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한민국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이장욱, 「괄호처럼」

  • 작성일 2018-11-08


[caption id="attachment_273042" align="alignnone" width="640" class="cente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caption]




이장욱|「괄호처럼」을 배달하며…


문장을 쓰고 나서 괄호를 치면 안전한 기분이 듭니다. 포옹하는 기호처럼 느껴지거든요. 에두아르도 갈레아노는 “인간의 최초의 몸짓은 포옹”이라고 말합니다. 세상에 나오자마자 아기들은 마치 누군가를 찾는 것처럼 손을 허우적댑니다. 노인들은 생의 마지막 순간에 팔을 들어 올리려고 안간힘을 쓴다고 해요. 이 “두 번의 날갯짓 사이에서” 우리의 삶이라는 여행이 지나갑니다.*
시인의 섬세하고 예민한 시선은 두 팔의 포옹에 머무르지 않고 우리 삶 속에 있는 포옹의 여러 양상을 보여줍니다. 눈꺼풀을 열어 네 모습을 부드럽게 안기, 입 속에서 신선한 과일을 씹으며 날카롭게 안기. 누군가에게 숨 막히게 안기거나 구덩이 같은 절망에 안기기도 하면서 응시와 소화와 사랑과 절망의 포옹으로 가득한 생이 흘러갑니다. 하지만 포옹은 쉬운 일이 아니라서 이 자세를 오래 유지하려면 기념일이나 기념반지 같은 것이 필요해요. 마지막 숨결 속에서 허공을 향해 우리의 포옹이 풀리기까지.

*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시간의 목소리』, 후마니타스, 2011.

시인 진은영


작품 출처 : 이장욱 시집, 『영원이 아니라서 가능한』, 문학과 지성사, 2016.



문학집배원 시배달 진은영

▪ 1970년 대전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문학상담 교수
▪ 2000년 『문학과 사회』 봄호에 시 「커다란 창고가 있는 집」 외 3편을 발표하며 작품활동 시작
▪ 시집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우리는 매일매일』, 『훔쳐가는 노래』, 저서 『시시하다』, 『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 :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를 향하여』, 『문학의 아포토스』, 『니체, 영원회귀와 차이의 철학』 등.

추천 콘텐츠

숙희 시인의 목소리로 듣는 「봬요」

봬요 숙희 내일 봬요 그래요 내일 봬요를 처리하지 못해 그냥 평범한 사람처럼 보이고 싶어서 내일 뵈요 라고 썼다가 그건 또 영 내키지가 않아 그럼 내일 뵐게요 라고 적어보니 다소 건방진 듯해서 이내 그때 뵙겠습니다 라고 고치자 너무 거리를 두는 것 같고 내일 봐요에 느낌표를 붙였다가 떼었다가 두 개를 붙였다가 떼었다가 갈팡질팡하는데 가벼운 인사를 가벼운 사람으로 당신이 나를 오해할까 잠시 망설이다 숨을 고르고 다시 봬요로 돌아온다 그런데 봬요를 못 알아보고 세상에 이렇게 한글을 이상하게 조합하는 사람도 있네 라고 하면 어쩌지 아니면 봬요는 청유형 존대어라 어색한 걸 모르냐고 되물을까 봐 아무래도 이건 안 되겠다 싶어져 내일 봅시다 라고 따따따 찍어보니 참나 이건 정말로 더 아니다 싶어 결국 내일이 기다려져요 라고 보내버리고는 손목에 힘이 풀려 폰을 툭 떨어뜨렸다 『오로라 콜』(아침달, 2024)

  • 관리자
  • 2024-07-11
강우근 시인의 목소리로 듣는 「환한 집」

환한 집 강우근 나의 어린 조카가 나를 좋아한다고 한다. 누나에게 이유를 물어보니 “너의 그 칙칙함을, 무표정을 좋아해” 가족 모임에 불편하게 앉아 있는 나의 모습이 만화에 나오는 부기라는 옆집 아저씨를 닮았다고 많은 것을 무서워해 바깥을 안 나가는 부기 아저씨를 소피라는 꼬마가 매번 불러내어 모험이 시작된다고 나는 그런 조카를 하루 맡아주기로 하고 “나는 하얀 집에 살고 싶어” 조카는 가방에서 스케치북에 그린 집을 꺼낸다. 여름에는 태풍이 오고, 가을에는 은행이 터져 나가고, 겨울에는 폭설이 떨어질 텐데. 하얀 집은 금세 검어질 것이다. 우리의 테이블에 놓인 생크림 케이크는 작아질수록 포크 자국이 어지럽게 남아 있다. “삼촌은 어떤 집에 살고 싶어?” 나는 검은 집이라는 말을 삼키고 환한 집이라고 대답하며 애써 웃는다. 조카가 잠시 화장실을 다녀오고 환한 집은 어떤 집일까, 생각에 잠기는 사이 생크림 케이크에는 검은 파리 한 마리가 죽어 있다. 나는 서둘러 케이크를 치우고 조카가 돌아온 테이블에는 새롭게 놓인 생크림 케이크 “······삼촌이 배가 고파서” “삼촌에게 추천해 줄 케이크의 맛이 아주 많아.” 환한 빛이 우리를 비추는 동안 우리는 생크림 케이크를 아무런 근심 없이 나눠 먹는다. 『 너와 바꿔 부를 수 있는 것』 (창비, 2024)

  • 관리자
  • 2024-06-14
김소연의 「내리는 비 숨겨주기」를 배달하며

  • 관리자
  • 2023-12-28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9건

  • 후추

    위 해설에서는 따뜻하게 설명해 두었다만, 나에게는 왠지 무서운 느낌으로 다가온다. 시어들이 주는 느낌이 그런가보다. 시인은 '너'를 내 안에 깊이 묻어두고 살고 싶은가보다. 둘의 관계는 끝났지만 자기에게는 이것이 우리의 끝이 아닌 것이다. 시인은 모든 것에서 '너'를 떠올리는 것 같다. 전에 인디언식 생일 읽기 그런 내용을 보고 내 생일을 넣어 읽어보고, 또 지나간 사람의 생일을 넣어 읽어보았다. 열매달이라는 이름이 그 사람이랑 참 어울리기도 하지 싶었다. 뭐하러 그런 짓을 하나 싶다가도 또 생각날 사람 한명 내 안에 살고있다는 건 나쁜 일 아니지 싶다.

