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학시설 소개 및 지원신청

문학시설 소개

자작나무 책방

저희 자작나무 책방은 서울특별시 후암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후암동은 예로부터 마을에 있던 크고 둥근 두터운 바위를 ‘두텁바위’라고 부른 연유에서 한자의 명칭이 유래하였습니다. 1645년 해방 직후 일본인이 물러나면서 조선신궁이 있던 남산의 인근 지역과 함께 그 일대가 해방됐다는 의미로 ‘해방촌’ 지역으로 불린 바 있으나, 1946년 원래의 명칭인 후암동의 이름을 정식으로 되찾았습니다.

후암동은 근대와 현대가 공존하는 독특한 정서를 보유한 지역입니다. 올해에는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계획하려고 합니다. 후암동의 지역적인 특성상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기도 합니다. 자작나무 책방은 이런 지역적인 특성을 최대한 활용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작나무 책방은 문을 연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책방이지만, 한 달에 서너번의 행사를 꾸준히 진행하며, 책과 사람을 잇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자작숲담과 심야숲담 독서모임은 책방 오픈과 함께 시작하여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북토크 및 강연을 연계한 프로그램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시와 그림’이라는 컨텐츠를 중심으로 시집 필사단을 꾸려 매달 시집을 읽고 쓰고, 작가 초청 행사를 연계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갤러리형 책방을 지향하고 있는 자작나무 책방에서는 매달 그림책 원화 전시와 그림책 작가 북토크 및 강연을 함께 진행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그림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그림책 캐릭터 인형 만들기 등의 추가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합니다.

모집기간 2025.03.27 ~ 2025.04.10 양식 다운로드

4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
시설구분, 시설유형, 문학시설 개관일, 지역, 주소, 대표번호, 담당자, 이메일, 홈페이지 URL, 운영시간
시설구분 서점 시설유형 사립
문학시설 개관일 2024-06-29 지역 서울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후암로 36 2층
대표번호 02-6261-7770 담당자 조성순
이메일 jajaknamubooks@naver.com 홈페이지 URL https://www.instagram.com/jajaknamu_books_?igsh=Nzc1OWRyaWVydnNw&utm_source=qr
운영시간 화~목, 토, 일 11:00 ~ 20:00
월 13:00 ~ 20:00
매주 금요일 휴관
문학시설 소개 영상
문학프로그램 운영현황 (최근3년)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자작숲담 8인 2024년 6월 ~ 현재
2, 4주 토요일 오후 2시~4시
<빨간머리 앤> 완역본,
<제주도우다> 등 읽고 토론
심야숲담 6인 2024년 6월 ~ 현재
매주 금요일 오후 9시
<일리아스>, <오뒷세이아>
<호메로스와 함께하는 여름>
등 낭독의 형태로 읽으며 진행
시니어 동시 읽기 모임
(박소이 시인 & 한은선 시인)
6인 2024년 7월 ~ 9월
1, 3주 토요일 오후 1시~3시
매달 동시집 2권을 읽고 분석 및 비평
2030 책읽자
「문학 + 비문학」
4인 2024년 9월 ~ 10월
2, 4주 토요일 오후 2시
2030대 책읽기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프로그램 진행
제5회 유네스코‧겨레말큰사전 국제학술포럼 30인 2024년 10월 5일 오후 3시 겨레말큰사전 편찬 사업회와 협업으로 말들의
서울 소풍 2 진행
참여 작가: 안상학 시인, 송진권 시인, 이대흠 시인, 허희 평론가
시집 필사단 시집 한 권을 필사하고 바인딩 시집을 완성함 5인 2025년 1월 ~ 현재 1월의 시집: 김사인 시인의
<가만히 좋아하는>
2월의 시집: 고명재 시인의
<우리가 키스할 때 눈을 감는 건>
3월의 시집: 김명기 시인의
<종점 식당>

25년도 프로그램 운영개요

문학프로그램 운영개요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1 작가와 함께하는 그림책 만들기 2025. 5. 1. ~ 2025. 10. 30.
(주 1회 총 24회 운영)
- 그림책의 이해(6차시): 그림책이란 무엇이며, 그림책의 글과 그림의 구조적 특징 이해
- 그림책 창작 연습(10차시): 그림책의 서사를 구성하기 위한 글과 그림의 다양한 기법 연습
- 더미북 발표 및 상호 피드백(6차시): 글과 그림을 다듬어 발표하고 더미북 완성
2 작가와 함께하는 그림책 그림 따라 그리기 or 매일 한 장 그리기 2025. 5. 1. ~ 2025. 11. 30.
(주 1회 총 28회 운영)
- 매주 선정한 그림책을 읽고 토론
- 자신에게 맞는 매체를 선정하고 그림책의 그림을 따라 그림
- 연습한 그림을 활용하여 매일 한컷 그림과 글쓰기
- 온라인 공유방을 통해 매일 그림 올리고 상호 격려
3 시집 필사 & 북바인딩
& 작가 초청 문학 행사
2025. 1. 1. ~ 2025. 12. 30.
(각 월 1회 총 12회 운영)
-매월 필사할 시집을 선정하고, 각각 맡은 부분을 필사하여 한 권의 북바인딩 시집을 만듦
-필사한 시집과 연계하여 작가님을 초청한 문학 행사
4 그림책 원서 읽기 모임 2025. 5. 1. ~ 2025. 11. 30.
(월 2회 총 14회 운영)
- 미야자와 겐지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고, 미야자와 겐지 원서 그림책 읽기를 시작으로 일본 원서 그림책 함께 읽기
- 한국어 그림책과 일본 원서 그림책을 비교하며 읽기
- 그림책의 감상을 나누고 일본어로 함께 읽기
- 어려운 일본어 단어를 익히고 연습함
5 그림책 에세이 쓰기 2025. 5. 1. ~ 2025. 11. 30.
(월 2회 총 14회 운영)
- 그림책의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인생 그림책을 찾음
- 인생 그림책을 자신의 삶에 적용하요 글쓰기를 함
- 2주에 한 편을 완성하여 나누고 상호 피드백 제공
  • 사업 참여동기

    자작나무 책방은 신생 책방으로 책방이 문화공간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곳입니다. K-그림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그림책의 가치를 알리고 더 깊이 다가가기 위한 깊이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 상주작가 협업계획 및 기대효과

    그림책을 토대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이를 통해 책방이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동체의 장으로 만들어 갈 것입니다. 자작나무 책방은 서울역 근교에 위치해 있어 지방에서의 접근성이 좋아서 서울과 지방 간의 구심점 역할을 하며 문화교류를 할 수 있는 장이 되도록 할 것입니다. 책방 대표는 그림책 연구자 및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성을 기반으로 한 상주작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이를 확장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그림책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책방이 젊은 세대의 소통의 창구로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프로그램 진행사진
희망 상주작가
분야, 희망사유, 근무형태
분야 아동문학 (분야에 관계없이 지원가능)
희망사유 ‘시와 그림’이라는 컨셉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기 때문에, 함께 협업하여 성공적인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그림책 작가를 희망합니다.
근무형태 주5일근무(1일 재택근무)
평일 : (오전) 11시 00분 ~ (오후) 6시 00분 / 평균 근무 시간 주40 내외
토요일 : (오전) 11시 00분 ~ (오후) 7시 00분
* 일정에 따라 주말 근무 有, 재택근무일은 협의 후 진행
상주작가 집필공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