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문장(0)
글틴(4)
-
글틴 > 시 1월 마지막주 주장원 (1월 26-2월1일)
<애완기린의 행방> - 이 시는 한눈에 봐도 공들여 썼다는 느낌이 드는 작품입니다 환상적인 전개와 상징들이 잘 섞여있습니다 다만 산문시의 경우가 다 그런데 정통적 시의 언어가 가진 운율과 반복을 통한 마력을 산문시는 담아내기 어렵습니다 또 산문시가 운문시 만큼의 언어의 간극이 적습니다 장점도 있겠지만 운문시가 가진 장점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으니 참고하시길....
-
글틴 > 시 1월 월장원 발표
좋아요 저 같은 경우도 시 쓰는 이유가 인생이 뭔가 괴로워서 쓰는 것 같아요 시를 처음 쓴 것도 그래서 쓴 것 같고요.....마지막 연도 좋아요 1월 셋째주 -<목소리> 홍철- 전개가 좋은데 김종삼 시집 한번 읽어보세요 시에 좀 여운이 더 있어야 할것 같습니다 1월 넷째주-<작은 일> 새벽별- 2연 4행부터 마지막 행까지가 좋습니다 자신의 감성을 사물과 풍경에 담아서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는 나와 대상간의 소통입니다 나의 마음과 사물의 마음이 동일할 때, 그 순간이 2연 곳곳에 있습니다 저도 어떤 간절한 일이 있을 때 신을 찾곤 합니다 인간은 그만큼 나약하고 미욱한 존재이지요 고통스럽거나 힘들 때 신을 찾게 되는 상황도 공감이 되네요 <애완기린의 행방> 힉 - 이 시는 한눈에 봐도 공들여 썼다는 느낌이 드는 작품입니다 환상적인 전개와 상징들이 잘 섞여있습니다 다만 산문시의 경우가 다 그런데 정통적 시의 언어가 가진 운율과 반복을 통한 마력을 산문시는 담아내기 어렵습니다 또 산문시가 운문시
-
글틴 > 소식 > 커뮤니티 [RE]산문시에 관하여
제가 찾아 읽어본 바 공통된 의견으로는, 시쓰기 습작에 있어서 ‘산문시’라는 것은 운문시 다음에 넘어야 할 별도의 과정이 아니다, 라는 것입니다. ‘산문시’에 대해 특별한 부담감을 갖고 접근할 필요가 전혀 없으며, 질문자께서 우선 산문시를 많이 접하고 익숙해지다보면 자연스럽게 산문시를 쓰고 있지 않을까합니다. 물론 지금 자신이 쓰고자 하는 내용에 산문 형식이 적합다는 본능적인? 느낌과 함께 말입니다. 너무 대답이 길어졌군요. 질문이 네 개나 되었으니 이해하세요. 다음부터는 좀 간략하게 답해야 겠어요^^===================================================================산문시에 대해서 문의를 드리고 싶습니다.시도 유치하게 쓰는 것 같은 사람이 산문시에 대해서 문의를 드리면 좀 그렇지만산문시와 산문의 차이가 궁금합니다.둘 다 산문이지만, 산문시는 줄글형식의 시이며 산문은 말 그대로 이야기나, 수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