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 작성자 키릴
- 작성일 2025-01-10
- 좋아요 0
- 댓글수 0
- 조회수 136
암흑 같던 하늘색이 차츰 옅어져 가던 그런 이른 시간에, 나는 비현실감에 반쯤 잠긴 채 걸음을 내딛었다.
거리에는 분명히 아무도 없었건만 나는 평소 습관 탓에 주위를 연신 두리번거렸다. 참으로 쓸모 없는 동작이었다. 독자는 여기서 말하는 내가 누구이며 또 어떤 이유로
이른 시간부터 길거리를 배회하는지 궁금해 할지도 모르겠다.
유감스럽게도 그 따위 정체성이니 방향이니 하는 것들은 나 자신마저도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아니, 어쩌면 오히려 그걸 찾아보겠다는 핑계로 막연히 집 앞 산책로를 거닐고 있을 뿐이다.
난 갑자기 헛웃음이 터져 나왔다. 왜냐하면 첫 번째, 몇 번이나 돌았던 발자국을 되짚어 본들 머릿속에서는 여전히 꼼짝도 하고있지 않았고. 둘째, 이런 장소는 산책로라고 하기엔 입구와 출구만이 이어져 있는 폐허와 같기 때문이다. 생기라곤 없이 희멀건 가루가 날리는 콘크리트 바닥이 전부이고, 공사를 하다 진즉 버려진 듯 멀찍한 간격마다 나사 비스무리한 것이 널부러져 있었다. 우울하다. 우울하다. 우울하다. 우울하다. 우울하다. 우울하다. 우울하다. 우울하다.
불과 일주일 전부터지만,
우울한 기분이 들 때면 나는 늘 여기로 달려왔다. 즐거움이라곤 없는 여기서 혼자 11월의 바람에 에워싸이면 무엇과도 비교할수 없이 기분이 좋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모순적이게도 그것은 우울을 해소하는데서 나오는 그런 쾌감이 아니라 이 장소에서 완전히 스스로 버려졌다는, 한 마디로 우울을 증폭시키고 완전히 소유하는 데서 나오는 만족감이었다.
꽤 강한 바람이 두 차례 짧게 불었다. 눈가에서는 눈물이 조금 배어 나왔고, 그로부터 적어도 일 이분 동안은 계속,계속 내 초라한 셔츠에 자국을 남겼다. 바람 탓일런지 아니면 , 아무래도 좋다.
눈물 따위보다도 내 눈에 띈 것은 언제부턴지 왼손 끝에 걸쳐친 초록 풍선이었다. 그러나 이미 너덜너덜해져서 쓰레기라고 불러야만 할 그런 모양새다.이것도 아까 바람 불때나 날아왔을 테지.
난 문득 이것이 누구의 물건인지 궁금해졌다. 이 주변에서 어린아이라곤 몇년 간 본적도 없는데. 헬륨풍선 이라면 어딘가 멀리에서, 또 풍선이라고 어린이만 소지할거란 건 편견이다.
이게 뭐람. 난 겹겹이 내려앉는 잡생각의 거슬림에 현기증을 느끼며 콘크리트 바닥에 주저앉았다. 초록 풍선. 초록 사과가 달린 사과 나무. 초록의 초록이 겹쳐진 그런 자연물을 11월에는 더이상 찾아볼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자 의식의 흐름대로 외로움이 몰려들었다. 나는 반 퍼센트의 두려움과 반 퍼센트의 고독으로 이루어져 있을 게 분명하다.
이 공간을 빠져나가고 싶지 않았지만 유달리 일찍 일어난 나에게, 아침 시간은 넉넉했으므로 언제까지고 앉아있을 수만은 없었다.
어디든 좋으니 시계가 있는 곳을 찾아가야만 했다. 일어나면서 바지와 손바닥에 묻은 하얀 분을 털어내었다. 안녕 .또 올게.
그리고는 앙상하기 짝이 없는 가로수길을, 어느 정도 걸었더라. 아무튼 걸어가서 주택가까지 다다랐다. 우리 집과 눈을 마주치고 싶지 않았다.
나는 줄곧 모순적인 사고를 하는데 그 중 하나는 이거다.난 내 좁아터진 방구석을 가장 소중한 보금자리로 여기면서도 (두 번째는 산책로라고 이름지은 그 공허한 곳이다.)
집채를 바깥에서 바라보는 건 정말 싫어한다. 주택 건물들로부터 필사적으로 눈을 피하며 달렸다. 내딛고, 어떻게든 계속 내딛으며.
눈을 깜빡 떠보니 순식간에 거리에 내몰려 있었다.
스스로가 스스로를 사람 많은 곳에 내몰았다. 그러나 산책로도 집도 거리도 싫다면 나는 도대체 어디로 가야 하는가? 시계는 필요하다. 간판이 막 새겨진 그나마 외딴 곳에 있는 카페로 향했다.
주인은 고개를 숙여서만 가볍게 인사하고 자기 할일을 한다. 의아하다. 고개를 숙여서만 인사하는 건 보통 나 혼자였는데. 무슨 이질감과 동질감 따위가 뒤섞인다. 그래 나는 가장 구석 자리에 짐도 하나 없이 내 몸만을 앉히고, 어느 각도에서나 보이게 효율적으로 설치된 메뉴판을 쳐다본다. 카페인은 필요가 없다, 졸리지 않기 때문에. 순간 그 생각을 한 자신을 비웃었다.
카페인은 각성제 포션의 용도로만 마시는 게 아니라 흔히들 말하는 ‘한 잔의 여유’를 위해서도 있지 않은가. 어쨌든 졸리지도 않고, 시간의 여유는 있지만 마음의 여유는 없는 나는 카페인을 피한다.
젊은 카페 주인은 온갖 잡일을 혼자 하느라 몰두해 있다. 나도 주위나 좀 둘러볼까. 좌우를 급히 살피는 습관을 스스로 의식하다 보니 손님은 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상하게 보이지 않을까 걱정을 한다.
정말 아무것도 모르겠다. 메뉴판의 글자 하나하나가 울렁거렸다. 글이 읽히지 않는다. 목도 마르지 않다. 시계가 어디 있을까. 제발, 시계는 어디 있을까? 흰색 벽에서 검은 초침을 찾아낸다.
일곱시 십분, 집을 나왔을 때보다는 꽤나 시간이 지난 듯 하다. 진정 내가 얼마나 방황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만그 보금자리에서 여기까지 왔다면 그건 정말 쓸데없는 짓이다.
후회해 본들. 가게 주인에게 고개를 숙이며 다음번에 다시 오겠다고 거짓말을 한다.
저번까지 읽은 이후로 이어보시겠어요?
선택하신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저번까지 읽은 이후로 이어보시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