 표정도 짓지 않았다고 생각했으나
저어서 드세요,
빨대의 끝이 좌우로 움직이고
덜컥 문이 잠기듯
컵 안에 든 얼음의 위치가 조금 어긋난다
주인은
내가 다니는 회사 맨 꼭대기 층에 지인이 일하고 있다고 한다
혹시 김지현이라고 아나요?
나는 그런 이름이 너무 많다고 대답한다
그렇구나,
주인은 얼음을 깨물어 먹고
설탕처럼 쏟아지는 창밖의 불빛들
참, 내일은
어떻게 하면 처음 온 사람처럼 보일까 생각하면서
- 시집 『우리 다른 이야기 하자』(아침달, 2019)
시를 다 읽고 나서 질문 하나가 남습니다. 화자는 왜 이렇게 단골이 되기 싫은 걸까요? 자주 가는 카페이니 단골이 되고 싶지 않아도 단골이 될 수밖에 없는 형편인데, 왜 이렇게 애를 쓰면서 단골처럼 보이는 걸 피하려는 걸까요? 애를 쓴다는 것이 티도 나지 않는 소심한 변장술에 불과한데, 그럼에도 단골처럼 보이지 않으려는 마음은 간절할 정도로 티가 납니다. 다시 묻습니다. 화자는 왜 이렇게 단골이 되지 않으려는 데 진심일까요? 진심을 나누는 사이도 아닌데, 속사정이나 속마음을 터놓는 사이도 아닌데, 단골이라는 이유로 이것저것 사적인 것까지 얘기해야 하는 상황이 미리부터 부담스러웠던 걸까요? 단골이라고 해서 자신의 직업이나 가족, 출신 학교나 고향을 들먹이며 대화하는 것이 왠지 불편한 사람도 있으니까요. 멀리 갈 것 없이 내가 꼭 그렇습니다. 어지간해서는 타인에게 자신을 내보이고 싶지 않은 사람. 자신을 내보이는 만큼 타인과 가까워지는 것을 버거워하는 사람. 가까운 만큼 책임질 일이 많아지는 것을 힘겨워하는 사람.
가까우면 가까운 대로 멀면 먼 대로 잔신경을 써야 하는 관계는 이미 차고 넘칩니다. 사회생활을 한다는 것이 사회에서 만나는 온갖 사람과의 온갖 관계에 대해 온갖 잔신경을 써야 한다는 말이니, 하루하루가 그토록 피곤한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미 쓸 수 있는 신경을 다 쓰고 있는 사람이라면, 쓸 수 있는 용량이 부족해서라도 더 신경 쓸 일을, 관계를, 사람을 만들고 싶지 않을 겁니다. 사람이 싫은 것도, 관계가 싫은 것도, 책임질 일이 싫은 것도 아닙니다.
그저 용량이 부족해서 더는 신경 쓸 일을 만들지 못하는 사람을 그래서 조금은 너그럽게 보아줬으면 하는 바람이 남습니다. 이것저것 불필요한 질문을 던지는 카페 주인이 꼭 무례한 사람인 것만은 아니듯이, 단골처럼 보이지 않으려고 무진 애를 쓰는 저 시의 화자도 이상하게만 볼 것이 아닙니다. 그저 주어진 용량 안에서 혹은 타고난 그릇 안에서 최선을 다해 관계를 맺고자 하는 사람으로 보아줬으면 하는 바람을 마지막에 붙입니다. 이상으로 감상을 대신한 자기 변론이었습니다.
