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웹진(10)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모색 한국 판타지와 퓨전 판타지
그저 자신이 창작하고 있는 한 분야의 작품만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또는 새로운 시도라는 평판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슬쩍 차용하는 행위는 아무런 의미가 없지 않을까. 퓨전을 논하고 또 실행에 옮기기 전에 먼저, 모든 것을 자료나 소재로만 판단하고 차용하려고만 하는 자세를 버리고, 장르와 예술 자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진지한 자세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것이 요즘이다.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기획 작가의 창
[기획 : 문장웹진×문학기반시설상주작가] 〈2023 도서관 상주작가 지원사업〉에 선정된 우수도서관 담당자, 상주작가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독서 강국인 북유럽(스웨덴&노르웨이) 탐방과 도서관 운영 우수사례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2024년 9월 24일부터 30일까지 이어진 5박 7일간의 이야기를 문장웹진에서 만나보세요. 작가의 창 - 손서은 작가 인터뷰 류영진 2023년 도서관 상주작가사업의 성과로 2024년 9월 24일부터 9월 30일까지 스웨덴, 노르웨이 해외연수를 가게 됐다. 그곳에서 손서은 작가를 만났다. 손서은 작가는 2020, 2021 원주에서 상주작가를 지내고 2024년 9월부터 12월까지 스웨덴 스톡홀름대학교에 레지던스 작가로 참여 중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제예술네트워크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스웨덴에 가게 된 손서은 작가는 자신을 이렇게 소개했다. “스웨덴에 살러 온 손서은입니다.”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비평 문학이라는 시대착오와 시차(時差)의 일상화
이러한 예술의 처지를 비관하거나 자조함으로써 후위에 선 예술을 강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후위로서의 예술을 주장하기에 앞서 이미 수많은 후위로서의 예술적 시도들이 비의도적인 시대착오, 더 나아가 순진무구하고 당당한 시대정신처럼 수행되는 (비)문학적 언어들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가. 따라서 지금의 예술은 그저 전위(轉位)가 될 수 있을 뿐이다. 주어진 위치를 바꾸고 전위에서 후위로, 다시 후위에서 전위로 오가는 과정 자체가 예술에 허용된 ‘과정으로서의 감각’이다. 수록작 「경로 이탈」의 상징적이고 비유적인 시공간의 구성은 바로 이러한 방황하는 자의 과정으로서의 정체성을 그려내기 위한 매개라고 보아야 한다. 「경로 이탈」에는 이십삼 년 만에 몽유병적인 잠에서 깨어난 최사해라는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는 근본적으로 길을 잃어버린 사람이며, 어디로도 정확하게 전진할 수 없는 공간적 상황에 갇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