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학시설 소개 및 지원신청

문학시설 소개

김유정문학촌

‘영원한 청년작가’ 김유정의 문학정신을 계승하고, 문학적 업적을 알리기 위해 조성한 문화시설입니다. 김유정문학촌이 위치한 춘천의 실레마을은 「봄·봄」, 「동백꽃」 등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김유정문학촌에는 다양한 문학적 경험을 충족 시켜드릴 수 있는 여러 공간이 있습니다. 

김유정의 조카와 제자들의 고증을 통해 새롭게 탄생한 김유정생가

김유정의 일대기를 다룬 미술작품이 전시된 김유정기념전시관

애니메이션 상영관과 특별전시관이 있는 김유정이야기집

매년 2~3회 새로운 전시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획전시실이 있는 낭만누리

도자기공예, 민화체험, 가죽공예, 비즈공예 체험을 해볼 수 있는 공예체험방


실레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금병산 등산로에는 김유정 작품 속 실제 이야기를 감상할 수 있는 실레이야기길 열여섯 마당이 있습니다. 매년 김유정 추모제를 비롯하여, 김유정문학축제, 주말상설공연, 이엉갈이 등의 각종 축제와 시민들을 위한 문학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모집기간 2025.03.27 ~ 2025.04.10 양식 다운로드

1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
시설구분, 시설유형, 문학시설 개관일, 지역, 주소, 대표번호, 담당자, 이메일, 홈페이지 URL, 운영시간
시설구분 문학관 시설유형 사립
문학시설 개관일 2002-08-06 지역 강원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동면 실레길 25
대표번호 033-261-4651 담당자 정민교
이메일 ceci0305@hanmail.net 홈페이지 URL http://www.kimyoujeong.org/
운영시간 화~일 09:30~18:00
월요일 휴관
문학시설 소개 영상
문학프로그램 운영현황 (최근3년)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2024 김유정문학축제 1,500명 2024.10.17. ~ 10.19. -
2024 김유정문학촌 주말상설공연 1,413명 2024.5. ~ 2024.10. -
2023 기획전시 ‘김유정 읽는 여름’ 5,000명 2023.7.11. ~ 8.31. -
2023 실레마을 문학체험 230명 2023.4.8. ~ 9.23. -
2022 야외전시 ‘유정, 그와 함께’ 2,000명 2022.10.1. ~ 10.16. -
2022 김유정작가상 수상작가와의 만남 60명 2022. 10. 16. / 2022. 12. 3. 2회 진행

25년도 프로그램 운영개요

문학프로그램 운영개요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1 김유정문학촌 에세이 교실
<삶, 문학이 되다>
2025. 6. 7. (토) ~ 8. 23. (토)
매주 토요일, 14시~16시(2시간),
총 12회차
강의 계획 (상주작가 협의 후 변경 예정)
2 에세이 교실 결과 수필집 발간 기념
‘북토크’ 진행
2025. 10. 24. (금) 14:00~15:00 - 김유정 문학으로 보는 김유정의 삶
- 수필집 참여 수강생, 다양한 연령층의 초청 패널 인터뷰
※ 북토크 촬영하여 유튜브 콘텐츠 제작
  • 사업 참여동기

    지역 인구의 평균 연령대 증가 및 고령화 추세에 맞추어 상주작가와 함께 시니어 대상 에세이 교실을 운영한다. 12주 간의 에세이 창작 교육 후, 상주작가의 지도와 퇴고 과정을 거쳐 수필집을 발간하고 배포한다. 수필집은 보다 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시니어 세대가 가진 삶의 경험을 젊은 세대와 나눌 수 있는 ‘공동 주제’를 선정하여 집필한다.
    이 모든 과정은 글쓰기와 문학을 통해 자신과의 소통, 타인과의 소통, 세상과의 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두며 공립문학관으로서 김유정문학촌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상주작가 협업계획 및 기대효과

    [상주작가 협업계획]
    □ 에세이 교실 <삶, 문학이 되다>
    - 강의 커리큘럼 기획 및 운영
    - 수강생 수필집 제작 지원

    □ 에세이 교실 <삶, 문학이 되다> 수필집 발간 기념 ‘북토크’
    - 북토크 패널 선정, 섭외
    - 대본 작성

    □ 기타 문학촌 사업 자문, 참여
    - 문예지 기획 및 편집위원

    [기대효과]
    - 지역 사회와 문학관의 유대를 강화하고 시민의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공익을 추구하는 공립문학관의 역할을 확장
    - 시니어 세대의 적극적인 문화 참여를 이끌어 지역 문학 활성화에 기여하며, 나아가 지역사회에 긍정적 영향력 확대

프로그램 진행사진
희망 상주작가
분야, 희망사유, 근무형태
분야 소설 (분야에 관계없이 지원가능)
희망사유 상주작가님께서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에세이 교실’ 문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셔야 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할 상주작가는 수필집을 발간한 경험이 있고, 시니어 대상 프로그램을 열정적으로 운영해줄 수 있는 작가님으로 채용하기를 희망합니다.
또한, 김유정 작가가 소설가이기도 하지만 여러 우수한 수필을 남긴 만큼 수필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분이 문학촌과 함께해 주시기를 희망합니다.
근무형태 주5일근무 / 화~토 / 9시 00분 ~ 18시 00분 / 평균 근무시간 주40시간
상주작가 집필공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