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연|「노는 동안」을 배달하며…
십이월에도 오월을 생각하는 마음은 추운 계절에 가장 아름다운 계절을 상상하며 견디는 마음이겠죠. 심술궂은 겨울바람이 그 어여쁜 잎들을 다 떨어뜨렸으니, 너무 나쁘지 않나요? 시인은 “응, 그래서 좋아”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떨어진 나뭇잎들이 부서지고 땅과 섞여버렸기 때문에 그 땅의 힘으로 봄날, 새 잎이 단단한 가지를 뚫고 나올 수 있을 테니까요.
마룻바닥이 누군가 흰 무릎으로 기도를 올리는 아름다운 성소가 되기 전에 또 다른 기도가 있었어요. 더러운 바닥을 온몸으로 문지르고 다니는 걸레질의 기도. 그러고 보니 이 시는 희망의 마음으로 시작되어 헌신의 행위로 끝이 납니다. 새해예요. 우리는 희망으로 1월을 시작합니다. 곧 뜨겁게 우리를 바쳐야 할 날들이 긴 마룻바닥처럼 펼쳐지고 있어요.
시인 진은영
작품 출처 : 김소연 시집, 『i에게』, 아침달, 2018.
|
십일월 상실을 경험하며 오월을 생각하는 마음은 안온하고 찬란했던 계절을 떠나온 때늦은 후회일지도 모르겠다. 분명 십일월에 있는 이유가 있음에도 자연의 섭리를… 더보기 »
이 시를 읽고 나의 11월 26일이 생각났다. 나는 매해 11월 26일을 “은행나무의 날”로 정해 놓고 기념한다. 비바람이 불어 은행나무 잎이… 더보기 »
시 전체적으로 정반대의 것을 대조시키며, 역설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다. 11월과 5월은 겨울과 봄으로 전혀 다른 계절이다.… 더보기 »
대부분의 시가 그렇지만 유독 이번 시가 내게 어렵게 느껴졌다. 이렇게 단상을 쓰는 동안에도 마음이 갈팡질팡하는 걸 느낀다. 나는 확실한 걸… 더보기 »
이번 시가 어렵게 느껴진다고 쓰신 글이 이렇게 반가울수가 없네요.
먼저 시를 읽었을 때 제목 “노는 동안”의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나라면 노는 시간이 즐겁고 신날 것 같은데 이 시에서는 그런… 더보기 »
일주일 동안 이 시를 여러번 읽었다. 하지만 전체 시에 대한 단상을 쓰는 것은 버거운 일인 것 같아서 내 맘에 들었던… 더보기 »
수렴과 응축의 계절인 11월의 맞은 편에는 화사하게 만개하는 5월이 있다. 밟혔던 나뭇잎들은 그 짓눌림을 뚫고 봄이라고 말한다 무릎을 받아주는 마룻바닥.… 더보기 »
11월에 5월을 생각한다는 마음이 무척 반갑게 다가온다. 이미 시간이 지난 이후 과거를 그리는 것. 이것을 젊음에 대한 회상이라고 보고 싶다.… 더보기 »
5월이 정말 아름답기만 할까? 봄은 참 슬프다는 생각이 든다. 그 차디찬 겨울을 견뎌내고 땅 밖으로 단단한 나무를 뚫고 얼굴을 피워낸… 더보기 »
저도 오월에는 오월을 십일월에는 십일월을 느끼며 살고 싶네요.
이번 시는 주중 내내 읽고 읽고 읽어도 이해가 안되서인지 뭐하나 떠오르는 생각도 감상도 없어 답답하기만 합니다. ㅜ ㅜ 시간이 좀?… 더보기 »
잎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십일월에 잎이 뚫고 나오기 시작하는 오월을 생각하는 것은 첫 마음을 떠올리고 싶어서일까? 연둣빛은 강력하게 새 살을 뚫고…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