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
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에 위치해 있는 도서관으로 도서관 명칭은 윤동주의 시‘새로운 길’의 앞 구절에서 이름을 따왔다. 윤동주 시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2018년에 개관한 시문학특화도서관이다.
4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에 위치해 있는 도서관으로 도서관 명칭은 윤동주의 시‘새로운 길’의 앞 구절에서 이름을 따왔다. 윤동주 시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2018년에 개관한 시문학특화도서관이다.
4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시설구분 | 도서관 | 시설유형 | 공립 |
---|---|---|---|
문학시설 개관일 | 2018-06-21 | 지역 | 서울 |
주소 | 서울시 은평구 증산로17길 50 | ||
대표번호 | 02-307-6701(내선202) | 담당자 | 윤연미 |
이메일 | yeonmi052@nslib.or.kr | 홈페이지 URL | www.nslib.or.kr |
운영시간 | 화~금 9:00 ~ 22:00
토~일 9:00 ~ 18:00 매주 월요일 휴관 |
프로그램명 | 참여대상(인원) | 기간 | 기타 |
---|---|---|---|
싸움말개 ‘박민주 작가’ 강연 | 25 | 2022. 4. 8. | 현장 |
아이캔 ‘임어진 작가’ 강연 | 400 | 2022. 4. 29. | 현장 |
도서관음악회20 ‘하프와 플루트, 시의 노래’ |
192 | 2022. 5. 28. | 온오프병행 |
나만의 캐릭터로 만드는 시툰(詩-TOON) |
77 | 2022. 6. 16. / 6. 17 / 6. 23. / 6. 24. |
현장 |
나의 원본으로 시 쓰기 | 150 | 2022. 8. 20. ~ 11. 26. 매주 토요일 |
온라인 |
사랑에 대답하는 시(詩) | 468 | 2022. 6. 11. ~ 7. 2. 매주 토요일 |
온라인 |
삶의 한복판에서 시를 노래하다 | 57 | 2022. 8. 20. ~ 9. 17. 매주 토요일 |
서신초 연계 |
연말연시(年末年詩) | 77 | 2022. 12. 17. / 2023. 01. 14. | 현장 |
최은옥 작가강연 | 31 | 2022.12. 3. | 현장 |
연말연시(年末年詩) 서윤후, 황인찬 시인 |
52 | 2023.1. 14. | 현장 |
한여울 문학회 | 122 | 2023. 3. 3. ~ 2023. 12. 15. 매주 금요일 |
현장 |
일일시호일 | 97 | 2023. 3. 25. ~ 2023. 4. 29. 매주 토요일 |
현장 |
일상의 시인 | 98 | 2023. 3.26. ~ 2023. 4. 30. 매주 일요일 |
현장 |
박위 저자와의 만남 | 268 | 2023. 3. 26. | 현장 |
홍민정 작가 강연 | 35 | 2023. 4. 15. | 현장 |
책들의 부엌 김지혜 작가 강연 | 39 | 2023. 4. 16. | 현장 |
오늘은 놀면서 시 쓰는 날 | 28 | 2023. 4. 20. | 현장 |
도전, 만찢캐 | 248 | 2023 .5. 9. ~ 2023. 5. 23. | 현장 |
저녁에 펼치는 단어장 | 48 | 2023. 5. 12. | 현장 |
제5회 내숲 시화백일장 | 40 | 2023. 5. 20. | 현장 |
박인경 저자와의 만남 | 159 | 2023. 5. 21. | 현장 |
오픈북 | 112 | 2023. 6. 24. ~ 2023. 7. 29. | 현장 |
생각을 읽다 마음을 쓰다 | 136 | 2023. 7. 6. | 현장 |
뒹굴뒹굴 시 쓰기 좋은 날 | 80 | 2024. 5. 28. | 현장 |
동시 유령의 비밀수업 | 25 | 2024. 6. 28. | 현장 |
시적인 모임 | 70 | 2024. 6. 29. ~ 2024. 8. 3. | 현장 |
시와 만나는 새로운 예술체험 | 140 | 2024. 7. 16. | 현장 |
나도 작가, 우리 동네 숨은 이야기 찾기 |
60 | 2024. 7. 31. ~ 2024. 8. 7. 매주 수요일 |
현장 |
시는 언어를 데리고 나서는 산책 | 136 | 2024. 8. 18. ~ 2024. 9. 8. 매주 일요일 |
현장 |
다른 듯 닮은 우리나라와 외국 동화 이야기 | 31 | 2024. 8. 24. ~ 2024. 9. 7. 매주 토요일 |
현장 |
