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택 , 「모든 것이 희미한데 나는 소스라친다」
- 작성일 2019-04-11
- 좋아요 0
- 댓글수 0
김용택 │ 「모든 것이 희미한데 나는 소스라친다」를 배달하며…
섬진강 진메 마을에는 '시쓰는 느티나무'가 있다. 나무 앞엔 쌀뒤주 크기의 박스가 있는데 누구나 시를 써서 투입구에 넣어두면 시인이 가려뽑아 시화로 만들어 게시를 한다. 이 나무는 시인이 어릴 때 직접 심은 나무이다. "하늘을 향해 무장무장 뻗어나가던 나무가 어느 정도 성장기가 지나니까 뿌리 쪽으로 주저앉더라고. 나무는 뿌리 쪽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성장을 하나봐". 몇 해 전 느티나무에게로 귀향한 시인을 방문했을 때 나는 섬진강 물빛을 닮은 그의 시편들이 나무가 들려준 말을 받아쓰기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시에서도 시인은 나무를 심고 나무는 시를 주었다. '검은 바위'와 같은 육중한 일상을 경이롭게 젖히는 '흰꽃'. 검은 활자들을 들어올리는, 저 소스라치는 흰빛이야말로 느티나무의 시다. 흰꽃은 사라진 그 어느 날과 나무를 건네준 누군가와 까맣게 잊어버린 외진 곳을 잊지 않고자 한다.
시인 손택수
작가 : 김용택
출전 : 김용택 시집, 『울고 들어온 너에게』, 창비, 2016년
추천 콘텐츠
봬요 숙희 내일 봬요 그래요 내일 봬요를 처리하지 못해 그냥 평범한 사람처럼 보이고 싶어서 내일 뵈요 라고 썼다가 그건 또 영 내키지가 않아 그럼 내일 뵐게요 라고 적어보니 다소 건방진 듯해서 이내 그때 뵙겠습니다 라고 고치자 너무 거리를 두는 것 같고 내일 봐요에 느낌표를 붙였다가 떼었다가 두 개를 붙였다가 떼었다가 갈팡질팡하는데 가벼운 인사를 가벼운 사람으로 당신이 나를 오해할까 잠시 망설이다 숨을 고르고 다시 봬요로 돌아온다 그런데 봬요를 못 알아보고 세상에 이렇게 한글을 이상하게 조합하는 사람도 있네 라고 하면 어쩌지 아니면 봬요는 청유형 존대어라 어색한 걸 모르냐고 되물을까 봐 아무래도 이건 안 되겠다 싶어져 내일 봅시다 라고 따따따 찍어보니 참나 이건 정말로 더 아니다 싶어 결국 내일이 기다려져요 라고 보내버리고는 손목에 힘이 풀려 폰을 툭 떨어뜨렸다 『오로라 콜』(아침달, 2024)
- 관리자
- 2024-07-11
환한 집 강우근 나의 어린 조카가 나를 좋아한다고 한다. 누나에게 이유를 물어보니 “너의 그 칙칙함을, 무표정을 좋아해” 가족 모임에 불편하게 앉아 있는 나의 모습이 만화에 나오는 부기라는 옆집 아저씨를 닮았다고 많은 것을 무서워해 바깥을 안 나가는 부기 아저씨를 소피라는 꼬마가 매번 불러내어 모험이 시작된다고 나는 그런 조카를 하루 맡아주기로 하고 “나는 하얀 집에 살고 싶어” 조카는 가방에서 스케치북에 그린 집을 꺼낸다. 여름에는 태풍이 오고, 가을에는 은행이 터져 나가고, 겨울에는 폭설이 떨어질 텐데. 하얀 집은 금세 검어질 것이다. 우리의 테이블에 놓인 생크림 케이크는 작아질수록 포크 자국이 어지럽게 남아 있다. “삼촌은 어떤 집에 살고 싶어?” 나는 검은 집이라는 말을 삼키고 환한 집이라고 대답하며 애써 웃는다. 조카가 잠시 화장실을 다녀오고 환한 집은 어떤 집일까, 생각에 잠기는 사이 생크림 케이크에는 검은 파리 한 마리가 죽어 있다. 나는 서둘러 케이크를 치우고 조카가 돌아온 테이블에는 새롭게 놓인 생크림 케이크 “······삼촌이 배가 고파서” “삼촌에게 추천해 줄 케이크의 맛이 아주 많아.” 환한 빛이 우리를 비추는 동안 우리는 생크림 케이크를 아무런 근심 없이 나눠 먹는다. 『 너와 바꿔 부를 수 있는 것』 (창비, 2024)
- 관리자
- 2024-06-14
- 관리자
- 2023-12-28
저번까지 읽은 이후로 이어보시겠어요?
선택하신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