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김행숙, 「초혼招魂」

  • 작성일 2019-01-31
  • 조회수 3,769


[caption id="attachment_273042" align="alignnone" width="640" class="cente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caption]




김행숙|「초혼招魂」을 배달하며…


새해가 될 때마다 가지고 있던 것을 잃어버릴까봐 두려운 마음이 들곤 했습니다. 나만의 요정, 혹은 순수한 꿈을 잃어버릴까봐 자라기를 거부하는 아이가 항상 내 속에 있었죠. 스무 살부터는 서른 살이 올 것 같아 두려웠어요. 최승자 시인이 “오 행복행복행복한 항복/기쁘다우리 철판깔았네”(「삼 십 세」)라고 노래했던 뻔뻔한 얼굴의 서른 살이 무서웠습니다.*
세월이 자꾸 흐르니까 잃어버린다는 것은 잊어버린다는 것의 다른 말이라는 걸 배우게 됩니다. 우리는 사랑했었던 누군가에 대한 기억을 잊고 좋아했던 사물들과 장소들을 잊고 가끔은 내 존재도 까맣게 잊어버려요. 그렇지만 너무 겁먹거나 슬퍼하지 않아도 된다고 시인은 말해줍니다. 떠나간 사람들의 얼굴, 어디로 숨었는지 알 수 없는 물건들, 그리고 우리의 꿈들이 앞뒤를 모르고 아무 때나 아무 데서나 우리를 찾아오거든요. 장롱 밑으로 굴러 들어간 연필처럼 어느 날 불쑥! 이곳에서 우리가 함께 읽었던 시들도 그러하기를 기대해봅니다.

* 최승자, 『이 시대의 사랑』, 문학과 지성사, 1994.

시인 진은영


작품 출처 : 김행숙 시집, 『1914』, 현대문학, 2018.



문학집배원 시배달 진은영

▪ 1970년 대전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문학상담 교수
▪ 2000년 『문학과 사회』 봄호에 시 「커다란 창고가 있는 집」 외 3편을 발표하며 작품활동 시작
▪ 시집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우리는 매일매일』, 『훔쳐가는 노래』, 저서 『시시하다』, 『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 :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를 향하여』, 『문학의 아포토스』, 『니체, 영원회귀와 차이의 철학』 등.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7건

  • 눈물이

    힘드셨죠? 외로우셨고요. 저도 한 몫 한 것 같아 마음이 아팠더랬죠. 그래서 어느 순간 잊으려고 했나봐요. 그래도 나는 그러지 말았어야했는데... 알 것 같아지니 잊혀지네요. 당신의 푸름과 붉음과 어둠이 저의 초록으로 노랑으로 분홍으로 번집니다. 잊으려다 잃어버릴 뻔한 기억을 다시 불러볼게요. 차가운 진실보다 따듯한 착각이 좋으니 나만의 기억으로 다시 칠해볼게요. 괜찮으시죠?

    • 2019-06-01 19:43:04
    눈물이
    0 / 1500
    • 0 / 1500
  • hara

    나 여기 있는데 너는 늘 다른 곳을 보느라 바쁘구나.. 가끔 네가 궁금해서 똑똑.. 잘 있냐고 물어봐주면 늘 여기에 너와 연결되어 있다고, 네 안에 살아있다고 말해주곤 하지 아무때고 깊은 숨과 고요한 평화를 찾아 내게로 오는 소중한 널 사랑해.

    • 2019-03-13 00:41:33
    hara
    0 / 1500
    • 0 /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