나태주 시인이 건네는 러브레터, 괜찮아 | 44 | 2024. 9. 13. | 현장 |
리얼리즘 문학 강연과 시 쓰기 체험 | 3 | 2024. 9. 30. | 현장 |
만화와 시가 만났어요: 시와 만화가 역사 이야기로 만났어요 |
122 | 2024. 10. 24. | 현장 |
만화와 시가 만났어요: 만화는 어떻게 그리나요? |
17 | 2024. 10. 31. | 현장 |
(전시) 소년, 나태주 원화전시 | 294 | 2024. 9. 4. ~ 2024. 12. 31. | 현장 |
(전시) 다른 듯 닮은 우리나라와 외국 동화 이야기 참여자 작품 전시 |
132 | 2024. 8. 24. ~ 2024. 9. 21. | 현장 |
(온라인)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 4,881 | 2024. 8. 1. ~ 2024. 12. 31. | 온라인 |
연번 | 프로그램명 |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 세부내용 |
---|---|---|---|
1 | 윤동주 시를 읽는 <시적인 모임> |
2025. 6. 4. ~ 2025. 7. 9. (주 1회 총 6회 운영) |
- ‘윤동주’와 ‘역사성’ 강의 및 토론 - ‘윤동주’와 ‘서정성’ 강의 및 토론 - ‘윤동주’와 ‘동시’ 강의 및 토론 - ‘윤동주’와 ‘탄생’, ‘자연’강의 및 토론 - 시문학 자료실 내 전시 큐레이션 운영 - 특강: 영화 ‘동주’ 감상 또는 윤동주 관련 전문가 초청 - 상주작가 온라인 연계 |
2 | <시화백일장> 및 <수상작 해설 프로그램> |
2025. 5. 17. ~ 2025. 6. 21. (총 4회 운영) |
- 초등 저, 고학년 시간대별 운영 · 각 20명 모집 - 출품작 심사 및 수상자 발표 · 구청장상 1명 · 최우수상 2명 · 우수상 2명 · 장려상 4명 - 합평 및 해석 - 낭송 프로그램 운영 - 도서관 내 수상작 전시 - 상주작가 온라인 연계 |
3 | 사랑스러운 동주에게 | 2025년 7 ~ 8월 중 |
- 윤동주 서거 80주기에 맞춘 테마형 낭독회 · 시 낭독회 운영 - 지역주민이 동주에게 보내는 짧은 글 쓰기 - 호국보훈의 달 기념 행사 · 윤동주에 대해 알아보고, OX 퀴즈 이벤트 및 독후활동 - 상주작가 홍보: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촬영 및 업로드 - 이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당신의 편지’운영 - 특강 작가 초청 강연 - 온라인 연계 |
4 | 윤동주, 동시를 만나다 | 2024년 9 ~ 10월 중 (6회) | - 동시집 만들기 프로그램 · 선정도서를 읽고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그림으로 그려보기 · 동시에 나오는 단어 써보기 · 감상을 확장한 이야기 나누기 · 동시 주제와 관련 경험 공유 · 감상 확장한 이야기 나누기 · 윤동주 시 필사하기 · 나만의 동시집 만들기 · 참여한 작품 동시집 발간 - 동시집 발간기념회 - 특강 작가 초청 강연 - 상주작가 온라인 연계 |
5 | 윤동주의 시, 선율로 피어나다 |
2025년 11월 | - 1부 · 특별강연: 시인 윤동주에 관한 강의 - 2부 · 기념공연: 윤동주 시인의 대표작품인 서시와 별 헤는 밤을 엮어 아름다운 선율로 재탄생한 윤 동주 시 노래를 선보이는 공연 진행 |
- 윤동주 시인의 삶과 작품을 기리고 문학적 업적을 재조명하는 연중 행사 운영
- 윤동주 시인 서거 80주기를 맞아 윤동주 시인의 삶과 문학적 업적을 재조명하여
세대 간 문학적 소통을 장을 마련하는 프로그램 운영
- 윤동주 시인의 삶과 문학적 업적 조명을 통해 시민들이 역사를 되돌아보고 현재를
성찰하는 계기 마련
- 윤동주 시인 작품 감상을 통해 세대 간의 문학적 소통을 도모하고 시민이 직접 참여 하는 문화 프로그램 확대
분야 | 시,시조 (분야에 관계없이 지원가능) |
---|---|
희망사유 | - 시문학 특화 프로그램 확대 운영을 통한 시문학 특화도서관의 정체성 제고 및 확립
- 윤동주 시인 서거 80주기를 맞아 윤동주 시인의 삶과 문학적 업적을 재조명하며 세대 간 문학적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함. |
근무형태 | 주5일근무 (2일 재택근무)
평일 : (오전) 9시 00분 ~ (오후) 6시 00분 / 평균근무시간 주40시간 * 일정에 따라 주말 근무 有, 재택근무일은 협의 후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