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학시설 소개 및 지원신청

문학시설 소개

김달진문학관


 창원시김달진문학관은 진해구 소사마을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2004년 김달진 시인 생가를 복원하고, 

2005년 문학관을 개관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1층에 전시실, 행정실이 있고, 지하1층에 상주작가실, 세미나실, 특별전시실과 수장고가 있습니다. 문학관 맞은편에 생가에는 옛 초가집 여섯 채가 있습니다. 


김달진문학관은 시인이자 한학자이며, 승려이자 교육자로서 평생을 살아온, 

김달진 시인의 높고 빼어난 문학정신이 

창원시 문화정체성의 원형이라는 것을 

떨쳐 일으키는 데에 뜻을 두고 있습니다.


경상남도 공립문학관 지정 제2호 문학관이며, 

2016년에는 한국문학관협회로부터 최우수문학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올해 기준 제36회 김달진문학상, 제16회 창원KC국제문학상 외 여럿 상을 시상할 겁니다. 김달진문학제도 제30회 개최에 이르렀습니다. 

세계문학특강, 국제시낭송콘서트는 물론, 지역 주민을 위해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외에 여럿 문화예술교육에도 앞장서, 2024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으로부터 우수상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주말이면 많은 분들이 김달진 시인의 생가와 문학관을 찾아와 주십니다. 우리 문학관의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주시는 분들이십니다. 

늘 고맙습니다.

모집기간 2025.03.27 ~ 2025.04.10 양식 다운로드

1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
시설구분, 시설유형, 문학시설 개관일, 지역, 주소, 대표번호, 담당자, 이메일, 홈페이지 URL, 운영시간
시설구분 문학관 시설유형 공립
문학시설 개관일 2005-11-05 지역 경남
주소 경남 창원시 진해구 소사로 59번길 13
대표번호 055-547-2623 담당자 심화선
이메일 hwa128@hanmail.net 홈페이지 URL www.daljin.or.kr
운영시간 화 ~ 일 9:00 ~ 18:00
매주 월요일, 법정공휴일 휴관
문학시설 소개 영상
문학프로그램 운영현황 (최근3년)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어린이 작가 꿈다락 교실
- 스토리 텔러 양성 2024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상 수상
초등학생(총 40명) 2022. 4. 22. ~ 10. 22.
2023. 5. 13. ~ 10. 28.
2024. 5. 18. ~ 10. 19.
전국 3곳 수상. 경남 유일 수상
김달진문학제
(제27회, 제28회, 제29회)
성인 및 아동 (연간 5,000명) 2022. 5. 1. ~ 11. 30.
2023. 5. 1. ~ 11. 30.
2024. 5. 1. ~ 11. 30.
-
문학관 상주작가 지원 사업 성인 및 아동 (연간 150여명) 2022. 3. 1. ~ 11. 30.
2023. 3. 1. ~ 11. 30.
-
지역문학관 특성화 사업 성인 및 아동 (120명) 2022. 4. 1. ~ 12. 31.
2023. 4. 1. ~ 12. 31.
-
신중년 사회공헌 활동 참여 예술인 (4명),
리더 예술인 (1명)
2022. 4. 1. ~ 9. 30. -
예술인파견사업
- 김달진문학관 영상 아카이빙
참여 예술인 (5명),
리더 예술인 (1명)
2023. 5. 1. ~ 10. 31. -
창원도서관사업소 연계,
창원북페스타
아동, 청소년, 성인
(총 600여명)
2022. 10. 24. ~ 10. 25.
2023. 11. 04. ~ 11. 05.
2024. 10. 26. ~ 10. 27.
-

25년도 프로그램 운영개요

문학프로그램 운영개요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1 찾아가는 시인, 찾아오는 독자
– 창원 시민과 함께 하는
詩 톡톡Talk! Talk! 프로그램· 52
2025년 5월중, 1회차 - 매 회차, 경남지역 시인 1명과 전국 단위 시인 1명을 섭외, 각 시인 자선 대표작 8편, 근작시 6편, 총 14편의 시를 두고, 사회자와 더불어 대담 형식으로 진행함.
- 이때 시인의 시를 독자가 읽고, 창작 배경에 관한 이야기를 시인이 하는 한편, 독자는 시인의 시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묻고 시인이 답변하는 열린 포럼 형식으로 진행함.
- 아울러 시인의 시에 관한 노래 및 멀티 영상을 통하여 다채롭게 접근하여 진행함.
- 영상 아카이빙 작업을 통해,
<김달진문학관 TV>에 탑재, SNS에 공유 및 확산
2 찾아가는 시인, 찾아오는 독자
– 창원 시민과 함께 하는
詩 톡톡Talk! Talk! 프로그램· 53
2024년 6월중, 2회차 - 매 회차, 경남지역 시인 1명과 전국 단위 시인 1명을 섭외, 각 시인 자선 대표작 8편, 근작시 6편, 총 14편의 시를 두고, 사회자와 더불어 대담 형식으로 진행함.
- 이때 시인의 시를 독자가 읽고, 창작 배경에 관한 이야기를 시인이 하는 한편, 독자는 시인의 시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묻고 시인이 답변하는 열린 포럼 형식으로 진행함.
- 아울러 시인의 시에 관한 노래 및 멀티 영상을 통하여 다채롭게 접근하여 진행함.
- 영상 아카이빙 작업을 통해,
<김달진문학관 TV>에 탑재, SNS에 공유 및 확산
3 찾아가는 시인, 찾아오는 독자
– 창원 시민과 함께 하는
詩 톡톡Talk! Talk! 프로그램· 54
2024년 7월중, 3회차 - 매 회차, 경남지역 시인 1명과 전국 단위 시인 1명을 섭외, 각 시인 자선 대표작 8편, 근작시 6편, 총 14편의 시를 두고, 사회자와 더불어 대담 형식으로 진행함.
- 이때 시인의 시를 독자가 읽고, 창작 배경에 관한 이야기를 시인이 하는 한편, 독자는 시인의 시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묻고 시인이 답변하는 열린 포럼 형식으로 진행함.
- 아울러 시인의 시에 관한 노래 및 멀티 영상을 통하여 다채롭게 접근하여 진행함.
- 영상 아카이빙 작업을 통해,
<김달진문학관 TV>에 탑재, SNS에 공유 및 확산
  • 사업 참여동기

