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김행숙, 「초혼招魂」

  • 작성일 2019-01-31
  • 조회수 3,735


[caption id="attachment_273042" align="alignnone" width="640" class="cente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caption]




김행숙|「초혼招魂」을 배달하며…


새해가 될 때마다 가지고 있던 것을 잃어버릴까봐 두려운 마음이 들곤 했습니다. 나만의 요정, 혹은 순수한 꿈을 잃어버릴까봐 자라기를 거부하는 아이가 항상 내 속에 있었죠. 스무 살부터는 서른 살이 올 것 같아 두려웠어요. 최승자 시인이 “오 행복행복행복한 항복/기쁘다우리 철판깔았네”(「삼 십 세」)라고 노래했던 뻔뻔한 얼굴의 서른 살이 무서웠습니다.*
세월이 자꾸 흐르니까 잃어버린다는 것은 잊어버린다는 것의 다른 말이라는 걸 배우게 됩니다. 우리는 사랑했었던 누군가에 대한 기억을 잊고 좋아했던 사물들과 장소들을 잊고 가끔은 내 존재도 까맣게 잊어버려요. 그렇지만 너무 겁먹거나 슬퍼하지 않아도 된다고 시인은 말해줍니다. 떠나간 사람들의 얼굴, 어디로 숨었는지 알 수 없는 물건들, 그리고 우리의 꿈들이 앞뒤를 모르고 아무 때나 아무 데서나 우리를 찾아오거든요. 장롱 밑으로 굴러 들어간 연필처럼 어느 날 불쑥! 이곳에서 우리가 함께 읽었던 시들도 그러하기를 기대해봅니다.

* 최승자, 『이 시대의 사랑』, 문학과 지성사, 1994.

시인 진은영


작품 출처 : 김행숙 시집, 『1914』, 현대문학, 2018.



문학집배원 시배달 진은영

▪ 1970년 대전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문학상담 교수
▪ 2000년 『문학과 사회』 봄호에 시 「커다란 창고가 있는 집」 외 3편을 발표하며 작품활동 시작
▪ 시집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우리는 매일매일』, 『훔쳐가는 노래』, 저서 『시시하다』, 『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 :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를 향하여』, 『문학의 아포토스』, 『니체, 영원회귀와 차이의 철학』 등.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7건

  • 한산I

    여기서 '너'는 바로 앞으로 올 인생이 아닐까? 내게 다가올 인생을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은 다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살아가는 동안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고 긍정할 수 있다면 무서울 게 뭐가 있을까? '아무 데서나 오고 있는 너를 사랑해'라는 행이 특히 좋은데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것에 대한 아름다움이 있지 않나? 싶다. 누군가는 돈을 많이 벌고 누군가는 잘생긴 애인을 사귀고 나는 여기서 상담을 배우고 문학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내게 주어진 기회들을 무심히 흘려보내지 않고 재미있는 이야깃거리로 만들고 싶다. 언젠가는 나도 강물에 뿌려지거나 해서 사라지지 않겠는가? 그런데 주저할 게 뭐가 있냔 말이다. 흘러가는 시간이 너무 소중하고 즐겁다.

    • 2019-06-06 14:26:41
    한산I
    0 / 1500
    • 0 / 1500
  • 햇반

    어쩐지 첫 행이, 마치 글을 처음 쓰는 사람 같은 모습으로 돌아간 나처럼 느껴졌다. 최근 문학상담 강의를 들으며 프락시스적인 문학 창작 활동이라는 것에 대해 많이 생각하고, 또 경험하게 됐다. 잘 쓰기 위한 그럴듯한 기술과 기교를 버리고 손 가는 대로 시를 쓰고 있는 내 모습이 위와 아래를 모르고, 작품 속 심오한 뜻 같은 비밀도 모르고, 현기증도 모르는 것 같았고, 그런 모습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게 됐다. 요즘 프락시스라는 개념에 빠져 그런지 몰라도 두 번째 연 역시 강물에 던지고 공중에 뿌린 것이 과거 프락시스적 행위를 하던 나처럼 느껴졌다. 세 번째 연억서 비와 눈이 바뀌는 것은 포에이시스에서 프락시스로 단번에 뒤바뀌는 장면이 연상됐다. 비와 눈의 근본 요소는 물로 같으나 형태는 완전히 다른 것도, 문학이라는 근본 요소는 같지만 결과와 과정처럼 형태가 다른 것과 비슷하게 느껴졌다. 마지막 행에 아무 데서나 오고 있는 너를 사랑한다는 말도, 프락시스적 행위 그 자체를 사랑한다는 말처럼 들렸다. 마지막 단상의 마지막 문장으로... 나는 모르는 것도 많고, 아무 데서나 오는 너를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다.

