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규승, 「은유」
- 작성일 2013-04-22
- 좋아요 0
- 댓글수 3
최규승, 「은유」
빌딩의 숲 숲의 빌딩
기타의 사운드 사운드의 기타
마이크의 손 손의 마이크
하늘의 끝 끝의 하늘
비둘기의 평화 평화의 비둘기
노동의 노래 노래의 노동
행복의 시간 시간의 행복
슬리퍼의 때 때의 슬리퍼
모빌의 흔들림 흔들림의 모빌
화분의 선인장 선인장의 화분
비상구의 커피 커피의 비상구
뉴욕의 비행기 비행기의 뉴욕
후쿠시마의 먹구름 먹구름의 후쿠시마
감동의 쓰나미 쓰나미의 감동
그녀의 침대 침대의 그녀
여인의 울부짖음 울부짖음의 여인
전위의 읊조림 읊조림의 전위
이것의 부재 부재의 이것
나의 너 너의 나
나의 나 나의 나
나의 나
나
의
나
의
ㅇ
ㅡ
l
●시_ 최규승 - 1963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났다. 2000년 《서정시학》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무중력 스웨터』 『처럼처럼』이 있다.
* 배달하며
왼편 오른편 한 켤레 신발처럼 짝을 맞춘 말들로 흔들흔들, 레고 쌓기를 하듯 이루어진 시 형태가 재미있다. 튼실한 이파리들 무성한데 모래 밑으로는 있는 둥 만 둥하게 뿌리 빈약한 ‘화분의 선인장’ 같다.
모든 시어가 ‘의’로 이루어졌다. ‘의’는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에 붙어, 그 말이 관형어의 구실을 하게 하는 관형격 조사’다. 소유나 소속을 뜻하기도 하고, 앞의 말이 뒤의 말의 주체임을 뜻하기도 한다. 어떤 주체가 어떤 주체를 소유한다고 할 때 기본적으로 소유하는 주체는 당하는 주체보다 상위에 있다(반드시 그런 건 아니다만. 가령, ‘나의 주인’ 같은 경우). 그런데 이 시에서는 소유의 주체와 객체를 뒤바꿈으로써 상호소유, 상호소속을 드러낸다. 이래도 말이 되고 저래도 말이 되는 우리말 특성을 살린 유희다.
‘뉴욕의 비행기 비행기의 뉴욕’에서 ‘비행기의 뉴욕’은 자연스럽다. 뉴욕의 하늘에는 비행기가 많이 오갈 테니까. ‘후쿠시마의 먹구름 먹구름의 후쿠시마’에서 ‘먹구름의 후쿠시마’도 텍스트 외적인 사건 때문에 자연스럽고...그런데 간간 은유할 수 없는 걸 짝으로 맺어 놓은 곳이 있다. 가령 ‘하늘의 끝 끝의 하늘’에서 ‘끝의 하늘’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이미지를 확장시켰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저 말장난으로 보이기도 한다.
‘빌딩의 숲’ ‘평화의 비둘기’ 같은 상투적 표현도 간간 눈에 띄는데……. 시인이 그걸 못 알아챘을 리도 없고, 이리 토막토막 내서 들여다보면 안 될 테다……. 아, 최규승의 다른 좋은 시도 많은데 왜 이 시를 골랐다지? 「은유」라는 제목도 마음을 끌었고, 언뜻 ‘전위의 읊조림’이 있어 보여서. ‘노동의 노래’가 아니라 ‘노래의 노동’인 「은유」여라!
