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광주, 5월에 감응하기 (독서모임/글쓰기모임/문학답사프로그램) |
2025. 5. 1. ~ 5. 31. 주 1회 총 4회 운영 |
5·18을 기억하는 의미는 무엇인가. 계엄사태로 촉발된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를 문학을 통해 성찰 |
2 |
혐오와 낙인의 사회적 영향 (독서모임/글쓰기모임) |
2025. 6. 1. ~ 6. 30. 주 1회 총 4회 운영 |
혐오와 낙인으로 점철된 한국 사회에 대한 진단 -혐오와 낙인의 근원과 관련된 도서를 읽고 함께 논의하면서 함께 감응하도록 함. |
3 |
있지만 없는 사람들 (독서모임/글쓰기모임) |
2025. 7. 1. ~ 7. 31. 주 1회 총 4회 운영 |
이곳에 살고 있지만 사회에서 안전하게 살지 못하는 사람들 - 이주노동자, 미등록이주아동 등 살고 있지만 보이지않는 사람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짐 |
4 |
지속가능한 지구 그리고 생태 (독서모임/글쓰기모임) |
2025. 8. 1. ~ 8. 31. 주 1회 총 4회 운영 |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지구와 오래 살기
-환경의달을 맞아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등의 문제를 함께 알아보고, 이와 연계된 문학작품을 함께 읽어봄 (예시) 『세계끝의버섯』(현실문화), 『선물』(유유) |
5 |
서로 다른 세계와 시간 (독서모임/글쓰기모임) |
2025. 9. 1. ~ 9. 30. 주 1회 총 4회 운영 |
과거에서 미래로, 시간은 흐르고 있는 것일까?
- 독서의 계절을 맞아 내가 서 있는 세계와 시간의 흐름에 대해 문학적으로 이야기를 나눠봄 (예시) 『시간의 말들』(유유), 『크래시』(미디어버스) |
6 |
아시아 문학읽기 (독서모임/글쓰기모임) |
2025. 10. 1. ~ 10. 31. 주 1회 총 4회 운영 |
아시아 문학 친숙하게 받아들이기 - 대만, 베트남 등 이제 국내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깊은 성찰을 담고 있는 문학작품을 함께 읽어봄 |
7 |
참여자 큐레이션 도서 (독서모임/글쓰기모임) |
2025. 11. 1. ~ 11. 30. 주 1회 총 4회 운영 |
독서모임 참여자가 선정한 큐레이션 도서 함께 읽으며 감응하기 |
8 |
문학 답사 프로그램 |
2025. 5. 2025. 8. |
- 5월 중 <소년이 온다> 또는 5월 문학을 주제로 한 문학 답사 프로그램을 진행 (5·18기념재단과 연계) - 8월 중 상주작가 지원사업 프로그램 참여자과 상주작가와 함께 기획하는 문학 답사 프로그램 추친 (참여자와 공동 기획) |
9 |
이슈별 북토크와 워크숍 |
2024. 5. ~ 2025. 11. (이슈별로 총3~4회 운영) |
- 소년의서 연계 단체들과 연계하여, 이슈에 따라 작가를 초청하여 북토크를 진행 - 워크숍은 지역의 문화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기후위기, 낙인과 차별의 문제, 문학과 관련된 주제로 인근 단체와 연계하여 진행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