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웹진(74)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시 페미니즘
페미니즘 김연숙 일본 국토 생성 신화에는 육지가 되고도, 너무 되어서 불쑥 나온 부분이 있고 다른 육지는 약간 모자라 움푹 패인 부분이 있어 그들은 서로 맞닿아 하나가 되고 싶었다 합체하고 싶었다 일본 지도를 찾아보지는 않았지만 왜 한쪽은 튀어나오고 다른 한쪽은 패여 있을까 원치 않는 침습과 흡수는 참혹하게 기분 나쁜 일 기억을 씻어 내는 독한 락스가 있을까 태생학적 차원에서 생각해 보아야 할 일 체액과 체액의 어떤 뒤섞임에 대하여 다른 건 다 목청만 돋우는 지엽적인 문제들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비평 2016, 페미니즘 오디세이
앞으로 [비평in문학]은 ‘비평가’로서 어떤 글쓰기를 창안하고 실천할 수 있을까 하는 비평가의 고민을 구체화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2016, 페미니즘 오디세이 박혜진(문학평론가) 2016년 한국 사회는 페미니즘 이슈로 뜨거운 한 해였다. 강남역 살인사건과 메갈리아 논쟁을 비롯해 낙태 금지에 반대하는 검은 시위 및 ○○ 내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에 이르기까지, 온라인 중심으로 촉발된 문제제기가 오프라인으로 확장되며 페미니즘 운동을 ‘리부트’했다. 리부트 된 페미니즘에서 가장 새로웠던 건 2030 페미니스트들의 활약이었다. 새로운 페미니즘의 얼굴은 넷페미이다. 온라인 매체, 그중에서도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2030 페미니스트, 즉 동시대 페미니즘의 전초지이다. 2016년 한국 문학계를 뒤흔든 ‘여성 혐오’ 역시 트위터를 비롯한 온라인 환경에서 점화된 불꽃이었다. 트위터에서 특정 문인에게 성폭행 당했다는 피해자들의 폭로가 이어졌다.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비평 디스토피아, 절멸의 상상력과 페미니즘
그것은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과 2018년 ‘미투 운동’으로 페미니즘이 대중화한 현실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2010년대 후반부터 한국에서 페미니즘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온라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의제가 빠른 속도로 환산되었고, 기존의 남성 중심적인 문화와 정책을 비판하면서 일상에서 여성들이 겪는 불평등을 폭로하고 피해자들이 연대하는 광범위한 운동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민음사, 2016)처럼 한국 여성이 마주한 불평등을 사실적으로 조명한 작품들이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그와 함께 페미니즘적 문제의식을 지닌 SF 작품들이 다수 창작되었다. 페미니즘과 SF의 결합은 한국에서만 두드러진 현상은 아니다. 세계가 멸망하는 재난 상황은 역설적으로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상상할 수 있는 장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