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학시설 소개 및 지원신청

문학시설 소개

청운문학도서관

  2014년 개관한 청운문학도서관은 종로구 16번째 도서관이자 종로구 최초의 한옥 공공도서관으로, 주민들에게 독서와 사색, 휴식의 공간을 제공하며 다양한 독서·문화예술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근의 윤동주문학관, 시인의 언덕 등 지역 문화 인프라와 연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종로구의 인문학 허브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청운문학도서관은 문학 특화 도서관으로 시·소설·수필 중심의 문학 도서가 전체 소장장서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도서관은 산책로를 따라 자연 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지상층에는 넓은 마당과 한옥채가, 지하층에는 자료실과 열람실이 마련된 현대식 건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970년대 초 조성된 국내 최초의 아파트 단지인 청운시민아파트가 사라지고(2005년) 조성된 청운공원(2007년)에 방치되어 낡은 청운공원 관리소를 리모델링해 건립되었습니다. 인왕산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전통 건축 양식을 살리기 위해 한옥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한옥 지붕은 숭례문 복원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된 수제 기와를 사용했으며, 담장의 기와는 돈의문 뉴타운 지역에서 철거된 한옥 기와 3천여 장을 재활용하였습니다. 시간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재료를 사용해 과거와 현대의 조화를 아름답게 이루어 낸 점을 높이 평가받아 2015년 국토교통부가 주최한 대한민국 한옥공모전에서 ‘올해의 한옥대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모집기간 2025.03.27 ~ 2025.04.10 양식 다운로드

5명이 신청했어요.

지원하기
시설구분, 시설유형, 문학시설 개관일, 지역, 주소, 대표번호, 담당자, 이메일, 홈페이지 URL, 운영시간
시설구분 도서관 시설유형 공립
문학시설 개관일 2014-11-19 지역 서울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36길 40
대표번호 070-4680-4032 담당자 정은서
이메일 jes@jfac.or.kr 홈페이지 URL www.jfac.or.kr
운영시간 화~금 09:00 ~ 21:00
토~일 09:00 ~ 19: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1일, 설ㆍ추석 연휴
문학시설 소개 영상
문학프로그램 운영현황 (최근3년)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프로그램명 참여대상(인원) 기간 기타
개관 10주년 기념 행사 누구나 (88) 2024. 11. 19. ~ 12. 5. 일부 해당
완독클럽 <가을의 시> 성인 (145) 2024.11. 21. ~ 12. 5. -
「서촌 그리는 마음」
지역 저자 강연
성인 (24) 2024. 11. 9. -
청운인문학당 종로모던
<인물과 건축으로
돌아보는 종로>
성인 (134) 2024. 9. 28. ~ 10. 12. -
「글자들의 수프」 출간 기념 북토크 성인 (30) 2024. 9. 10. -
신중년 시 창작 교실 <시와 나> 65세 이상 (212) 2024.7. 30. ~ 8. 29. -
2024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종로모던 시대를 음미하다>
청소년, 성인 (342) 2024. 6. 27. ~ 9. 19. -
문화가 있는 날 저자강연
<별 헤는 밤, 책 읽는 밤>
누구나 (227) 2024. 5. 29. ~ 11. 29. -
도서관 주간 행사 어린이 (88) 2024. 4. 13.~ 4. 18. -
<책을 음미하다> 성인 (104) 2023. 12. 7. ~ 12. 23. -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토닥토닥 마음 그림책>
6~7세 및 보호자 (40) 2023. 10. 15. ~ 10. 29. -
신중년 문학 창작교실 65세 이상 (149) 2023. 10. 5. ~ 10. 31. -
지역사회 연계 저자와의 만남 누구나 (166) 2023. 8. 30. ~ 9. 16. 온 · 오프라인
완독클럽 <소설과 영화 속 사람들
- 현대문명과 인간의 상흔>
성인 (276) 2023. 8. 24. ~ 12. 21. 온 · 오프라인
청운인문학당
<근대 공간의 탄생과 삶의 변화>
성인 (273) 2023. 7. 20. ~ 12. 13. -
문화가 있는 날 저자강연
<별 헤는 밤, 책 읽는 밤>
누구나 (268) 2023. 5. 26. ~ 11. 28. -
2023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종로모던, 그 곳과 글>
청소년, 성인 (925) 2023. 5. 4. ~ 6. 29. 온 · 오프라인
도서관 주간 행사 어린이 (53) 2024. 4. 13. ~ 4. 18. 일부 해당
신중년 시 창작 교실
<발견의 바다에
시의 삶을 띄우다>
65세 이상 (97) 2022. 10. 6. ~ 11. 10. -
완독클럽
<홀로코스트 문학 읽기>
성인 (168) 2023. 8. 26. ~ 12. 23. 온 · 오프라인
2022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종로의 문학적 사건들>
누구나 (583) 2022. 8. 9. ~ 10. 4. 온 · 오프라인
출판사 연계 저자 강연 누구나 (252) 2022. 6. 29. ~ 9. 28. 온 · 오프라인
<나도 북큐레이터> 50세 이상 (147) 2022. 4. 1. ~ 6. 24. 오프라인
<엄마와 함께하는
여덟살 글쓰기>
누구나 (284) 2022. 2. 15. ~ 2. 25. 온라인

