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강정, 「유리의 눈」

  • 작성일 2018-07-19
  • 조회수 8,472


[caption id="attachment_273042" align="alignnone" width="640" class="cente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caption]




작품 출처 : 강정 시집, 『귀신』, 문학동네, 2014.




강정 |「유리의 눈」을 배달하며…



우리는 태어날 때 예쁜 유리병 하나에 제 영혼을 담아서 세상에 오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환하고 바람 한 점 없는 고요한 유리병 속에 우리는 작은 새싹처럼 담겨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조심해도 유리병은 깨지기 마련이죠. ‘오 하느님, 왜 저에게 이다지도 날카로운 운명을 선물하셨나요?’ 시인은 이렇게 묻지 않습니다. 따끔거린다는 건 제대로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 병이 깨진 것은 외부의 충격이 아니라 안에서 제 스스로 밀어내는 힘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그렇지 않고서야 팔차원의 흉기로 변한 세계 속에서 난반사로 더 빛나는 ‘너’를 볼 수 있겠어요? 이 강건한 영혼은 만 마디로 반짝이는 색깔들을 볼 수 있을 만큼 멋진 인식의 눈을 가졌습니다.

시인 진은영


문학집배원 시배달 진은영

▪ 1970년 대전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문학상담 교수
▪ 2000년 『문학과 사회』 봄호에 시 「커다란 창고가 있는 집」 외 3편을 발표하며 작품활동 시작
▪ 시집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우리는 매일매일』, 『훔쳐가는 노래』, 저서 『시시하다』, 『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 :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를 향하여』, 『문학의 아포토스』, 『니체, 영원회귀와 차이의 철학』 등.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28건

  • 10604 김승요

    유리병은 그자체로 매끄럽고 아름답다.하지만 유리병이 깨지면 날카로운 흉기가 되어 조금만 베어도 깊은 상처를 주는 물건이된다.난 처음에 이 시를 이해 하기가 어려웠다.분명 유리병은 깨졌는데 시인의 상황은 긍정적으로 변해가는 것같고 깨진 유리병이 주는 고통은 고작 따끔거림으로 묘사된다.난 이 표현들로 시인이 자신이 고통속에서 성장했음을 나타낸 거라고 생각한다.따끔거림 이후에 어둠은 밝아졌고 팔차원 흉기로 변한 세상속에서 지워진 너는 더욱 빛난다.이런것들로 보아 따끕거림은 분명히 화자의 성장통일 것이다.이 시의 내용은 진부하지만 난 그점이 마음에 든다.어른들은 지금 조금만 열심히 공부하고 고생하면 나중에 편할꺼라고 입버릇처럼 얘기한다.우리는 이 얘기가 틀린게 아님을 알면서도 힘들기 때문에 그러기는 쉽지않다.난 이 시를 통해서 학업속에서 약해져만 가던 내 정신을 가다듬을 수 있어서 좋았고 앞으로도 힘들때마다 이 시를 몇번이고 봐야겠다.

    • 2018-10-31 11:14:33
    10604 김승요
    0 / 1500
    • 0 / 1500
  • 10118이준혁

    처음부터 "병이 깨졌다"라고 제시해 내 호기심을 불러 일으킨 이 시는 여러가지 감정과 보편적인 삶의 모습를 드러낸 것 같다. 시에서의 '병'을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면 병이 깨진다는 표현은 수습하기도 어려운 큰 상처를 입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처음에 둥글게 순수했던 어린 사람들은 상처와 시련을 겪으면서 각자의 날카롭고 뾰족한 가시를 세워 숲을 이루게끔 한다. 구체가 수직으로 곤두섰다는 표현은 평범한 상황도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시선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이 시는 나의 어린 시절의 모습과 지금의 나의 모습을 비교하게 했다. 어렸을 때 사소한 것에도 행복해하고 날이 선 감정은 드러내지 않았던 어린 나와 현재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도 바라보지 못 할 만큼 이미 깨질대로 깨져 버린 나의 모습이 비교되면서 여러가지 감정이 교차했다. 병의 더 깊은 형태, 즉 더 성장한 형태는 깨어져 자디잔 유리알로 변한 모습이고, 그 모습에서 더 빛이 나는 것이라고 시에서 표현하지만 나는 그 깨어지기 전의 순수함에 대해 아직 미련을 느꼈다. 그리고 모든 이들은 다들 깨어지면서 살아갈 것이기 때문에 어쩌면 이 시가 나에게 더 의미있게 다가오는 것 같다.

