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학시설 소개 및 지원신청

문학시설 소개

목포문학관

 목포문학관은 우리나라 연극에 근대극을 최초로 도입한 극작가 김우진, 우리나라 최초 장편 여성소설가 박화성, 사실주의 연극을 완성한 극작가 차범석, 한국 평론문학의 독보적 존재 김현 등의 문학세계를 접할 수 있는 국내 최대 4인 복합 문학관입니다. 특히 2023년부터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디지털문학관으로 변모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으며, 연중 다양한 문학 교육 및 행사를 통해 지역 문학 활성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모집기간 2025.03.27 ~ 2025.04.10 양식 다운로드

1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
시설구분, 시설유형, 문학시설 개관일, 지역, 주소, 대표번호, 담당자, 이메일, 홈페이지 URL, 운영시간
시설구분 문학관 시설유형 공립
문학시설 개관일 2007-10-09 지역 전남
주소 전남 목포시 남농로 95 목포문학관
대표번호 061-270-4050 담당자 김아름
이메일 areum84@korea.kr 홈페이지 URL https://munhak.mokpo.go.kr/munhak
운영시간 화~일 9:00 ~ 18:00
매주 월요일 휴관
문학시설 소개 영상
문학프로그램 운영현황 (최근3년)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24 문학관 상주작가 지원사업
『동시야 놀자』
지역민 (95) 24.5. ~ 12. -
24 시월애문학여행 지역민, 관광객 (3만) 24.10.5. ~ 10.6. -
23 문학관 상주작가 지원사업
『동시야 놀자』
아동 (105), 일반 (330) 23.3. ~ 11. -
23 지역문학관 특성화사업
『영화가 있는 문학관』
일반시민 (335) 23.5. ~ 11. -
23 전남문학자원연계지원사업
『목포문학제』
지역민, 관광객 (1만) 23.9.14. ~ 9.17. -
23 목포문학박람회 지역민, 관광객 (5만) 23.9.14. ~ 9.17. -
22 문학관 상주작가 지원사업
『유혹하는 글쓰기 외』
일반시민 (175) 22.3. ~ 11. -
22 지역문학관 특성화사업
『찾아라! 목포문학탐방대』
일반시민 (225), 학생 (373) 22.6. ~ 11. -
22 시월애문학여행
『북토피아』
지역민, 관광객 (3만) 22.10.1. ~ 30. -

25년도 프로그램 운영개요

문학프로그램 운영개요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1 해설이 있는 문학관 - 2025.5. ~ 11. (상시)
- 장소 : 목포문학관
- 대상 : 지역민, 관광객, 학생 등
- 관람객 대상 맞춤 문학관 전시해설
- 문학관 전시해설을 통한 문학관홍보
2 성인 대상
『문학창작교실』운영
- 2025.5.1. ~ 2025.11.30.
(총 20회)
- 장소 : 문학관 창작실
(매주 수, 10시)
- 대상 : 일반성인(20명)
- 성인대상으로 다양한 장르의 글쓰기를 경험할 수 있는 창작교실 운영
3 실버층 대상 책 읽어주는 문학관 『책을 듣다』 - 2025. 5. 1. ~ 2025. 11. 30.
(총 10회)
- 장소 : 노인복지관
- 대상 : 노인(65세이상, 15명)
- 실버층 대상으로 책을 읽어주는 프로그램
- 감상 후 이야기 나누기
4 『문학아카데미』 - 2025.5.1. ~ 2025.10.30.
(총 4회)
- 장소: 목포문학관
- 대상 : 일반성인(40명)
- 문학, 예술 분야 강사를 초빙하여 특강 운영
5 가족친화 프로그램 우리가족 동화책 만들기 『동화 속 우리가족』 - 2025.7.19 ~ 2025.8.23.
(총 4회)
- 장소 : 목포문학관
- 대상 : 가족단위 20명
- 우리가족을 주인공으로 동화책 만들기
- 우리가족의 에피소드 찾기
- 에피소드를 이야기로 만들기
- 그림 또는 콜라주를 통해 동화 속 내용 표현하기
- 동화책 제작
6 SNS로 만나는 문학관 - 2025. 5. 1~ 11. 30.
(총 30회/ 매주1회)
- 장소 : 문학관 SNS
- 대상 : SNS 이용객
- 매주 문학관 SNS에 목포문학관 전시, 공간, 자연 등 주제를 정하여 소개
  • 사업 참여동기

    - 지역문학과 지역민의 매개역할로써 상주작가 활용을 통한 문학의 도시 목포의 정체성 확립
    - 지역내 문화소외계층에게 다가가는 자치단체의 공적 역할 도모
    - 문학을 통해 정서함양과 지역민의 문화교양을 고양시키는 삶의질 향상 도모
    - 문학의 다양한 장르를 활용한 연계프로그램을 통해 창의력 발산, 심신수련, 공동체 의미를 다지는 기회의 장 마련

  • 상주작가 협업계획 및 기대효과

    - ‘해설이 있는 문학관’운영을 통한 목포문학 홍보 및 목포문학관 활성화
    - ‘SNS로 만나는 문학관’을 운영하여 매주 문학관 전시, 공간, 자연 등 주제를 정하여 소개함으로써 문학관 홍보 및 활성화에 기여
    - 글쓰기 작품을 활용한 작품집 제작
    - 연령별, 계층별 맞춤 문학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역내 여가문화 갈증 해소
    - 문학과 지역민의 매개자 역할의 상주작가를 통한 창의성과 건전한 여가문화 조성에 기여

프로그램 진행사진
희망 상주작가
분야, 희망사유, 근무형태
분야 아동문학 (분야에 관계없이 지원가능)
희망사유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분야로써 문학 장르인 아동문학을 통한 문학의 대중화 실현
근무형태 주5일근무(2일 재택근무)
화~토요일 : (오전) 9시 00분 ~ (오후) 6시 00분 / 평균근무시간 주40시간
상주작가 집필공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