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그때

  • 작성자 그로잉
  • 작성일 2015-05-04
  • 조회수 318

 

시험을 망쳤다.

어쩌다보니 그렇게 됐다. 정말, 어쩌다보니.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컨디션이 안 좋았던 것도 아니다.

그냥 평소처럼 시험을 쳤고 거짓말처럼 15번을 풀고 있을 때 종이 쳤다. 그렇게 나의 고등학교 2학년의 첫 시험은 끝이 났다.

시험이 끝난 학교는 썰렁했다. 친구도, 선생님도 모두 시험이 끝나고 찾아온 황금 휴일을 을 맞으러 학교를 떠나 집으로, 휴가지로, 시내로 나갔겠지. 하지만 나는 전혀 움직일 수 없었다. 눈물은 나오지 않았다. 그냥 생각했다.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언제부터, 어디서 잘못되었는지. 내가 무엇을, 어떻게 놓쳐버렸는지. 하지만 아무 생각도 나지 않았다. 그저 내 머릿속엔 풀다만 수학 문제들이 떠다니고 있을 뿐이었다.

시끄럽게 울리는 핸드폰 소리에 정신을 차렸다. 아니나 다를까 엄마였다. 시험 결과를 묻는 독촉 전화겠지. 내 핸드폰 화면에서 ‘엄마’라는 글씨가 사라지지 않았다. 전화 벨소리를 이기지 못하고 결국 전화를 받았다. 시험결과를 묻는 카랑카랑한 목소리에 난 그냥 그 자리에서 증발해버리고 싶었다. 아무도 모르게, 나란 존재는 원래부터 없었던 것처럼. 물이 수증기가 되어 사라지듯이, 그렇게 증발해 버리고 싶었다.

엄마는 조용한 전화너머의 나의 상태를 알아 챈 것일까, 그냥 전화를 끊어버렸다. 다행이다. 나는 다시 생각했다.

어쩌다 나는 시험을 망쳐버린 걸까?

어쩌다 나는 문제를 번 까지 풀지 못했던 것일까?

어쩌다 나는 이 자리에서 움직일 수가 없게 된 것일까?

그러다 문득 나와 같은 점수를 맞고는 저번보다 올랐다고 좋아하던 내 짝꿍이 생각났다. 그 아이와 나의 차이는 무엇일까? 무엇이 우리를 다르게 만든 것일까? 언제부터 나는 이 점수에 만족하지 못하는 아이가 되었을까?

그 아이는 나와 초, 중, 고를 같이 나온 10년 지기이다. 하지만 말 그대로 10년 째 알고지낸 친구이지 친한 친구는 아니었다. 그리고 우리 엄마가 그 아이를 ‘비교상대’로 두지 않은 것은 꽤 오래된 일이었다. 말하자면 나의 비교상대에서 탈락한 것이다. 중학교를 거치면서 나와 그 아이의 차이는 두드러졌다. 나는 주로 맨 앞줄, 그 아이는 주로 맨 뒷줄에서 수업을 들었다. 나는 주로 학원에 있었고, 그 아이는 주로 시내에 있었다. 나는 주로 공부이야기를, 그 아이는 주로 영화이야기를 했다. 어떻게 보면 우리가 10년 동안이나 알고 지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서먹한 것은 당연한 일 이였다. 하지만 나에게 있어서 그 아이는 정말 소중하고 고마운 친구였다.

공부벌레, 전교1등, 엘리트, 계산기, 천재.

나를 따라다니던 별명 중에서는 공부와 관련되지 않은 것이 하나도 없었다. 그런 나에게 ‘진저’라는 새로운 별명을 지어주었던 사람이 바로 그 아이다. 얼굴이 까매서 영화 ‘슈렉’에 나오는 생강빵과 피부색이 같다는 이유였다. 내가 가진 별명 중에 가장 아끼는 별명은 그렇게 만들어졌다. 처음으로 나의 성적과 관련되지 않은 별명이었다. 정말 나를 지칭하는 별명이었다.

그 별명이 너무 마음에 들어 집에 와서도 괜히 실실 웃었던, 그때가 생각이 났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 알 것 같았다.

처음으로 올백을 맞았던 그때였다. 전교 1등을 하고 좋아했던 그때였다. 선생님께 성적으로 칭찬을 받았던 그때였다. 아쉽게 하나 틀렸다며 울음을 터트렸던 그때였다.