25년도 프로그램 운영개요

문학프로그램 운영개요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 일정 및 운영횟수 세부내용
1 작가와의 만남 2025. 6. - 상주작가 소개 및 작품 안내
- 저서 중심 작가와의 만남
- 이용자와의 질의응답을 통한 향후 프로그램 기획 마련
2 굿모닝 함께 읽기 2025. 6. ~ 11.
(월 2회, 총 12회 운영)
- 상주작가와 주제도서 함께 읽기
- 아침시간 활용 지역주민과의 문화 소통 창구 마련
- 낭독, 글쓰기 등
3 사진 한 장, 가을 한 줄 2025. 9. ~ 10.
(주 1회, 총 8회)
- 종로구 지역의 사진과 이야기가 담긴 디카시(dica-poem) 쓰기
- 디카시전시회 탐방
* 2025년 시점에 미확정시 변경될 수 있음
- 참여자 결과물 제작 및 배포(마지막 차시)
4 청운동, 더카시展 2025. 11. ~ 12. - <사진 한 장, 가을 한 줄> 프로그램 연계
- 프로그램 참여자 작품 전시
5 청운동 문학인의 밤 2025. 11.
(주 1회, 총 3회)
- 시토크, 낭독회 등 시문학 관련 프로그램
- 지역 출판사, 책방 연계
  • 사업 참여동기

    - 청운문학도서관은 시ㆍ문학 특화 도서관으로 문학 상주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지역 주민의 문학적 역량을 키우고 문학의 가치 확산에 기여
    - 작가의 안정적인 창작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 건강한 문학 생태계 구축

  • 상주작가 협업계획 및 기대효과

    - 글쓰기가 낯선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문학적 접근 유도 및 흥미 고취
    - 창작, 합평, 낭독 등을 통한 지역 주민들 간의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사고력 확장 도모
    - 기존 도서관에서 진행하던 신중년 대상 시 창작 프로그램에서 연령층을 확대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문학적 역량 강화
    - 상주작가와의 협력을 통한 프로그램으로 문학 특화도서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프로그램 진행사진
희망 상주작가
분야, 희망사유, 근무형태
분야 시,시조 (분야에 관계없이 지원가능)
희망사유 시 창작·낭독 등을 통해 문학적 소양을 쌓고자 하는 이용자의 지적 욕구 충족하고 시 문학 특화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근무형태 주5일근무(2일 재택근무)
평일 : (오전) 9시 00분 ~ (오후) 6시 00분 / 평균근무시간 주40시간
* 일정에 따라 주말 근무 有, 재택근무일은 협의 후 진행
상주작가 집필공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