    • 2018-10-31 13:34:48
    10118이준혁
    0 / 1500
    • 0 / 1500
  • 10118이준혁

    처음부터 "병이 깨졌다"라고 제시해 내 호기심을 불러 일으킨 이 시는 여러가지 감정과 보편적인 삶의 모습을 드러낸 것 같다. 시에서의 '병'을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면 병이 깨진다는 표현은 수습하기도 어려운 큰 상처를 입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처음에 둥글게 순수했던 어린 사람들은 상처와 시련을 겪으면서 각자의 날카롭고 뾰족한 가시를 세워 숲을 이루게끔 한다. 구체가 수직으로 곤두섰다는 표현은 평범한 상황도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시선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이 시는 나의 어린 시절의 모습과 지금의 나의 모습을 비교하게 했다. 어렸을 때 사소한 것에도 행복해하고 날이 선 감정은 드러내지 않았던 어린 나와 현재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도 바라보지 못 할 만큼 이미 깨질대로 깨져 버린 나의 모습이 비교되면서 여러가지 감정이 교차했다. 병의 더 깊은 형태, 즉 더 성장한 형태는 깨어져 자디잔 유리알로 변한 모습이고, 그 모습에서 더 빛이 나는 것이라고 시에서 표현하지만 나는 그 깨어지기 전의 순수함에 대해 아직 미련을 느꼈다. 그리고 모든 이들은 다들 깨어지면서 살아갈 것이기 때문에 어쩌면 깨어지는 그 순수함에 더 미련을 느끼게 만들어서 이 시가 나에게 더 의미있게 다가오는 것 같다.

    • 2018-10-31 14:03:58
    10118이준혁
    0 / 1500
    • 0 / 1500
  • 표기태 10219

    유리병이 깨져 날카로운 물체가 되고 그것을 어쩌면 부정적이게 볼 수 있는데 시인'강정'은 오히려 그것에서 미(美)를 찾아 나와 달리 새로운 면을 찾았다. 유리병이 제 모습을 완전히 보전하는것이 성장하는것이 아니라 날카로운 깨진 유리병의 모습이되어, 발톱을 세우는, 그런 유리병이 되는 것이 제대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였다. 나였으면 유리병이면 유리병, 이것이 깨지면 깨진 유리병,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할 텐데 이런 작은 사물의 작은 행동에서 이런 큰의미를 찾는 것이 정말 신기한 경험이면서 놀랍기도하다. 평소에 주변에 있는 많은 사물들에게 관심을 갖고 이런 교훈을 얻으며 살고 싶다.

    • 2018-11-05 08:53:51
    표기태 10219
    0 / 1500
    • 0 / 1500
  • 10208문승현

    누구나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둥근 마음을 가지려 하고 또 이미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 마음을 이 작품에선 유리병으로 표현한 것 같다. 그 마음이 어떤 충격으로 깨졌을 때는 다가가기 힘들 날카로운 '가시의 숲'으로 변하는가 하면 유리병의 밑바닥만 깨져 '이지러진 팔차원의 흉기'로 변하기도 한다.그러나 이 작품에선 그것을 마냥 부정적으로만 보진 않았다. 깨짐으로 인해 겉으로 드러내보인 둥근면이 아닌 어둠에 숨긴 다른면이 밝음으로 나오고, 또 깨진 조각조각들은 빛에 반사되어 유리병일 때보다 아름다워 보이기도 한다. 나는 이것이 사람의 본모습이며 사람을 대하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다른사람에게 둥글어 보이기 위해 유리들을 모아 힘들게 둥글게 유리병으로 만들었다고, 그 둥근면을 함부로 만져선 안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또한 모두 알듯이 사실 둥글게 만들어진 형태가 아니어도 아름답다는 것을 4연에서 알려준다. 그리고 우리 마음의 유리를 겨울에 내리는 '눈'과 같다고 말한다. 자신의 본모습이 더 아름답다는 말로 가식에 지친 사람들과, 자신에게 자신이 없는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고 기운을 복돋는 시이다.

    • 2018-11-05 09:03:18
    10208문승현
    0 / 1500
    • 0 /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