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학시설 소개 및 지원신청

문학시설 소개

대구문학관

한국 근대 문인들의 주요 활동 중심지였던 대구 향촌동에 위치한 대구문학관은 2014년 10월에 개관한 이래 대구 지역의 근현대 문학을 아우르는 문학관으로, 국내 지역문학관 가운데서도 대표적인 종합문학관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대구문학관은 지역 문단과 시민 사회를 대상으로 한 ‘문학자료 기증운동’을 통해 2024년 현재, 총 2만 3천여 점에 이르는 소중한 근현대 주요 문학자료를 수집하여 소장하고 있으며, 수집한 자료들은 전문적인 보존 관리와 함께 연구 및 전시로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발굴한 지역 문학사의 주요한 흐름을 시민들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근대문학의 주요 거점들이 밀집해 있는 지리적 특징을 바탕으로 ‘대구문학로드’ 등의 문학 관광·체험 프로그램과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여 대구의 문학정신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지역 작가들과 함께하는 강연, 공연 등 다양한 문학진흥·향유 프로그램을 통해 생활 속에서 문학이 살아 숨 쉬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모집기간 2025.03.27 ~ 2025.04.10 양식 다운로드

0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
시설구분, 시설유형, 문학시설 개관일, 지역, 주소, 대표번호, 담당자, 이메일, 홈페이지 URL, 운영시간
시설구분 문학관 시설유형 공립
문학시설 개관일 2014-10-30 지역 대구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
대표번호 053-424-1232 담당자 이성호
이메일 modl1231@naver.com 홈페이지 URL www.modl.or.kr
운영시간 하계 : 09:00 ~ 19:00 / 동계 : 09:00 ~ 18:00
휴관 : 매주 월요일, 설, 추석
문학시설 소개 영상
문학프로그램 운영현황 (최근3년)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그림책 놀이터 65 2021. 11. 20. ~ 2022. 2. 26. 문학교육
2022 작가의 서재 19,573 2022. 4. 26. ~ 10. 3. 작가대담영상
너의 이야기를 들어줄게 II 66 2022. 8. 4. ~ 13. 문학교육
소설 <장난감 도시> 연극이 되다 40 2022. 8. 13. 문학공연
봄을 펼쳐 봄 250 2022. 4. 23. ~ 24. 문학축제
문득, 지금, 여기 I 138 2022. 9. 17. ~ 11. 19. 문학교육
낭독의 공동체 90 2022. 10. 8. ~ 22. 문학공연
도란도란 문학여행 152 2022. 4. 9. ~ 8. 27. 문학교육
대구의 힘, 문학의 힘 1,871 2022. 7. 12. ~ 12. 29. 문학강연
2022 문학을 품은 예술, 예술가 106 2022. 9. 14. / 11. 2. 학술세미나
사투리 이쁘다 아이가 1,297 2023. 2. 21. ~ 28. 문학공연
문학과수원, 문학이랑 노랑 133 2023. 4. 22. ~ 23. 문학축제
2023 문학, 꽃 피다 1,456 2023. 4. 26. ~ 7. 19. 문학강연
문학관 콜로퀴엄 215 2023. 7. 26. ~ 8. 16. 문학토론회
문득, 지금, 여기 II 160 2023. 8. 26. ~ 11. 11. 문학교육
소설 <장난감 도시> 연극이 되다 57 2023. 9. 23. 문학공연
너의 이야기를 들어줄게 III 216 2023. 10. 12. ~ 21. 문학교육
2023 문학을 품은 예술, 예술가 82 2023. 9. 14. / 11. 2. 학술세미나
2024 문학 오디세이 166 2024. 5. 1. ~ 11. 2. 문학교육
2024 오늘의 문장들 28 2024. 7. 27. / 9. 12. / 11. 27. 문학강연
2024 떠나요 글숲 문학 소풍 451 2024. 4. 23. ~ 4. 28. 문학축제
2024 문학만개 844 2024. 9. 5. ~ 11. 14. 문학강연
대구 문학로드 1,267 2024. 3. 1. ~ 2024. 11. 30. 문학로드