    □ 찾아가는 시인, 찾아오는 독자 ㅡ 창원 시민과 함께 하는 詩 톡톡Talk! Talk! 프로그램
    - 전국 및 지역 출연 시인 섭외 및 출연 확정
    - 각 시인 자선 대표작 8편, 근작시 6편 원고 청탁 및 접수. 책자 편집 제작
    - 시인의 시를 독자가 읽고, 창작 배경에 관한 이야기를 시인이 하는 한편, 독자는 시인의 시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묻고 시인이 답변하는 열린 포럼 형식의 전체 사회 및 진행
    - 사업 홍보 전략 수립(언론보도) 및 참여자 모집

    □ 내 말 쫌 들어보소 ㅡ 지역 사람 구술(口述)이 문학이 되는 까닭
    - 사업 홍보 전략 수립(언론보도) 및 참여자 모집
    - 지역사의 숨겨진 이야기, 지역 사람의 유별난 이야기를 말하기 형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체계적인 글쓰기 단계로 지도하여, 결과물을 산출토록 한다.

  • 상주작가 협업계획 및 기대효과

    [상주작가 협업계획]
    □ 찾아가는 시인, 찾아오는 독자 ㅡ 창원 시민과 함께 하는 詩 톡톡Talk! Talk! 프로그램
    - 전국 및 지역 출연 시인 섭외 및 출연 확정
    - 각 시인 자선 대표작 8편, 근작시 6편 원고 청탁 및 접수. 책자 편집 제작
    - 시인의 시를 독자가 읽고, 창작 배경에 관한 이야기를 시인이 하는 한편, 독자는 시인의 시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묻고 시인이 답변하는 열린 포럼 형식의 전체 사회 및 진행
    - 사업 홍보 전략 수립(언론보도) 및 참여자 모집

    □ 내 말 쫌 들어보소 ㅡ 지역 사람 구술(口述)이 문학이 되는 까닭
    - 사업 홍보 전략 수립(언론보도) 및 참여자 모집
    - 지역사의 숨겨진 이야기, 지역 사람의 유별난 이야기를 말하기 형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체계적인 글쓰기 단계로 지도하여, 결과물을 산출토록 한다.

    [기대효과]
    - 상주작가의 일자리 창출
    - 창원시 진해구 동부 농어촌 및 신도시 개념의 대단위 아파트 밀집지역의 문화예술 누림 균등화에 기여할 것임.
    - 문학관의 대사회적 기능 강화, 이른바 일반 독자와의 문학소통구조의 열린 체제 확산에 기여할 것임.
    - 중앙문단과 지역문단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 교류의 장을 넓히는 데 기여할 것임. 예컨대 전국단위의 시인 1명과 경남지역단위 1명의 시인이 동시에 출연하여, 자신의 시세계를 이야기하고 독자와 교신하는 과정 등을 통해 상호 텍스트 교류는 물론, 지역문학인 창작역량 강화에도 크게 이바지함.
    - 지역사회의 숨겨진 이야기, 지역사람의 유별난 이야기 등 콘텐츠 발굴, 시화 전시회 개최를 통해 성취감 고취, 문화콘텐츠 확산 및 공유
    - 대체적으로 지역문학관이 문학의 독자성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일회성 행사 혹은 지역주민과 고립되어 있는 것을 지양하여, 지역주민 밀착형 문학관을 운영하여 지역민에게 사랑받는 문학관으로 거듭날 것이며, 이것이야 말로 본 사업 취지와 연계된다고 여겨짐.

프로그램 진행사진
희망 상주작가
분야, 희망사유, 근무형태
분야 시,시조 (분야에 관계없이 지원가능)
희망사유 -
근무형태 주5일근무(2일 재택근무)
평일 : (오전) 9시 00분 ~ (오후) 6시 00분 / 평균근무시간 주40시간
* 일정에 따라 주말 근무 有, 재택근무일은 협의 후 진행
상주작가 집필공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