추천 콘텐츠
멍 임솔아 더러워졌다. 물병에 낀 물때를 물로 씻었다. 투명한 공기는 어떤 식으로 바나나를 만지는가. 멍들게 하는가. 멍이 들면 바나나는 맛있어지겠지. 창문을 씻어주던 어제의 빗물은 뚜렷한 얼룩을 오늘의 창문에 남긴다. 언젠가부터 어린 내가 스토커처럼 끈질기게 나를 따라다닌다. 꺼지라고 병신아, 아이는 물컹하게 운다. 보란 듯이 내 앞에서 멍든 얼굴을 구긴다. 구겨진 아이가 내 앞에 있고는 한다. 사랑받고 싶은 날에는 사람들에게 그 어린 나를 내세운다. 사람들은 나를 안아준다. 구겨진 신문지로 간신히 창문의 얼룩을 지웠다. 창밖을 내다보다 멍든 바나나를 먹었다. - 『괴괴한 날씨와 착한 사람들』(문학과지성사, 2017)
- 문장지기
- 2025-05-08
움직이지 않고 달아나기 멈추지 않고 그 자리에 있기 임유영 시험이 끝나고 너와 같이 걸었다 옛날처럼 손잡고 다정하게 여기서 만날 줄은 정말 몰랐네 그렇지 개구리 군복을 입은 넌 중앙도서관에서 내려왔고 나는 종로 어디 구석진 찻집에서 대추차랑 약과를 먹고 있었는데 통유리창 밖에서 네가 손 번쩍 들고 인사했지 우리 그때 눈이 마주쳐서 웃었지 네 코에 걸쳐진 잠자리 안경 밑에 (넌 가끔 안경을 꼈지) 하얀색 마스크 속에 (너도 요즘 마스크를 쓰고 있겠지) 너의 입술이 천천히 그리는 반달 우리는 천천히 산책을 했지 아무래도 쫓기는 마음으로 이제 곧 경찰이 들이닥치고 나의 친구들은 모두 맞아서 다칠 텐데 하지만 내가 대오를 벗어나는 선택을 한번 해본 것인데 경멸 없이 너를 만나보고 대추차도 먹어보고 허름한 찻집에도 들어가보고 불친절한 주인 남자에게 화내지도 않고 담배 피우지 않고 술 마시지 않고 불평하지 않고 우울하지도 않고 한 번쯤 그래보고 싶었어 다르게도 살아보고 싶어 그날 내가 본 것 그날 내가 겪은 것 모두 새로 기입하는 이 흐린 저녁 그 가로등 아래서 다시 만나자 다시 만나자 - 시집 『오믈렛』(문학동네, 2023)
- 문장지기
- 2025-04-05
세컨드핸드 조용우 시장에서 오래된 코트를 사 입었다 안주머니에 손을 넣자 다른 나라 말이 적힌 쪽지가 나왔다 누런 종이에 검고 반듯한 글씨가 여전히 선명했고 양파 다섯, 감자 작은 것으로, 밀가루, 오일(가장 싼 것), 달걀 한 판, 사과주스, 요 거트, 구름, 구름들 이라고 친구는 읽어 줬다 코트가 죽은 이의 것일지도 모른다며 모르는 사람의 옷은 꺼림칙하다고도 했다 먹고사는 일은 어디든 비슷하구나 하고 웃으며 구름은 무슨 뜻인지 물었다 구름은 그냥 구름이라고 친구는 답했다 돌아가는 길에 모르는 사람이 오래전에 사려고 했던 것들을 입으로 외워 가면서 어디로 간 것일까 그는 여전히 조용하고 따뜻한 코트를 버려두고 이 모든 것을 살뜰히 접어 여기 안쪽에 넣어 두고 왜 나는 모르는 사람이 아닌 것일까 같은 말들이 반복해서 시장을 통과할 때 상점으로 들어가 그것들을 하나씩 바구니에 담아 넣을 수 있다 부엌 식탁에 앉아 시큼하기만 한 요거트를 맛있게 떠먹을 수도 있다 오늘 저녁식사로 할 수 있는 것들을 떠올리면서 놀라운 것이 일어나고 있다고 느끼면서 구름들 바깥에서 이곳을 무르게 둘러싸고서 매일 단지 다른 구름으로 떠오는 그러한 것들을 이미 일어난 일처럼 지나쳐 걷는다 주머니 속에 남아 있는 이름들을 하나씩 만지작거리면서 나는 오고 있다 - 시집 『세컨드핸드』(민음사, 2023)
- 문장지기
- 2025-03-06
저번까지 읽은 이후로 이어보시겠어요?
선택하신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