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웹진(20)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비평 새로움의 경제 2(2)
(계속) 1) 프리드리히 니체, 『즐거운 학문』, 안성찬·홍사현 옮김, 책세상, 2005, 201쪽. 2) Zygmunt Bauman, “The Making and Unmaking of Strangers”, Debating Cultural Hybridity - Multi-Cultural Identities and the Politics of Anti-Racism, Zed Books, 1997, p. 55. 3) 키르케고르의 새로움에 대한 논의는 다음을 참고함. Boris Groys, “On the New”, Art Power, The MIT Press, 2008, pp. 28~35. 4) 프리드리히 니체, 『안티크리스트』, 박찬국 옮김, 아카넷, 2013, 9쪽. 5) John Cage, “After antiquity - John Cage in conversation with Peter Gena”, A John Cage Reader, C. F.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비평 1960s-2020s 반(半/反)예측의 상상력 ②
내게 이 소설은 한낱 ‘텍스트’가 아니라 실재적인 사물로서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는 중인 듯하다. 1) 프리드리히 니체, 이동용 역, 『아침놀: 도덕적 선입견에 대한 생각들』, 세창출판사, 2022, 13~14쪽.
-
문장웹진 > 문장웹진 > 커버스토리 4월호 음악을 써내려가는 소설가
인간은 더 이상 예술가가 아니며, 그는 예술품이 되어버린 것이다.”8) 한 단어만 덧붙인다면 음악과 소설은, 그리고 이를 통해 자신의 영혼을 고양하는 인간은 ‘시간의 예술품’이다. 8)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비극의 탄생/바그너의 경우/니체 대 바그너』, 김대경 옮김, 청하, 1982, 41쪽.