    • 2019-06-05 23:04:09
    햇반
    0 / 1500
    • 0 / 1500
  • 그린북

    소중한 사람이 죽는다면, 얼마나 큰 상실의 아픔과 부재의 고통이 뒤따를까...그래서 혼이라도 부르며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죽은 이를 애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겠지... 이승과 작별한 나의 소중한 사람은 이제 이승의 공간과 시간으로부터 자유로운 존재가 된다. 내가 강물에 던지고 공중에 뿌리자, 마치 모든 시공간이 정지된 것 같이 ‘앞과 뒤’라는 공간적 위상에서, ‘햇빛과 달빛’의 시간적 위상에서 벗어나, 결국 현실의 시공간에 위치한 내게로 오는 길을 모르는, 아니 올 수 없는 혼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나는 여전히 이승에 남아서 너와 함께 했던 소중한 순간들을 떠올리며 그리워할 것이다. 소중한 사람의 죽음은 단순히 죽음으로 잊혀지지 않는다. 문득 함께 했던 추억 속에서 뚜렷한 존재의 흔적을 남긴다. 그리고 미처 하지 못한 깊은 사랑의 고백과 절절한 그리움의 독백이 내 속에서 신음처럼 터져 나와 메아리칠 것만 같다. 사랑했다고, 지금도 사랑한다고...

    • 2019-06-04 00:43:28
    그린북
    0 / 1500
    • 0 / 1500
  • 담요19

    어렸을 때는 귀신을 무서워했다. 자다 말고 어두운 방구석에 할머니 귀신이 있을 것 같아서 불을 켜고 자는 날이 많았고, 머리를 숙이고 감으면 내 머리 위에 서서 자신도 머리를 감으려고 머리카락을 늘어트린다는 귀신의 이야기를 듣고 머리를 감다 말고 눈을 뜨고 위에 귀신이 있나 없나 살펴보기도 했다. 그렇게 살다가 처음으로 외할머니, 그 다음에는 친할머니, 그 다음에는 친할아버지의 죽음을 맞이했고 장례식에서 상복을 입고 오랜만에 만나는 친척분들과 할머니, 할아버지가 같이 일했던 분들과 낯선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가끔씩은 그렇게도 미워하고 원망했던 할머니가 꿈에 나와 흰 웨딩드레스를 입고 발그레한 볼로 미소를 짓기도 하고, 할어버지가 쓰던 만년필이 나에게로 와서 바바리 코트를 입고 유럽 일주를 한 사진을 슬라이드 영사기로 보여주시던 추억이 떠오르기도 한다. 그렇게 생각해보니 귀신은 더 이상 무서운 존재가 아니었다. 영혼이 없다면 인간이 아름다울 수 있을까. 사후세계가 없다면 인생은 얼마나 허무할까. 신체의 명이 다하여 무덤에 누운 이들은 이제 자유로운 공기 속으로 스며들어 살아서 못 다한 것들을 해나가면서 살 것 같다. 그들의 이야기들은 산 자들의 입에서 살을 붙이고 또 붙여서 새로운 이야기로 부활하고, 생을 거듭한다. 이것이 내가 머릿속으로 이해한 부활이며 윤회다. 이 시도 나의 이러한 생각과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했다. 세상의 어떤 기준도 없고 눈이었다가 곧 비가 되며 아무데서나 오고 있는 혼, 그 혼이 인간을 아름답고 인간답게 하는 것 같다. 비록 진짜 있는 존재인지 확인할 길이 없지만 언젠가는 강물에 뿌려지고 공중에 뿌려져도 눈이 되었다가 비가 되었다가 하는 마법같은 변신술을 가진, 길이라는 것도 모르면서 아무데서나 불쑥 나타날 수 있는 혼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허무한 육체적 죽음에 대한 절망감을 상쇄시키기에 충분하다.

    • 2019-06-03 23:57:16
    담요19
    0 / 1500
    • 0 / 1500
  • 은빛시

    그와 함께한 좋은 추억은 아무데서나 찾아온다. 그럴 때면 지금도 함께 있는 것만 같다. 내 마음을 훤히 알고 있는 것 마냥 속으로 말해도 메아리처럼 반응하는 … 한동안 당신의 부재가 너무 슬퍼 부르지 않으려고 했지만 여름이 가고, 겨울이 오고, 다시 여름이 오고, 또 다시 겨울이 가도, 내가 부르던 부르지 않던 여전히 그 자리에서 나를 바라봐주고 있는 그를, 아무데서나 오고 있는 당신을 사랑한다.

    • 2019-06-03 22:51:00
    은빛시
    0 / 1500
    • 0 /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