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한민국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북으로 흐르는 강(江)

  • 작성자 김재현
  • 작성일 2005-09-02
  • 조회수 249

북으로 흐르는 강(江)


강물이 북(北)으로만 흐르고 있다면
그리움으로 바숴버린 나의 젊음을
그만 저 물결 속에 풀어버리리.

가만가만 불러보던 그리운 이름들을
아, 별 떨어진 강(江)위에 흘려보내고
곡소리처럼 서러운 울음소리만
갈 수 없는 경계 너머
어두운 산천(山川) 속으로 스미는 것을.

이제는 한(限)도 원(怨)도 모두 녹아버려
북풍에 섞인 누군가의 살냄새에 떠오르는
만날 수 없는 사람의 서글픈 눈망울.

눈물이 바스라져 만든
저 길고 긴 별 부스러기의 파장을
물 위에 띄워
내 몇 줄 소식이 북녘 강변에
별빛으로 박혀버릴 수만 있다면!

강물이 북으로, 북으로만 가고 있다면
죽음으로 바숴질 나의 몸뚱인
아무것도 없는 한 줌 잔해가 되리.
물결 속으로 흩어버리리.

김재현
김재현

추천 콘텐츠

낙엽길에서

낙엽길에서   가을이면 가지마다 붉게 일렁이기 시작하네지금 세상의 가지들마다 옮겨 붙었다는 불씨,혈관 같은 잎맥 속으로 한 자루의 시선을 창(槍)처럼 꽂아 넣으면피처럼 붉은 색채로 번지기 시작하지수 만 그루 위에서 수 만 개의 生이일제히 타오르기 시작하네바람이 불어올 때 불꽃처럼 흔들리는 잎들음습한 지하 속에 웅크리고 있던 아비규환이세상 밖으로 뛰쳐나와 몸서리치는 것 같네뿌리에서 비롯된 잎들이그 뿌리의 끝에서 활개를 쳤다 화장(火葬)되어지는이것은 차라리 지옥도(地獄道) 한 폭스석스석 마른 잎 바스라지는 소리곱게 탄 뼈를 바술 때처럼 흩어져도죽은 자의 기억이 지워지지 않듯, 낙엽들 이젠 나의 번뇌로 밟히는 것 어쩔 수 없네 

  • 김재현
  • 2006-12-21
흡혈의 가을

흡혈의 가을 팔뚝에 뿌리내린 모기의 배가 붉어진다꼼짝도 없이 끈적거리던 갈증을 녹이는 사이몇 번씩 움찔거리는 날개, 잎사귀처럼 서걱댄다배가 붉어질 때마다 나는 내가 뽑아냈던 내 선홍색의 피를 생각한다나에게 수혈 받은 것들 모두 내 속에 뿌리내린단풍나무였던 셈인가출혈로 창백하게 물들어 있던 몸이남의 피가 간직한 체온으로 덥혀지듯이 단풍도 마찬가지다 땅 속 깊숙이 침을 밀어 넣는 것으로 시작한다 파르르 서늘한 가을 바람에 퍼덕이는 날개, 푸른 잎사귀에 핏기가 돈다단풍나무 잎사귀마다 감도는가을녘의 짙은 피내음뿌리 어딘가에서 돋아난 짐승의 이빨대지의 살점을 찢자 피가 솟구친다대지에 뿌리내린 나무의 날개가 붉어진다잎사귀마다 기갈이 붉게 채워지는 그 사이,언제나 가을인 나의 혈관 속으로한 무더기의 나무들이 뿌리내린다가을밤 창 밖에서 붉게 흔들렸던 단풍나무 잎들 주렁주렁, 지금내 몸의 가을을 흡혈중이다 

  • 김재현
  • 2006-12-15
일벌이 말벌을 죽이는 법에 대한

일벌이 말벌을 죽이는 법에 대한 조사 보고서 1.말벌을 죽이기 위하여 일벌들은 새까만 공이 된다 말벌의 몸 위에 다닥다닥 달라붙어 서로의 몸을 부대끼면 치사온도 48도의 目前인 47도까지 체온이 올라 말벌은 죽고 일벌은 죽음의 경계 앞에서 간신히 살아남는다 그러나 말벌의 단단한 턱에 몸이 잘려나간 동료들을 바라보면 상승한 체온은 쉽게 식지 않는다 그리하여 제 체온을 견디지 못하는 일벌들이 나오기도 한다 큼지막한 두 눈으로 번갈아 말벌과 제 벌집을 바라보며 끝내 숨을 놓아버리는 것이다2.고열을 동반한 독감으로 그는 죽었다 한파가 닥친 어느 겨울 공사판에서 밤새도록 벽돌을 나른 뒤였다 평당 몇 천만원을 호가한다는 아파트였는데 남자는 그 아파트에 다닥다닥 붙어 있던 인부들 중 하나였다 남자는 밀린 일삯을 받기 위해 밤새도록 무슨 말인가를 외치고 다녔으며 그 날 밤, 그는 함께 있었던 인부들과 마찬가지로 몸살을 앓고 고열을 호소했다 그러나 무슨 남 모를 사정이 있었을까 그 날 따라 더욱 절박하게 몸을 굴렸던 남자만이 밤새도록 앓다 숨을 놓았다 절박해질수록 죽음만 가까워질 뿐이라는 걸 그는 몰랐던 것일까 시체는 동료들에 의해 고향으로 보내졌다 어디에, 어떻게 묻혔는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3.때로 죽지 않는 말벌들이 있다 일벌들은 제 체온을 치사온도보다 높여 결국 죽음을 자초한다 살아남은 것들은 말벌의 단단한 턱에 몸이 잘린다 그러나 말벌이 죽든 죽지 않든 간에 분명한 것은 말벌보단 일벌이 더 많은 죽음을 맞는다는 것이다 

  • 김재현
  • 2006-12-15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1500
  • 익명

    솔직히 말하면, 통일 백일장에 나가서 생각했던 시입니다. 하지만... 쓸 때, 이건 통일시다, 이렇게 분명하게 말하고 싶지는 않더라구요. 통일시지만, 누군가에겐 그리운 사람을 떠올릴 수 있는 시를 쓰고 싶어서... 그러다보니 이것도, 저것도 아닌 괴상한 시가 되어버렸지만요.

    • 2005-10-27 00:35:44
    익명
    0 /1500
    • 0 /1500
  • 얼빵

    하행의 후속작 느낌이 나네요. 북이라는 이미지와 상행선이라는 이미지, 그리고 과거와 젊음이라는 이미지도 부서지고요. 근데 이름들이라는 내용이 조금 이해가 안되네요. 그리움의 대상이 다수인가요? 누군가 , 사람 ->이거는 단수같은데요. // 사실 너무 잘써서 괜히 딴지걸고 싶어봤답니다 ^^)ㅋ

    • 2005-10-23 00:37:18
    얼빵
    0 /1500
    • 0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