문학집배원 황인숙
●출전_ 『처럼처럼』(문학과지성사)
●권재욱
●애니메이션_ 강성진
●프로듀서_ 김태형
추천 콘텐츠
봬요 숙희 내일 봬요 그래요 내일 봬요를 처리하지 못해 그냥 평범한 사람처럼 보이고 싶어서 내일 뵈요 라고 썼다가 그건 또 영 내키지가 않아 그럼 내일 뵐게요 라고 적어보니 다소 건방진 듯해서 이내 그때 뵙겠습니다 라고 고치자 너무 거리를 두는 것 같고 내일 봐요에 느낌표를 붙였다가 떼었다가 두 개를 붙였다가 떼었다가 갈팡질팡하는데 가벼운 인사를 가벼운 사람으로 당신이 나를 오해할까 잠시 망설이다 숨을 고르고 다시 봬요로 돌아온다 그런데 봬요를 못 알아보고 세상에 이렇게 한글을 이상하게 조합하는 사람도 있네 라고 하면 어쩌지 아니면 봬요는 청유형 존대어라 어색한 걸 모르냐고 되물을까 봐 아무래도 이건 안 되겠다 싶어져 내일 봅시다 라고 따따따 찍어보니 참나 이건 정말로 더 아니다 싶어 결국 내일이 기다려져요 라고 보내버리고는 손목에 힘이 풀려 폰을 툭 떨어뜨렸다 『오로라 콜』(아침달, 2024)
- 관리자
- 2024-07-11
환한 집 강우근 나의 어린 조카가 나를 좋아한다고 한다. 누나에게 이유를 물어보니 “너의 그 칙칙함을, 무표정을 좋아해” 가족 모임에 불편하게 앉아 있는 나의 모습이 만화에 나오는 부기라는 옆집 아저씨를 닮았다고 많은 것을 무서워해 바깥을 안 나가는 부기 아저씨를 소피라는 꼬마가 매번 불러내어 모험이 시작된다고 나는 그런 조카를 하루 맡아주기로 하고 “나는 하얀 집에 살고 싶어” 조카는 가방에서 스케치북에 그린 집을 꺼낸다. 여름에는 태풍이 오고, 가을에는 은행이 터져 나가고, 겨울에는 폭설이 떨어질 텐데. 하얀 집은 금세 검어질 것이다. 우리의 테이블에 놓인 생크림 케이크는 작아질수록 포크 자국이 어지럽게 남아 있다. “삼촌은 어떤 집에 살고 싶어?” 나는 검은 집이라는 말을 삼키고 환한 집이라고 대답하며 애써 웃는다. 조카가 잠시 화장실을 다녀오고 환한 집은 어떤 집일까, 생각에 잠기는 사이 생크림 케이크에는 검은 파리 한 마리가 죽어 있다. 나는 서둘러 케이크를 치우고 조카가 돌아온 테이블에는 새롭게 놓인 생크림 케이크 “······삼촌이 배가 고파서” “삼촌에게 추천해 줄 케이크의 맛이 아주 많아.” 환한 빛이 우리를 비추는 동안 우리는 생크림 케이크를 아무런 근심 없이 나눠 먹는다. 『 너와 바꿔 부를 수 있는 것』 (창비, 2024)
- 관리자
- 2024-06-14
- 관리자
- 2023-12-28
저번까지 읽은 이후로 이어보시겠어요?
선택하신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3건
`은유' 라는 시는 시의 형태, 내용, 느낌 등이 다른 타 시와는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다. 시의 형태가 한 문단을 반으로 쪼게어 보면 마치 거울에 비친 듯 예를 들면 빌딩의 숲 숲의 빌딩 과 같이 시의 형태가 독특하다. 시의 내용도 특이하다 시의 내용은 그저 말이 되는 문장을 가져다 놓은것 마냥 써져있고 시의 후반으로 가면 나 의 나 의 ㅇ ㅡ l 라고 하며 마무리가 되는데 약간의 찜찜함을 가지고 끝나는 느낌을 받았다. 이렇게 마무리되는 시는 처음보는지라 약간의 새로움도 느껴졌다. 그리고 이 시의 문장 중 기억에 남는 문장이 있는데 행복의 시간 시간의 행복 이라는 문장이다. 어찌보면 자신이 행복한 시간을 그려낼수도 있지만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행복한 시간을 보낼수 있다고도 해석이 되어 시를 읽는도중 문장이 바뀔 때 마다 새로운 느낌이였다. 교과서에서만 보던 시 의 형태가 아닌 독특한 형태의 시를 볼 수 있어서 좋았고 항상 고정적인 형태보다는 이런 창의적인 형태의 시 도 가끔 보면 재밌을거라고 생각한다.
'은유' 독특한 제목에 다른 시와는 차별감이 느껴져 시에 들어오게 되었다. 예상대로 보통 시에서 주로 찾아볼 수 없었던 구조로 이루어진 행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보통 주종관계로 놓여져 쓰이는 단어 두 가지를 바꾸니 기막히게도 말이 된다. 가장 눈에 띄는 행은 '후쿠시마의 먹구름, 먹구름의 후쿠시마' 이다. 몇년 전 일어났던 후쿠시마의 발전소에서 일어난 재앙의 사고로 생겨난 먹구름이란 뜻의 행에서 두 단어를 바꾸니 사고로 인해 힘들어진 후쿠시마의 상황을 먹구름으로 표현한 재미있는 문장이 되었다. 하지만 '감동의 쓰나미, 쓰나미의 감동' 같은 경우는 전자는 감동이 쓰나미처럼 몰려온다는 뜻이지만 후자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쓰나미의 감동? 쓰나미 속에서도 남을 돕는 감동적인 이야기를 나타내는 것인가.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그것 또한 이런 독특한 시의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마음의 울림을 주는 시도 좋지만, 이 시는 은유의 아름다움을 보여줌으로서 충분히 매력있다고 생각한다.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