그때 그러지 않았더라면, 지금 나는 그 아이와 웃으며 지낼 수 있었을까?

비로소 내 눈에는 눈물이 흘렀다.

그로잉
그로잉

추천 콘텐츠

번데기

번데기 ‘번데기 사려~ 번데기 사려~’ 어김없이 들리는 이 소리. 내가 정말 싫어하는 소리다. 학교에서 수업하고 있는데 이 소리가 들리면 제곱근에 집중되어있는 나의 신경이 분산되어 이내 번데기에 몰리게 된다. 지금이 어느 시댄데 번데기를 파는 지 원. 번데기를 계속 생각하다보니 과학시간에 배웠던 변태가 생각난다. 그땐 변태라는 단어 하나에 까르르 웃는 순수했던 시절이었다. 지금은 음침하기 짝이 없는 학교에 음침한 표정만 하고 있는 음침한 남자아이들만 40명이 넘는 좁은 교실에서 음침한 선생님과 함께 몇 시간씩 수업만 하고 있는데 말이다. 순수했던 시적을 떠올리며 행복해 하고 있는데 내 책상에 그늘이 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위로 올려다보니 선생님께서 날 내려다보고 있었다. “너 지금 뭐하는 거야? 내가 설명을 하면 열심히 따라 적어야지 멍하니 그냥 앉아있으면 어떡하니? 너희들 이제 중 3이야. 이렇게 공부하면 고등학교 못가.” 또 시작 됐다. 지금 열심히 연설을 하고 계신 저 분은 이 현미 쌤이다. 수학 담당이신데, 시골에서 열심히 공부해서 대구에 있는 대학교를 나왔다고 하면서 모든 것은 자신이 하기에 달렸다고 매시간 연설하는 쌤이다. 그러나 이런 연설을 한다고 정작 수업진도를 나가는 시간은 적다. 우리들 사이에서 ‘이 마리아’ 라고 통하는데 너무 자신의 종교에 빠진 나머지 학교에 와서 종교를 전파하고 다니신다. 더군다나 선생님이 처음 수업을 하실 때 자신을 ‘이 마리아’ 라고 부르라고 하신 바 있다. 처음으로 저 선생님이 우리에게 해 준말은 자신의 세례명과 종교이야기다. 내가 무교라서 이해를 못하는 부분이 있을 것 같기도 하지만 저렇게 종교에 빠져 사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가르치기는 또 얼마나 못 가르치는지, 그냥 교과서만 죽 읽고 지나간다. 그래서 내 친구는 ‘이 마리아 앞에서 선생을 논하지 말라.’ 라는 격언까지 남겼다. 난 이 말이 너무 마음에 들어서 내 수학책 표지에 적어 뒀다. 나중에 걸리면 끝장이겠지만 아직까진 안 걸렸으니까, 뭐. “5,4,3,2,1,0,땡!” 아이들의 목소리와 함께 종이 울렸다. 정말 대단한 아이들이다. 나는 아무리 시계를 봐도 잘 못 맞추겠던데 말이다. 그래도 이 마리아 쌤의 연설이 끝나게 되어 다행이다. 과학 시간이 7교시라서 이 마리아 샘이 나가기도 전에 우리는 가방을 챙기기 시작하였다. 이 마리아 쌤은 불쌍하다는 표정을 짓고는 이내 나가버렸다. 아무도 자신의 연설을 듣지 않고 있었다는 게 증명됐는데 화도 내지 않고 도리어 동정하는 표정을 짓다니, 저 샘도 참 대단했다. 하긴, 남중에 다니는 여 샘이라면 대단하지 않으면 안 되긴 했다. 얼굴이 못생긴 샘이라면 더욱 더. “인사하자.” 우리 담임은 늙은 할아버지 인데 7교시가 끝난 뒤 정확하게 3분 뒤에 와서 30초 만에 종례를 끝냈다. 쉬는 시간마다 찾아와서 종례시간에 알려주어야 할 것들을 하나씩, 하나씩 알려주고 종례시간 때는 인사만 한다. 그 덕분에 우리 반은 언제나 1등으로 마친다. 그러다 보니 이내 우리는 담임만 들어오면 인사만 하고 교실

  • 그로잉
  • 2013-07-22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