25년도 프로그램 운영개요

문학프로그램 운영개요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1 낭독의 공동체: 문학 서평단 2025. 06. 01. ~ 2025. 09. 30.
(4개 장르별 3회, 총 12회 운영 )
- 시, 소설, 아동문학, SF 등 주요 장르별 지역 작가 중심의 작품을 선정
- 장르별 참여자를 모집하여 해당 작품과 관련한 잡답회 및 서평 쓰기 진행
- 잡담회 진행 중 해당 저자를 초대하여 작가와의 대화시간 마련 : 서평을 위한 생각 및 정보 교환 활동
2 매핑(Mapping): 대구문학여지도 2025. 10. 01. ~ 2025. 11. 30.
(격주, 총 4회 운영)
- 이상화, 이육사, 현진건, 이장희, 구상, 박목월, 김춘수, 김원일, 이동하 등 대구 대표 작가들의 활동공간을 찾아보며 문학지도 만들기를 위한 매핑 활동 진행
- 문인들의 대표 작품을 매개로 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생산
3 문학방송국: 오늘의 문장들 2025. 05. 01. ~ 2025. 11. 30.
(분기별, 총 2회 운영)
- 지역에서 출간되는 신간을 문학관 내 특별공간 및 홈페이지, 블로그를 통해 매월 소개하고, 그 중 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작가 인터뷰 진행
  • 사업 참여동기

    작가와 독자가 마주하여 서로가 처한 사회 역사적 경험을 이야기하며 창작의 시너지와 문학 향유의 가치를 높이고, 문학 프로그램이 지닌 미래 지향의 가치를 새롭게 만들어 내고자 합니다.

  • 상주작가 협업계획 및 기대효과

    [상주작가 협업계획]
    □ 낭독의 공동체: 문학 서평단
    - 프로그램 커리큘럼 기획 및 운영(교육)
    - 참여자 글쓰기 지도
    - 작가 섭외 및 대화 진행

    □ 매핑(Mapping): 대구문학여지도
    - 문학지도 코스 및 가이드 구성
    - 스토리텔링 글쓰기 지도

    □ 문학방송국: 오늘의 문장들
    - 매월 지역 발간 신간 소개 및 우수 작가 선정
    - 작가와 대화 및 팟케스트 방송 진행

    [기대효과]
    - 문학을 직접 체험하고 공유함으로써 문학을 통한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자기 정체성 확립
    - 작가 간, 작가-시민 간 문학 커뮤니티 형성을 통해 지역 문학 활성화에 기여
    - 지역 작가들의 창작의욕 고취 및 독자와의 소통 기회 확대
    - 문학의 주체인 작가와 시민 중심의 문학 콘텐츠 개발・운영으로 작가 및 시민들의 자발적인 문학관 운영 프로그램 참여 기회 확대 → 문학관의 지역 문학 교류의 거점화
    - 상주작가의 전문성을 결합한 대구문학관 콘텐츠 활용의 다각화
    - 문학을 통해 지역 문화를 선도하여 삶과 생활의 중심공간으로서의 대구문학관 역할 강화

프로그램 진행사진
희망 상주작가
분야, 희망사유, 근무형태
분야 시,시조 (분야에 관계없이 지원가능)
희망사유 시인의 도시라는 대구의 특성과 지역 주요 작가들의 활동 영역, 시민들의 문학 관심분야, 시적 언어가 지닌 문학적 확장성 등을 고려함
근무형태 주5일근무(2일 재택근무)
평일 : (오전) 9시 00분 ~ (오후) 6시 00분 / 평균근무시간 주40시간
* 일정에 따라 주말 근무 有, 재택근무일은 협의 후 진행
상주작가 집필공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