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웹진(3)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기획 문장의 목적
마로니에 공원에서 펼쳐진 문장웹진 커버스토리 상설전시와 문장웹진 기획행사 현장을 웹진 독자여러분께 소개합니다. 문장웹진 커버스토리 야외 상설전시2017. 9. 1(금)~9. 7(목) ■ 사이버문학광장 문장웹진 커버스토리 바로가기 문장웹진 기획행사 ‘문장의 목적’2017. 9. 7(목) / 예술나무카페 ■ 참여작가&작품 권여선, 『안녕 주정뱅이』, 창비, 2016. 조용미, 『나의 다른 이름들』, 민음사, 2016. 정용준,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 문학동네, 2015. 임승유, 『아이를 낳았지 나 갖고는 부족할까 봐』, 문학과지성사, 2015. 김숨, 장편소설 『한 명』, 현대문학, 2016년. 강정, 『백치의 산수』, 민음사, 2016. 손보미, 『디어 랄프 로렌』, 문학동네, 2017.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커버스토리 2025년 5월호
시간을 넘어 되살아난 문학의 순간들과 함께, 그 의미와 감상을 새롭게 나누며 문장웹진의 아카이브를 확장합니다.조연호, 「저녁의 기원」을 읽고(《문장웹진》 2005년 8월호) 김민주(리피워크스) 김민주(리피워크스) 작가 한마디 기원을 좇는 여정 ▶조연호, 「저녁의 기원」 감상하러 가기 ▶[기획] 커버스토리 리와인드: 신용목, 「우리의 기원이 우리의 전부를」 김민주(리피워크스) 다정한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일상의 순간들을 그림으로 담아 냅니다.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모색 계절 맞이, 어떻게들 하고 계세요?
우리가 꿈에서 걸어도 현실에서 걷는 것처럼 다리에 힘을 주고 걷듯이.” - Littor(릿터) 49호(3p, 김화진, editor’s note) <릿터> 49호는 에디터의 노트, 커버스토리, 에세이, 인터뷰, 단편소설, 시, 리뷰, 만화, 그리고 에필로그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먼저 펼쳐 보게 되는 작은 속지에 적힌 에디터의 노트에서는 편집자의 입장에서 이번 호의 커버스토리가 등장한 이유와 의도를 설명하며 각 면에 담긴 이야기들을 짧게 조명한다. 천천히 읽어 내려가다 보면 각각 독립된 이야기를 ‘잠’이라는 주제가 어떻게 관통하고 있는지를 엿볼 수 있다. 나에게는 이 코너가 책의 흐름을 잃지 않고 수월하게 따라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은 이정표였다. 시작하며 10명의 소설가와 시인이 자신만의 ‘자기 전에 읽는 책’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