    • 2018-11-19 11:28:27
    후추
    0 / 1500
    • 0 / 1500
  • 우주미아

    어쩌다 열린 것만 같은 괄호 정말 내가 열기는 했던가요? 환시에 허우적대며 빨간 구두를 신은 아이처럼 춤을 추고만 있었는데... 매일매일 당신을 꼭꼭 씹어 먹었지요 마지막 남은 새끼 손가락까지 이제야 얻게 된 어둠 당신의 잠든 입에 매미 모양 함선을 물려 줄게요 다음 생을 살아가주세요

    • 2018-11-19 10:59:58
    우주미아
    0 / 1500
    • 0 / 1500
  • 파라솔

    시가 약간 무섭다.. 헤어졌나? 헤어졌지만 괄호 안에 너를 영원히 묶어버리겠다고 하는 것 같다. 집착이 느껴진다. 영화 미저리도 떠오르고.. 나도 같이 떠오른다. 집착은 사랑인가? 집착은 미련에 가까울 것 같다. 강한 미련이 집착을 낳는 것이다. 좋게 말해서 미련은 정이 많은 사람들에게 있는 것 같다. 정을 뗄래야 뗄 수가 없는 것이다. 단 한 순간에 말이다. 집착이 없는 너희들은 모른다. 우리같은 사람들의 답답한 마음을. 정이 없는 너희들에게 정이 많은 우리는 죄다. 무정무죄 유정유죄 의 세상에서 살기 참 어렵다.

    • 2018-11-19 07:47:06
    파라솔
    0 / 1500
    • 0 / 1500
  • 계곡안개

    나는 무엇인가?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수정되고, 분화하고, 자궁 속에서 영양을 섭취하고, 외부의 소음에 귀 기울이고 태어난다. 안개 낀 듯한 엄마의 눈웃음과 마주치고, 희미하게 들려오는 온갖 소리에서 사람들의 음성을 조금씩 구분하고 그 의미를 알아 간다. 시간이 흐른 만큼 선인들이 남겨 놓은 가치와 이론을 배우고, 자연이 만들어 놓은 음식을 섭취하고 자라난다. 그러고 보면 ‘나’라는 존재는 아무데도 없다. 몸뚱어리도, 지식도, 생각도 나는 그냥 우주 속에서 자연이 남겨놓은 조합에 불과하여 무언가를 보고 있었는데 아무것도 보고 있지 않았다. 애초에 내가 거기서 우주와 함께 살아온 것 같았다. 나는 텅 빈 눈동자와 비슷하게 열고 닫고 할 뿐 나는 없다. 저 너머로 달아나는 삶 속의 무엇을 뒤쫓는 것은 꿈에 불과하고, 없는 내 안에서 지우고 깊이 묻는 꿈에 불과하다. 그리고 누가 조용히 커튼을 내린다. 그것은 흡, 내가 삼킬 수 있는 모든 것. 오늘의 식사를 위해 입을 벌리고 다 씹은 뒤에 그것을 닫고 그 이후 배 속에서 나도 모르게 스스로 일어나는 일. 몸에 창문을 만들지 않아도 가능한 일. 삶을 걷다가 조금씩 숨이 막힐 것이다. 발을 헛짚어 푹, 꺼지는 구덩이가 되어 이제 모든 것이 자연을 포함할 것이다. 가만히 제 의식을 열어보는 사람이 되어 결국 내가 없는 무서운 어둠을 얻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나와 자연의 끝은 아니기 때문에 나는 자연의 모든 것을 품고 싶은 것이다. 모든 것을 가릴 수 있는 그 무엇이라도 나는 잠든 자연의 입을 꼼꼼히 틀어막는 이 기나긴 시간처럼 허공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자취만 남을 것이다. 괄호처럼 (나는 자연이 만들어 낸 상(像)이다. 나는 없다.)

    • 2018-11-19 01:36:32
    계곡안개
    0 / 1500
    • 0 / 1500
  • balm

    괄호처럼 (열고, 닫는 것) 괄호처럼 (뒤쫓고, 커튼을 내리는 것) 괄호처럼 (벌리고, 닫는 것) 괄호처럼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 괄호처럼 (모든 것을 품는 것) 이 모든 것들에 괄호대신 사랑이 들어가도 어색하지 않다. ‘이것이 우리의 끝은 아니기 때문에/나는 너의 모든 것을 품고 싶은 것이다.’라는 구절과 같이, 다만 지금 이 사랑은 괄호가 닫히지 않은 미완성 문장. 이 불안감을 해소하고 싶어서 우리는 기나긴 시간, 커다란 기념 수건으로 서로의 입을 꼼꼼히 틀어막는 것일지도 모른다.

    • 2018-11-19 00:18:22
    balm
    0 / 1500
    • 0 /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