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학시설 소개 및 지원신청

문학시설 소개

미당시문학관

<미당시문학관>은 미당 서정주 시인의 시정신과 문학적 자산을 기리고 보존하기 위해 시인의 고향인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에 마련한 기념공간이다. 폐교된 봉암초등학교 선운분교를 건축가 김원의 설계로 개보수하여 2001년 11월 3일 문을 열었다. 시인의 고향마을에 시인을 기리는 문학관과 생가, 묘소가 함께 있다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드물다.


<미당시문학관>은 전시실, 서재 재현실, 영상실, 전망대 등을 갖추고 있다. 미당의 육필 원고와 15권의 시집 초판본, 김기창 화백의 미당 초상화, 박노수 화백의 「국화 옆에서」 시화, 일상용품 등 미당의 유품 2천여 점을 보유하고 있다. 기증품까지 포함하면 전체 소장품은 1만여 점에 달한다. 2024년부터 고창군과 민간위탁 협약을 맺어 동국대학교 미당연구소가 운영하고 있다.


<질마재시인마을>은 미당시문학관의 동북쪽 연이은 부지에 세운 책방과 복합문화공간 두 동의 건물로 2023년에 개관하였다. 복합문화공간 북카페에서는 시 낭송회, 작은 음악회, 미술·사진 전시회가 가능하고, 시집 3천여 권이 비치된 책방에서는 합평회·학술심포지엄·문학강연회 등을 열 수 있다.

모집기간 2025.03.27 ~ 2025.04.10 양식 다운로드

1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
시설구분, 시설유형, 문학시설 개관일, 지역, 주소, 대표번호, 담당자, 이메일, 홈페이지 URL, 운영시간
시설구분 문학관 시설유형 공립
문학시설 개관일 2001-11-03 지역 전북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부안면 질마재로 2-8 미당시문학관
대표번호 063-564-8058 담당자 정희성
이메일 midang1915@kakao.com 홈페이지 URL midang1915.dongguk.edu
운영시간 화~토 9: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문학시설 소개 영상
문학프로그램 운영현황 (최근3년)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미당 '봄' 축전 4,000명 24. 4. 26 ~ 6. 30 -
미당 '여름' 축전 6,000명 24. 7. 1 ~ 9. 23 -
미당 '가을' 축전 5,000명 24. 9. 24 ~ 11. 30 -
2024 미당문학제 3,000명 24. 11. 1 ~ 11. 30 -

25년도 프로그램 운영개요

문학프로그램 운영개요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1 미당 시인학교 4. 1. ~ 5. 30.
(주 1회 총 8회 운영)
- 세미나실/북카페
- 미당시 낭송과
해설이 있는 미당시 강독
- 시 창작 강의 및 작품 합평
- 참여 대상 : 15~20명
- 상주작가 & 사무국장
(등단 32년 시인) 협업
2 질마재 문학기행
(산문시의 산실 탐방)
3월~12월
(월 1회 총 10회)
- 진마마을 일원
- 『질마재 신화』 수록시 13편 매칭, 현장 탐방
(질마재 마을 중심 탐방로-미당 시문학의 근원 해설)
- 작품과 조각상 맞추기 (문학퀴즈 운영)
- 상주작가 & 문화기획팀 협력
3 질마재 문학캠프 7월 ~ 12월
(여름·겨울방학 총 4회)
- 세미나실/북카페
- 질마재권역 문화센터 활용 전국권 중·고생과 함께하는 문학캠프 (숙식 지원 고려)
- 미당시 손글씨 쓰기,
작은 시낭송의 밤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다’ 패러디
- 문학관에서 찍은 사진
즉석 출력 이벤트
4 ‘안 잊히는 일들’
자전적 글쓰기 교실
8. 1 ~ 9. 31.
(주 1회 총 8회)
- 세미나실
- 미당의 시로 쓴 자서전 ‘안 잊히는 일들’ 읽기
- 수강생의 삶을 스토리텔링하여 자서전 쓰기 첨삭 및 지도 (사무국장 지원)
5 시가 있는 오후 (시시콜콜 차담회) 10. 1 ~ 11. 30.
(주 1회 총 8회)
- 북카페
- 문학관 내방객과
상주작가의 차담회
(문학관 단체 내방객 사전 신청)
- 좋아하는 시를 낭송하고
함께 차를 마시며
시와 문학에 대해 담소
- 미당과 미당시에 대한
질의응답 진행
- 상주작가 진행의 문학관
해설사 역할
  • 사업 참여동기

    상주작가와 협업하여 미당시문학관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꾀하고 고창군민,
    더 나아가 미당시문학관을 즐겨 찾고 미당시를 사랑하는 애호인들과의 유대 및
    문학 향유 기회를 늘리고자 합니다.

  • 상주작가 협업계획 및 기대효과

    [상주작가 협업계획]
    □ 미당 시인학교
    - 미당 애송시 낭독 및 낭송 지도 : 사무국장
    - 시 창작 강의 및 작품 합평 : 상주작가

    □ 질마재 문학기행 (산문시의 산실 탐방)
    - 탐방(질마재 마을 중심 탐방로-미당 시문학의 근원 해설 : 해설사 지원
    - 수록시 13편과 진마마을 조각상 맞추기 : 문학 퀴즈 운영(상주작가)
    - 질마재 문학기행 안내 : 문화기획팀장

    □ 질마재 문학캠프
    -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진행) / 문화기획팀장 공동 진행
    - 미당시 손글씨 쓰기, 작은 시낭송의 밤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다’ 패러디하기
    - 문학관에서 찍은 사진 즉석 출력 이벤트

    □ ‘안 잊히는 일들’ 자전적 글쓰기 교실
    - 수강생의 삶을 스토리텔링하여 자서전 글쓰기 첨삭 및 지도 (사무국장 지원)

    □ 시가 있는 오후 (시시콜콜 차담회)
    - 문학관 내방객과 함께하는 시시콜콜 차담회
    - 좋아하는 시를 낭송하고 함께 차를 나누며 시와 문학에 대해 담소
    - 미당과 미당시에 대한 질의응답 진행
    - 상주작가 진행 /문학관 해설사 지원


    [기대효과]
    -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문학 프로그램 운영으로 고창군민에게 문학 향유 기회 제공
    - 지역 문인 일자리 제공과 안정적인 창작 여건 조성
    - 고창군민과 내방객들의 문학예술 체험 수요에 부응
    - 미당시문학관 소재지 부안면 선운리 주민의 생활 활력 증대 및 문화적 자긍심 고취
    - 고창지역의 문학 향유 거점 공간으로서 미당시문학관 활성화에 기여
    - 미당시문학관과 고창지역 주민, 상주작가를 아우르는 상생 협력 체계 구축

프로그램 진행사진
희망 상주작가
분야, 희망사유, 근무형태
분야 시,시조 (분야에 관계없이 지원가능)
희망사유 미당시문학관이 미당 서정주의 시정신을 기리는 시전문 공립 문학관이며, 시 중심 프로그램을 추진하려고 하기에 시, 시조 시인이 마땅합니다.
근무형태 주 5일 근무 (2일 재택 근무)
평일 : (오전) 9시 00분 ~ (오후) 6시 00분 / 평균 근무 시간 주 40시간
* 일정에 따라 주말 근무 有, 재택 근무일은 협의 후 진행
상주작가 집필공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