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학시설 소개 및 지원신청

문학시설 소개

검단도서관

서관은 21년의 역사를 자랑하며, 최근 리모델링을 통해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검단도서관은 도/농 복합지역에 위치하여 도시 발전의 중심지인 검단신도시와 인접해 있으며, 신도시 입주로 인해 다양한 지역에서 많은 분들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또한, 주거 밀집 지역에 자리 잡고 있어 초등학교 3개교, 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1개교가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검단복지회관과 동일한 부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천 서구 지역의 스토리텔링 센터로서, 창작 프로그램을 활발히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그림책 36권과 에세이집 1권을, 2024년에는 단편소설집 1권과 에세이집 2권을 제작하며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모집기간 2025.03.27 ~ 2025.04.10 양식 다운로드

10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
시설구분, 시설유형, 문학시설 개관일, 지역, 주소, 대표번호, 담당자, 이메일, 홈페이지 URL, 운영시간
시설구분 도서관 시설유형 공립
문학시설 개관일 2004-07-21 지역 인천
주소 인천광역시 서구 완정로92번길 18, 검단도서관
대표번호 032-561-4117 담당자 최다정
이메일 dajeong92@issi.or.kr 홈페이지 URL https://www.issl.go.kr/
운영시간 화~금 9:00 ~ 22:00
토~일 9:00 ~ 18:00
매주 월요일 휴관
문학시설 소개 영상
문학프로그램 운영현황 (최근3년)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나를 위한 해시태그 270 2024. 7. 18. ~ 11. 1 -
우리가 함께 시를 읽을 수도 있겠습니다 28 2024. 6. 18 -
보글보글 우리들의 도서관 359 2024. 5. 18. ~ 6. 4 -
그림책이 된 도서관 : 고민시리즈 95 2024. 5. 2. ~ 6. 2 -
책 울림 이브닝 222 2024. 4. 12. ~ 4. 16 -
사이다와 고구마가 만나면 47 2024. 2. 20 -
뛰어라, 슈퍼 거북! 32 2023.10.7 -
Thinking Map 35 2023. 10. 5. ~ 11. 30 -
어반포토로 글쓰기 31 2023. 9. 1. ~ 10. 13 -
Reading Book, Making Book 69 2023. 8. 22. ~ 11. 14 -
출동! 디지털 도서관 47 2023. 7. 25. ~ 8. 17 -
다이어리 Alpha, 다이어리 X 334 2023. 7. 19. ~ 11. 10 -
무작정 글쓰기 35 2023. 6. 20. ~ 8. 8 -
도서관과 함께 책 읽기 99 2023. 6. 1. ~ 9. 7 -
나를 찾는 기록 267 2023. 5. 18. ~ 8. 24 -
극단 검단 : 일일 배우 모집 6 2023. 5. 12 -
추억이 담긴 인생레시피 109 2023.4. 26. ~ 7. 19 -
책 울림 401 2023. 4. 11. ~ 4. 23 -
우리 동화 함께 읽기 시즌2 221 2023. 3.2. ~ 4. 30 -
브런치 특강 18 2023. 2. 21 -
12월 당신의 도서관 310 2023. 12. 1. ~ 12. 9 -
읽어봐요, 달평 씨 13 2022. 11. 18 -
Book적 Book적 책읽기 99 2022. 10. 12. ~ 12. 14 -
우리 동화 함께 읽기 268 2022. 10. 5. ~ 11. 30 -
방실방실 도서관 84 2022. 8. 9. ~ 8. 12 -
길 위의 독서 22 2022. 7. 27 -
70인 5주 챌린지 476 2022. 6. 13. ~ 7. 14 -
그림책 세상 20 2022. 6. 10. ~ 6. 17 -
그림책 속 ART&PLAY 42 2022. 6. 8. ~ 6. 29 -
심심과 열심 사이 20 2022. 5. 21 -
심야책방 99 2022. 5. 4. ~ 11. 30 -
슬기로운 독서클럽 122 2022. 5. 3. ~ 7. 19 -
연결고리 책놀이 268 2022. 5. 2. ~ 8. 18 -
날마다 그냥 쓰면 된다 20 2022. 3. 19 -

25년도 프로그램 운영개요

문학프로그램 운영개요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1 작가의 첫걸음 2025. 5. 1. ~ 2025. 11. 30.
(상시운영)
자신이 쓰고자 하는 글을 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이용자 신청을 통해 직접 면담 혹은 E-mail을 통해 첨삭
2 작가X작가 2025. 5. 29. ~ 11. 27
(격월 1회 총 4회 운영)
상주작가와 다른 분야(그림책, 동화, 시, 소설, 에세이 등)의 작가와 함께 새로운 장르에 대한 북토크
3 1060 글쓰기 워크숍 2025. 6. 1. ~ 11. 30
(월 2회, 총 12회 운영)
10대부터 60대까지 세대별 관심 주제에 따른 워크숍 진행
(예시 : 10대 독서록, 60대 자서전)
4 한 가족 한 책 읽기 2025. 7. 22. ~ 8. 14
(주 1회, 총 4회)
가족이 함께 그림책을 읽고 소통 및 토론
5 우리 마을 아카이브 2025. 9. 1. ~ 10. 31
(주 1회, 총 8회)
‘우리 마을’ 이라는 친근한 주제를 중심으로 에세이 원고 작성
  • 사업 참여동기

    [사업 필요성]
    - 신도시 개발로 인해 유입인구도 많아지며 최근 학생 뿐만 아니라 성인들의 글을 이해하는 능력인 문해력 수준이 낮은 것이 화두로 떠오름
    - 문해력 상승을 위한 해결방법은 독서에 있다고 보며 문해력 증진을 위해 책을 함께 읽고 생각을 공유, 다시 문학으로 풀어낼 수 있도록 상주작가와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

    [추진배경]
    - 디지털 시개 계층을 막론한 문해력 문제가 대두되는 시기에 다양한 형태의 쓰기 활동을 통해 도서관 기능을 강조하고자 함
    - 2016년부터 운영 중인 「브런치 특강」 등 글쓰기 및 기록, 출판 프로그램의 다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 내 스토리텔링 센터 역할을 수행

  • 상주작가 협업계획 및 기대효과

    - 공공도서관-상주작가-도서관이용자가 연계하여 독서멘토-멘티의 역할이 되어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감수성 신장 및 사고력 향상에 기여
    - 작가와 함께 책을 읽고 서평을 써봄으로써 자기주도적인 평생 독자 양성
    - 문학 작품을 진지하게 감상하고 직접 글을 써보는 수업을 통하여 문학적 감수성 신장 및 창의적 표현 능력 향상에 기여

프로그램 진행사진
희망 상주작가
분야, 희망사유, 근무형태
분야 아동문학 (분야에 관계없이 지원가능)
희망사유 10대부터 60대까지 세대별 공감을 주제로 창작프로그램 운영
근무형태 주5일근무(2일 재택근무)
평일 : (오전) 9시 00분 ~ (오후) 6시 00분 / 평균근무시간 주40시간
* 재택근무일 월요일 포함 泌 / 프로그램 운영 시 주말근무 가능
상주작가 집필공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