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너는 행복하다(올리버 트위스트)

  • 작성자 조훈기
  • 작성일 2012-06-06
  • 조회수 494

도서명:올리버 트위스트  작가:찰스디킨스

찰스 디킨스에 의해 쓰여진 '올리버 트위스트'는 그당시 영국의 실제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소설이다.또한 판타지 소설처럼 내용이 매우 재미있고 흥미로워서 중간에 읽다가 멈추면 또읽고 싶어진다.

 이 책의 내용은 구빈원에서 태어난 올리버 트위스트는 아주 어린 나이부터 고난석에서 살아오는것으로 시작한다. 올리버가 적절한 나이가 되자 일하러 다른사람에게 맡겨지지만 도망나오게 된다. 런던으로 가던 올리버는 아이들에게 도둑질을 시키는 페긴에게 가게되고 도둑질을 하는데 가만히 서있다가 잡혀간다. 다행이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책방 주인(브라운 로우)에게 부탇을 해서 같이 살다가 심부름 도중 페긴이 보낸 아이에 의해 끌려가게 된다. 그후 페긴의 친구인 사이크스와 토비의 도둑질(집 털기)을 함께하다가 총상을 입고 도망치다가 결국 도둑질을 하려던 그 집으로 가게 된다. 그 집에서 살다가 집주인(로즈)의 도움으로 다시 책방으로 가게되고 자초지종을 설명한다. 사이크스 밑에서 일하는 낸시는 올리버를 위해 로즈와 브라운 로우에게 모든것을 말해주고 사이크스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브라운 로우는 경찰들과 함께 페긴과 사이크스를 잡는다.그리고 멍크스를 잡고 심문 하여 페긴에게 올리버를 타락시키라는 부탁을 시킨것과 올리버의 아버지는 귀족이고 올리버와 멍크스는 이복형제이며 로즈는 올리버의 이모임을 알게된다. 또한 올리버에게 상속된 유산이 있음을 알고 그 돈을 상속받아 브라운 로우와 로즈와 함께 행복하게 사는것으로 끝난다.

이 책은 19세기 영국의 심각한 빈부격차 그리고 하류층들의 끔찍한 인생을 자세하게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또한 이러한 연실을 이겨나가라는 교훈과 아무리 악한 인생속에서도 선함을 가지고 있으면 좋은 결과를 낳은 것이라는 것을 올리버의 삶을 통해서 보여준다.

 "그건 신사분의 책이에요. 제발 책과 돈을 돌려보내 주세요. 저를 평생 가두어도 좋아요"(102)

 올리버가 브라운 로우의 집에서 살다가 팩을 배달하는 심부름 도눙 페긴에세 붙잡힌 상황이다. 올리버는 붙잡힌 상황에서 자신을 가게 해달라고 부탁을 하지않고 심부름을 하던 책과 잔돈을 보내만 주면 평생 가두어도 좋다고 한다. 이 장면은 아무리 끔찍한 상황에서도 자신보다는 남을 생각하는, 즉 선함을 가지고 있는 올리버의 모습을 잘 나타내주는 장면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올리버가 결국 해피엔딩을 맞게 된것 같다.

 "태어난 순간부터 추위와 배고픔과 술주정을 벅하며 살아온 저예요. 저야 언젠가는 거지들이 우글거리는 뒷골목에서 죽고 말겠지만"(197)

 이 장면은 사이크스의 부하(넨시)가 올리버를 위해 자신이 아는것을 모두 로즈에게 말하는 장면이다. 이 장면을 통해서 그 당시 영국 하류층들의 삶이 어떠했는지를 보여준다.

 이 책은 여러모로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내용이 전혀 질리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행복하다는 것과 언제나 선함을 잃지 말라는 교훈을 주고있다. 또한 그 당시 영국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도록 해준다. 나는 여태까지 내가 불행하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많은 점을 생각해보게되었고 행복하다는걸 느꼈다. 나는 이 책을 자살을 하려하는 사람들과 작은 어려움에도 쉽게 타락하는 사람들에게 권해주고 싶다.
 

조훈기
조훈기

추천 콘텐츠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1500
  • 익명

    대체로 맥락에 맞게 썻네요ㅎ.ㅎ

    • 2012-06-07 09:35:42
    익명
    0 /1500
    • 0 /1500
  • 익명

    서평을잘쓴거같네요.(웃음)

    • 2012-06-07 09:21:45
    익명
    0 /1500
    • 0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