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철문, 「창을 함께 닫다」
- 작성일 2017-09-28
- 좋아요 0
- 댓글수 14
[caption id="attachment_273042" align="alignnone" width="640" class="cente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caption]
작품 출처 : 장철문 시집, 『비유의 바깥』, 문학동네, 2016.
■ 장철문 | 「창을 함께 닫다」를 배달하며…
그러게요. “이런 건 왜 꼭/ 누구한테 말하고 싶어지는 걸까”요. 밤 창가에 다정히 얼굴 내밀고 달을 보는 아빠와 딸아이가 눈에 선합니다. 아빠는 키를 줄여 딸아이 얼굴 옆에 얼굴을 댔을 것이고, 딸아이는 뒤꿈치를 들어 아빠 얼굴 옆에 얼굴을 올려 댔을 것인데요. 둘이 해맑고 다정하게 ‘마음 높이’ ‘달 높이’를 맞춰 얼굴 내밀고는 달을 보려고 점점 환해졌을 것인데요. 하늘에 떠 있는 달이 창가에 얼굴 내밀고 있는 달을 자세히 내려다보려고 바짝, 환해졌을 것만 같은데요. 그러다가 하늘 달이 창가 달 쪽을 향해 한마디 했을 것만 같지요? ‘창가에 붙은 달이 참 좋다!’
시인 박성우
|
추천 콘텐츠
봬요 숙희 내일 봬요 그래요 내일 봬요를 처리하지 못해 그냥 평범한 사람처럼 보이고 싶어서 내일 뵈요 라고 썼다가 그건 또 영 내키지가 않아 그럼 내일 뵐게요 라고 적어보니 다소 건방진 듯해서 이내 그때 뵙겠습니다 라고 고치자 너무 거리를 두는 것 같고 내일 봐요에 느낌표를 붙였다가 떼었다가 두 개를 붙였다가 떼었다가 갈팡질팡하는데 가벼운 인사를 가벼운 사람으로 당신이 나를 오해할까 잠시 망설이다 숨을 고르고 다시 봬요로 돌아온다 그런데 봬요를 못 알아보고 세상에 이렇게 한글을 이상하게 조합하는 사람도 있네 라고 하면 어쩌지 아니면 봬요는 청유형 존대어라 어색한 걸 모르냐고 되물을까 봐 아무래도 이건 안 되겠다 싶어져 내일 봅시다 라고 따따따 찍어보니 참나 이건 정말로 더 아니다 싶어 결국 내일이 기다려져요 라고 보내버리고는 손목에 힘이 풀려 폰을 툭 떨어뜨렸다 『오로라 콜』(아침달, 2024)
- 관리자
- 2024-07-11
환한 집 강우근 나의 어린 조카가 나를 좋아한다고 한다. 누나에게 이유를 물어보니 “너의 그 칙칙함을, 무표정을 좋아해” 가족 모임에 불편하게 앉아 있는 나의 모습이 만화에 나오는 부기라는 옆집 아저씨를 닮았다고 많은 것을 무서워해 바깥을 안 나가는 부기 아저씨를 소피라는 꼬마가 매번 불러내어 모험이 시작된다고 나는 그런 조카를 하루 맡아주기로 하고 “나는 하얀 집에 살고 싶어” 조카는 가방에서 스케치북에 그린 집을 꺼낸다. 여름에는 태풍이 오고, 가을에는 은행이 터져 나가고, 겨울에는 폭설이 떨어질 텐데. 하얀 집은 금세 검어질 것이다. 우리의 테이블에 놓인 생크림 케이크는 작아질수록 포크 자국이 어지럽게 남아 있다. “삼촌은 어떤 집에 살고 싶어?” 나는 검은 집이라는 말을 삼키고 환한 집이라고 대답하며 애써 웃는다. 조카가 잠시 화장실을 다녀오고 환한 집은 어떤 집일까, 생각에 잠기는 사이 생크림 케이크에는 검은 파리 한 마리가 죽어 있다. 나는 서둘러 케이크를 치우고 조카가 돌아온 테이블에는 새롭게 놓인 생크림 케이크 “······삼촌이 배가 고파서” “삼촌에게 추천해 줄 케이크의 맛이 아주 많아.” 환한 빛이 우리를 비추는 동안 우리는 생크림 케이크를 아무런 근심 없이 나눠 먹는다. 『 너와 바꿔 부를 수 있는 것』 (창비, 2024)
- 관리자
- 2024-06-14
- 관리자
- 2023-12-28
저번까지 읽은 이후로 이어보시겠어요?
선택하신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14건
이 시를 보고 가장 먼저 생각난 것은 할아버지와 아버지이다. 아버지는 예쁜것도 좋은것도 나쁜것도 사소한것들을 볼때 나를 부르면서 함께보고 싶어하시고 할아버지도 나에게 오늘 있던일이나 뉴스같은 것을 말해주시고 자랑하시는데 이 시에서도 아버지가 예쁜달을 보고 딸과 함께 보고싶어서 딸을 불러서 얘기하는 것이 우리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닮았다고 생각한다. 우리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사소하고 작은 것도 나에게 얘기해주시는데 그떄마다 나는 시에 딸아이처럼 같이얘기를 하며 호응을 해준다.이시에서 우리 가족의 모습을 보는것 같아 이 시가 더 마음에 와닿으면서 좋다
이 시의 화자는 창을 닫으려던 찰나 달이 참 좋다는 것을 발견하고 딸아이를 부르고 싶어져하고 부른다. 화자가 이러한 풍경이나 진귀한 것을 봤을 때에 꼭 누구한테 말하고 싶어지는 감정에 대해 다뤘다는 점에서 흥미를 갖게 됐다. 화자는 이 감정에 의문을 갖지만 나는 이것이 당연하다고 본다. 혼자 보귀 아까운 진귀한 것을 보았을 때는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가장 가까운 사람과 공유하고 싶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좋은 것들만 보여주고 싶은 마음 또한 이해가 간다. 나도 앞으로 좋은 것들은 혼자만 알지 말고 다양한 사람들과 공유하려고 할 것이며, 주변 사람들을 잘 챙겨주고 배려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이 시는 크게 공감이되는 시였다. 이 시에서는 달을 보고 달이 예쁘다며 타인에게 보여주고싶어한다고 말하지만 나는 주로 sns를 하다가 감명깊거나 재미있는 게시물을 찾으면 친구에게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얼마전 나는 가족과 다함께 필리핀 여행을 다녀 왔다. 주로 바닷속에서 스노클링을 하였는데 엄마와 여동생은 가이드를 따라다녔고 나는 아빠를 따라다녔다. 아빠는 항상 뒤따라 오는 나를 케어해주시며 거북이나 이쁜 산호초가 있으면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보라고 하셨다. 아빠도 이 시의 화자와 같은 마음이었던 것 같다.
이 시를 보고 나서 많은 공감이 되었다. 이 시 속에서 예쁜 달이 떠올랐을때 이 시 속에 화자가 그달을 본뒤 창을 닫을 려다가 갑자기 생각 나서 딸을 불러서 예쁜 달을 같이 보았다. 나는 이 시속 화자가 딸을 불러서 달을 보여준것이 매우 이해가 되었다. 나는 예쁜 풍경이나 달등을볼때 가족이 떠오른다. 그래서 가끔 보름달이 떴을때 내가 그것을 본다면 가족에게 알려준다 보름달이 떳다고 그리고 반대로 가족들이 예쁜풍경이나 달을 봤을때 나한테 예쁜달이나 풍경 을 보여준다. 우리 모두 예쁜 풍경을 봤을때 가족에게 알려주고 그 풍경을 가족 다같이 즐기면 더행복한 가정이 될 겄같다고 나는 생각된다.
'창을 함께 닫다'라는 제목을 보고 누구랑 함께 닫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어 시를 보게 되었다. 이 시에서 화자는 달을 보고 딸아이를 부르면서 이런 건 왜 꼭 누구한테 말하고 싶어지는 걸까?라는 의문을 가졌는데 나는 이 말에 공감되었다. 평소에도 좋은 풍경이나 그림 사진등을 보면 다른 사람들에게도 보여주고 싶은 생각이 든다. 서로 공유한다는 것은 서로 가까워지고 마음을 공유하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 시에서 좋은 달을 딸이랑 함께 보면서 서로 더욱 가까워졌을 것이고 행복했을 것이다. 나도 부모님이랑 좋은 것들을 공유하면서 서로의 마음을 조금 더 이해하고 서로 더 가까워졌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